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아정체성에 대해

 [관련글:자기효능감]




 자아개념은 여러 영역별로 분화되어 형성되는데, 분화된 자아개념은 다시 하나로 통합되는 과정을 거친다. 여러 영역의 자아개념들 간에 일관성이 느껴질 때 자아 개념의 통합을 경험하게 되는 것인데, 이런 경험을 자아정체감 혹은 자아정체성이라 한다.

 그러나 자아 개념의 통합은 그다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자아정체성을 경험하려면 반드시 정체성 탐색과 혼미를 경험해야 한다. 청소년기는 바로 이 정체성 혼미를 경험하는 시기인데, 이는 장아정체성 통합에 이르는 한 과정이다. 자신에 대해서 우리는 때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때로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이미 정체성이 어느 정도 형성된 사람은 시시각각 변하는 자기평가에 대폭적인 영향을 받지 않지만, 아직 정체성이 덜 형성된 청소년들은 혼미와 혼돈을 경험한다. 또한 이상적인 자아상과 실제적인 자아 개념 간의 괴리 역시 정체감 혼미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청소년들은 이상적 자아상 중 포기할 것은 포기하고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며 수용하는 과정을 경험한다. 이 자아 탐색 과정에서 청소년은 절망, 방황, 동요를 겪지만 결과적으로 객관적인 자아정체가을 발달시켜 나가게 된다. 자아정체감 연구로 유명한 에릭슨(Erikson)은 이 과정을 정체성 위기의 극복이라고 했다.

 청소년기에 정체성 위기를 제대로 극복하지 못하는 경우 그의 성격 발달은 크게 왜곡된다. 자아정체성의 발달에는 크게 네 가지 수준이 있는데, 이는 정체성의 위기와 극복의 두 개념을 활용한 것이다.

 첫째는 정체성 혼미의 상태인데, 이는 아직 자아정체성에 관한 위기도 경험하지 못했고 따라서 정체성 극복은 당연히 경험하지 못한 상태를 말한다. 둘째는 정체성 '조기 완료'인데, 이는 정체성 위기를 제대로 경험하지도 못한 채 마치 정체성을 확립한 것처럼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사람은 대개 부모에게 강한 영향을 받아서 부모가 원하는 대로 성격과 직업 발달 과정을 거친 사람들이다. 셋째는 정체성 유예라고 하는데, 이는 현재 자아정체성 혼미를 경험하면서 회의와 불안정을 경험하고 있으나 적극적으로 자아를 탐색하고 자기 역할을 실험하며 정체성 확립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말한다. 넷째는 정체성 성취로서, 이는 앞의 정체성 유예 기간을 거쳐서 비로소 안정된 정체감을 형성한 단계를 말한다. 이들은 인간관계, 인생의 목표, 가치관, 직업 행동 등에서 안정되어 있다.

 자아정체성의 확립에는 누구보다도 부모의 몫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즉 가정교육이 자아정체성 확립에 중요하다는 것이다. 자녀도 가정의 여러 가지 의사결정에 참여하게 유도하고, 자녀에게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부모 밑에서 자란 청소년들이 정상적인 정체성 발달을 이룬다. 반면에 자녀에게 모든 것을 알아서 결정하도록 방임하는 부모, 또는 그 반대로 자녀의 행동과 의사결정을 지나치게 통제하거나 억제하는 부모 밑에서 자란 청소년들은 정체성 발달이 위축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