728x90
반응형

 

[사진 아리스토텔레스/네이버 지식백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플라톤의 생각을 아리스토텔레스가 이어받기는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교적 상식에서 출발한다. 그리스 말기의 혼란스러운 사회에서 복잡하고 이론적인 것은 잘 받아들여지지도 않았을 뿐더러 당장 고통이 눈앞에 있는 상황에서 그저 관념적인 이야기를 해 봐야 소용이 없었기 때문이다. 우리 또한 그의 행복론을 우리의 상식에 맞추어 풀어보기로 하자. 행복감을 언제 느끼는가? 뭔가 목표로 한 일이 잘 성취되었을 때 느낀다. 시험을 잘 보려고 공부를 많이 했는데 생각대로 시험을 잘 보았다면 행복하다. 이와 같이 어떤 행위가 애초 목적한 대로 잘 성취되면 기분이 좋고 행복하다. 그런데 이러한 행위는 모두 무언가 목적이 있다. 그리고 그 목적은 또 다른 어떤 것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은 좋은 성적을 얻으려는 것이고, 좋은 성적을 얻으려는 것은 바라는 대학에 입학을 하거나 원하는 직업을 잘 얻기 위함이다. 이렇듯 인간의 행위는 수단과 목적의 연쇄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 연쇄체계 안에서 잘 이어가는 것, 그것이 잘 이어지면 행복인 것이다. 그런데 그 수단과 목적의 연쇄체계를 계속 올라가다 보면 궁극 목적에 달할 것이고, 그 궁극 목적에 다다르면 그것이야말로 가장 좋은 것, 즉 최고선이다. 그렇다면 각자 삶의 궁극적인 목적으로서 최고선을 이루는 것이 진정한 최고의 행복이다. 이렇게 보면 행복이라는 것은 정적인 것이 아니다. 중간 중간 목표로 한 것을 잘 이루는 것, 활동을 잘해서 잘 이루는 것이 선(agathos)이자 행복이다. 그렇다고 무엇인가를 이루었다고 해서 다 선이며 행복인가? 이를테면 도둑질을 계획해서 잘 이루었다면 그 또한 행복인가? 그렇지 않다. 일시적인 행복을 느낄지는 모르지만 다른 한편에서 불안감과 죄책감이 늘 그의 목덜미를 잡고 있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이것은 행복의 단계 중 가장 최하급 단계, 즉 이성적 명령이 아닌 동물적 욕망에 기초한 성취이기 때문에 일시적인 것이다. 감각적 욕망이란 기본적으로 공격적이고 직접적이다. 그리고 모두가 하나의 물질적,감정적 가치를 목표로 하는 한, 서로 경쟁을 해야 한다. 감각적 욕망에 매달린다는 것은 남도 나를 향해 그런 욕망을 가지고 맞서 있다는 것을 전제하기 때문에 늘 긴장을 해야 하고 그만큼 또 불안하다. 물론 종종 그렇게 싸워서 얻는 즐거움, 쾌감이 있지만 그 사정은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쾌감은 언제 빼앗길지도 모르는 일시적인 만족감일 뿐이다.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에서 무한경쟁에서 승리하는 길을 가르치지만 무한경쟁에서 늘 이기는 사람은 없다. 살아남는 것은 대개 디기업과 재벌들일 뿐 그 안에서 개인의 삶은 끝없이 소모될 뿐이다. 그러나 달리 어쩔 수 없다. 그래서 현대인의 생활을 검투사와 같은 삶이라고 한다. 언젠가는 반드시 칼 때문에 죽을 것이란 것을 알고 있지만 그렇다고 칼을 놓을 수도 없는 삶, 실로 불행한 삶이다.

 그러면 지속적인 즐거움, 훼손되지 않는 즐거움을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아리스토텔레스는 감각적 욕망에 눈이 멀어 부도덕적인 일을 감행하면 일시적인 행복은 얻을 수는 있어도 종국에는 고통에 빠지기 때문에 분별 있게 모두에게 선이 되는 일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한다. 즉 도덕적인 생활을 해야 한다. 공동체 사회 속에서 다른 사람의 장점을 보고, 그에게 다가가면 그 또한 나의 정점을 보고 나에게 다가올 것이다. 그러면 서로 좋은 것이다. 이타적인 희생과 봉사만을 하라는 것이 아니고, 서로가 서로에게 좋은 것을 나누라는 것이다. 남의 것을 빼앗지 말고 그 만큼 다른 사람에게 먼저 베풀면 다른 사람도 그렇게 한다는 것이다. 누가 웃는 얼굴에 침을 뱉겠는가? 그렇게 공동체에서 남과 조화를 이루는 일, 그것이 지속적인 행복을 이루는 것이다. 새치기하지 않고 줄을 잘 서면, 잠깐 다리가 아프지만 결국을 편하고, 자리를 양보하면 몸은 좀 불편하지만 마음이 훨씬 편하다. 조금만 깊게 생각하면 그것이 더 편하다는 것을 우리는 안다. 이렇게 당장의 감각적 쾌락을 멀리하고 이성적 반성을 통해 보다 깊게 생각하고 그 깨달음에 따라 처신하면 즐거움은 더욱 커지고 깊어진다.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유명한 '행복에 대한 정의'가 나온다. 행복이란 인간이 가지는 여러 기능 가운데서도 이성적 기능, 인간의 고유한 기능인 이성적 기능을 잘 발휘하고 발달시켜서 얻는 즐거움이다. 이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의 요체이다.[행복에 이르는 지혜, 이정호]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