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국의 기층음악/상주민요/출처:천재교육]


[한국의 공연음악/판소리/출처:천재교육]


한국의 기층음악

기층음악의 존재방식은 현대적 혹은 도시적 음악과 다르다.

기층음악은 삶의 현장에서 사용된 음악으로 민요, 풍물, 놀이음악, 무속음악 등이 있다.

음악의 생산자와 수용자가 기능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으며, 악보로 기록하지 않고 주로 구전(口傳)을 통해 즐기는 음악으로 같은 사람이 부르더라도 부를 때마다 노래가 똑같지 않다.

이 때문에 기층음악에 속하는 개별음악은 모두 유일성을 띈다.


한국의 공연음악

공연을 위한 음악은 전문가가 만들었기 때문에 기층음악과 구별된다.

창우, 사당패, 도시적 가수집단 등과 같은 민간의 전문공연집단들은 당대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기예를 확장하고 예술의 지평을 넓혔다.

그들이 만든 음악이 바로 산조, 시나위, 삼현육각, 판소리, 단가, 병창, 최창잡가, 입창잡가 등이다.


민간에서 발생한 기층음악과 공연음악은 서로 비슷한 면도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음악어법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구전음악이라는 점에서 같다.

그러나 공연음악은 기층음악을 모태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지만 기층음악의 특징을 갖고 있지는 않다.

공연음악은 전문적 기예를 과시해야 하는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삶의 현장을 직접적으로 재현하기 보다는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또 공연음악의 개별음악들은 창조적이기는 하지만, 음악을 만드는 체계가 구조화되어 있고 음악양식이라는 별도의 차원을 갖기 때문에 기층음악에서 말한는 유일성을 갖는다고 말하기 어렵다.

따라서 공연음악과 기층음악은 구별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