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회학습이론에 따르면 대리 강화나 대리 처벌은 우리가 학습하는 상당한 부분을 설명해 준다고 한다. 사실 우리는 심리학을 배우지 않고도 실생활에서 이 대리 강화와 대리 처벌을 사용하여 자녀나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다.

 선행상은 가장 대표적인 대리 강화의 예라고 할 수 있는데, 선행상의 경우 일차적으로는 선행을 베풀고 선행상을 받은 사람만 직접적인 강화를 받는 것이다. 그러나 그의 선행과 선행상 수상을 관찰한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그와 유사한 선행을 베풀 가능성이 높아진다. 가정에서 형이나 언니가 칭찬받는 행동을 보고 동생이 따라 하는 것도 일종의 대리 강화에 의한 사회학습 현상이다.

 

 일벌백계(한 사람을 처벌하여 백명의 사람을 경계 한다 라는 뜻)는 대리 처벌의 효과를 기대하는 대표적인 행동 통제 방식이다. 우리는 학급에서 규칙을 위반하는 모든 아이들에게 일일이 다 벌을 줄 수 없을 때가 많다. 따라서 교사는 그중 몇몇 아이를 처벌할 수 있을 뿐인데, 이때 동료 학생의 처벌을 관찰한 다른 아이들이 그 행동을 하지 않게 될 때 이를 두고 "대리 처벌에 의한 사회학습이 발생했다."고 설명한다.

 

 동물도 관찰에 의한 모델링을 하는가? 사회학습은 인간에게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동물들도 관찰로 학습한다는 증거는 많다. 예를 들면, 어떤 새들은 가정에 배달된 우유병의 윗부분을 부리로 찢어서 우유를 먹는다. 이런 현상은 처음에 몇몇 새들이 조작적 조건형성으로 학습한 행동을 다른 새들이 보고 모방한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가와무라라는 일본 학자가 관찰한 원숭이들 중에는 모래나 흙이 묻은 음식을 물에 씻어서 먹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이것도 어떤 한 원숭이가 물에 씻어서 먹는 장면을 다른 원숭이들이 모델링한 것이라고 한다. 이 예에서 모래가 씻겨진 고구마는 모래가 묻어 있는 고구마보다 먹기도 좋고 맛도 더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음식에 묻은 모래를 씻어 내는 행동은 계속해서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