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청구관해방총도/국립중앙박물관]


[청구관해방총도/국립중앙박물관]


[청구관해방총도/국립중앙박물관]


[청구관해방총도/국립중앙박물관]


[청구관해방총도/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군사지도인 청구관해방총도(보물 1582호)는 북쪽을 지도의 윗쪽으로 배치하는 현대의 방식과 다르게 한반도를 옆으로 눕혀 그린 것으로 시점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는데, 조선시대에는 동쪽을 지도의 위쪽에 배치하는 지도도 일부 만들었다.

총구관해방총도의 전체적인 크기는 '동국대전도(東國大全圖)'에 가까운 크기(285cmX86.3cm)로 아주 큰 편에 속하며, 동국대전도와 분위기가 비슷하다.

지도의 오른쪽(남쪽)에는 일본의 위치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지도의 여백에 국경지역과 관련한 중요한 사항들을 붉은 글씨로 나타내고 있다.

산(山)지는 주로 산줄기를 강조하여 이어진 모양으로 표현했고, 백두대간의 모습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 또한 압록강, 두만강 이북까지 지도상에 포함하고 있는 것도 동국대전도와 비슷하며, 특히 의주에서 산해관에 이르는 도로를 표시하였고, 몽고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세운 울타리가 그려져 있으며, 울타리의 문이 비교적 자세하게 표현돼 있는데, 이는 국경지역에 대한 군사적 관심이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 내부 지역에는 군사 기지인 진보(鎭堡)와 성곽들이 잘 그려져 있고, 붉은 선으로 중요 교통망을 표현했으며, 해안에는 방어시설과 관련된 백명을 단위로 하는 군대 편제인 초(哨)와 당(塘)이 각기 표시돼 있다.

당시 중요 통신망이였던 봉수는 횃불모양으로 표시했고, 요충지는 깃발모양으로 표시하는 등 직관적인 표현도 특징이다.

다만, 당시 섬이었던 안면도는 여전히 곶으로 표현하는 등 이전 시기 지도에서 나타나는 불완전한 부분도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