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슈베르트의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 <겨울 나그네>, <백조의 노래>, 그리고 슈만의 <시인의 사랑>, <리더크라이스(Liederkreis)>, <여인의 사랑과 생애>, 등의 연가곡집으로 잘 알려진 가곡(리트)은 독일어로 '노래'라는 뜻이다. 가곡을 노래라는 뜻과 구분하기 위해 19세기 낭만작곡가들이 독일 시인들의 시에 곡을 붙인 가곡은 우리말로 번역되면서 종종 예수이라는 접두어를 붙여 '예술가곡'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가곡의 등장은 18세기 중엽 그동안 이탈리아어나 프랑스어에 비해 심오함과 감수성이 떨어지고 '비예술적이고 투박한' 언어로 인식되던 독일어가 낭만적 정서를 담은 괴테, 쉴러(Johann Christoph Schiller, 1759~1805)의 시로 인해 유럽에서 가장 '예술적인 언어'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과 관계가 있다. 괴테와 쉴러의 문화적 감성과 상징적인 표현은 독일문학뿐 아니라 이들의 시에 선율을 붙인 독일어 노래 또한 예술적인 가치를 지닌 심오하면서 내면적인 음악으로 승화시키게 된다.


[사진 슈만/네이버]


 가곡은 피아노와 인성(성악)의 관계를 단순히 노래와 반주라는 불평등한 관계로 보지 않고 동등한 이중주의 개념으로 접근한다. 특히 슈만의 가곡에서 피아노로 시작되는 전주와 간주, 그리고 노래가 끝난 후의 후주는 노래가사에서 시인이 충분히 드러내지 못한 심오하고 깊은 내면의 이야기들을 작곡가 자신의 음악적 표현과 언어(업법)로 승화시키는 듯하다. 즉 시어로는 단어가 가리키는 특정대상 이면의 추상적이고 초월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피아노의 선율(소리)은 언어의 한계를 벗어나 자신이 추구하는 원래의 의미들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기 때문에 종종 피아노에 노래반주가 붙은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사진 슈베르트/네이버]


 가곡에서 피아노가 반주의 역할을 넘어선다는 것은 가곡반주 전문 피아니스트로 알려진 무어(Gerald Moor, 1899~1987)로 인해 잘 알려져 있다. 피셔 디스카우(Dietrich Fisher-Dieskau,1925~)의 가곡반주자로 유명한 무어는 1967년 자신의 은퇴공연에서 슈베르트의 가곡 <음악에(An die Musik)를 노래 없이 혼자 피아노로 연주했다. 이 짧은 피아노 연주가 보여준 시와 음악의 조화와 예술성의 극치는 가곡에서 피아노가 노래(시)를 보조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노래(시)를 이끌어가는 주인공임을 잘 보여주었다. 가곡감상시 피아노에 집중해서 들어보면 왜 피아노와 인성의 조화, 이중주라고 이야기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표제음악양식인 가곡은 주로 '연가곡(song cycle)'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슈만과 슈베르트의 연가곡은 같은 주제와 분위기를 지닌 여러 개의 시에 곡을 붙인 것으로 개개의 곡은 독립된 완결성을 갖지만 전체적으로 시가 갖는 하나의 일관된 주제와 줄거리를 표현하고 있다. 슈만의 <시인의 사랑>은 하이네(Heinrich Heine, 1797~1856)의 시에 노래를 붙인 16곡으로 이루어진 연가곡으로 사랑의 기쁨, 실연의 아픔, 그리고 잃어버린 사랑에 대한 회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와 음악에 대한 슈만의 감정이입과 묘사가 뛰어나 부인 클라라(Clarara Wieck Schumann 1819~1896)와의 힘든 사랑의 경험을 담아냈다는 평을 받는다.

[음악의 이해와 감상/김종수,권도희,김성혜,이지선,유영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랑은 같이 있어주는 것.

 언제나 따뜻한 마음으로

 이야기를 들을 준비가 되어 있는 것.

 그를 믿어주는 것.

 사랑하는 그 이유 말고 다른 이유가 없는 것.

 아무리 주어도 아깝지 않은 것.

 그를 지켜봐주는 것.




 아무리 사랑하는 사이라 하더라도

 너무 오랜 시간 착 달라붙어 있으면

 힘들어 지는게 당연합니다.

 사랑을 할 때는

 같은 지붕을 떠받치는, 하지만 간격이 있는 두 기둥처럼 하세요.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혜민스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망각의 원인

 망각은 왜 일어나는가? 여기에는 몇 가지 가설이 있다. 첫째, 소멸이론으로서 시간의 경과 자체가 망각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기억과 함께 뇌세포에 생겼던 일종의 '흔적'이 시간 경과로 흐려진다는 이론이다. 그런데 같은 시간이 경과하면 언제난 같은 양의 망각, 즉 소멸이 일어나는가? 그렇지 않다. 어떤 내용을 공부한 전후에 다른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 경우 그것이 간섭을 발생시킨다는 가설이 있다. 이 둘째 가설을 망각에 대한 간섭이론이라고 한다. 기억에 간섭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가 잇는데, 하나는 역행성 간섭이고 다른 하나는 순행성 간섭이다. 역행성 간섭이란 후에 공부한 것이 먼저 공부한 것에 간섭을 일으키는 것이고, 순행성 간섭이란 먼저 공부한 것이 나중에 공부한 것에 간섭을 일으키는 것이다.

 

 

 

 

 망각의 원인에 대한 세 번째 가설은 억압이론이다. 이 억압이론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기초한다. 즉 심리적 고통이나 불안을 일으키는 정보는 억압이라는 심리적 방어기제에 의해 망각된다는 것이다. 이 억압된 기억은 무의식세계를 구성해 비록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줄곧 그 사람의 정서와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정신분석이론의 핵심 가설이다.

[인간과교육/조화태,김계현,전용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적 장애와 영재성

 지적장애와 영재성에 대한 통계적 기준은 지능거사 점수가 평균에서 2표준 편차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지능검사에서 70점 이하는 지적장애로, 130점 이상은 영재성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지능검사를 유일한 기준으로 삼아 지적장애나 영재성 여부를 단정하지는 않는다. 일상생활, 학교생활과 학업 수행 등도 중요한 기준이 된다.


지적장애의 네 가지 수준과 전형적 특징

 지적장애 수준

 IQ범위

전형적 행동 특성 

 경미한 수준

50~55에서 70~75 

-어느 정도의 사회적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있음

-특수 교육으로 10대 초반(초등학교 6학년) 수준 습득 능력

-특수 훈련과 감독으로 사회적,직업적 적절성 성취 가능

-일상생활에서 부분적인 독립

 보통 수준

30~40에서 50~55 

-어느 정도의 사회적 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자기 인식이 부족함

-한동안 특수 교육으로 초등학교 4학년 수준에 도달 가능

-보호된 장소에서는 활동 가능하나 일상생활 영위에는 보살핌이 필요 

 심각한 수준

20~25에서 35~40 

-의사소통 능력이 거의 없음

-감각과 운동능력 손상

-학교교육에서는 얻는 것이 거의 없음 

 매우 심각한 수준

20~25 이하 

-최소한의 기능만 수행

-자기 유지 능력 없음

-부단한 보살핌과 감독 필요


 지적 장애의 수준은 경미한 수준, 보통 수준, 심각한 수준,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분류하고 있다. 위 표는 각 수준에 속하는 IQ의 범위, 각 수준 사람들이 보이는 전형적인 행동 특성과 발달상의 특성들을 보여 주고 있다. 경미한 수준의 지적장애는 환경적인 원인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영양 부족이나 지적 발달을 촉진하는 자극이 부족한 것 등이다. 그러나 심한 지적장애는 환경적 요인보다는 유전적, 신경학적 결함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영재성도 단지 지능지수만으로 판정하지 않는다. 영재성은 수학, 과학 등 학문적 적성이 남달리 높은 경우 외에도 창조성, 리더십, 예술 활동, 운동이나 무용같은 신체 활동 등 다양한 영역 중 어는 하나에서 매우 우수한 잠재력과 수행 수준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각 영역에서 조기에 영재성을 발견해 이를 육성하려는 교육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런 교육정책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에서도 공통적으로 시행하는 정책이다.

[인간과교육/조화태,김계현,전용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