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가 쓰는 말에도 각 지역(지방)마다 독특한 말투라는 것이 있듯이 우리 전통 음악에도 그런 것이 있는데, 말투는 개인이나 집단의 관례화된 언어표현방법을 말하는데, 음악에도 그와 같은 것이 있어 기층음악의 선율구성방법에 있어 관례화된 표현방법을 바로 '토리'라고 한다.

토리는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음구조이다. 음구조란 선율을 만드는 추상적 원칙을 말한다. 음구조는 현장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념을 뜻하는 것으로 지식적인 것으로 이해하기란 쉽지 않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을 몰라도 충분히 음악활동이 가능하다. 실제로 현장에 있는 사람들은 음계 따위는 몰라도 노래만 잘했다. 심지어 미세한 음계의 변화까지 귀로 구별해내고 입으로 불러냈다.

토리란 노래 부르던 습관이 굳어진 것을 지칭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지역별로 관용화된 기본적인 음악어볍을 추출해낼 수 있다.


[토리에 의한 전통 기층음악의 음악권/네이버지식백과]



기층음악은 음구조에 다라 한반도의 서북쪽과 동남지역 그리고 제주도지역으로 나누어진다.

서북쪽은 경기도, 서울 ,서도(황해도, 평안도)지역을 말하는데, 이 지역의 음악을 합쳐서 경서토리음악이라고 부른다. 동남쪽은 동해안과 태백산맥을 끼고 있는 함경도, 강원도, 경상도 북부와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남부를 말하는데, 이 지역의 음악을 동남토리음악이라고 통칭한다.

경서토리와 동남토리는 음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세분된다. 음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구성음, 음의 기능, 시김새이다. 구성음이란 노래 부를 때 사용하는 음들이 무엇인가에 해당하는 것이고, 음의 기능이란 '끝날 때 나오는 음이냐, 시작할 때 나오는 음이냐, 지역적 특징을 나타내는 음이냐 아니냐.' 등을 따지는 것이다.

그리고 시김새는 한국음악의 특별한 요소로써, 음을 가만히 놓아두지 않고 떨거나(요성), 흘리거나(퇴성), 밀어올리거나(추성)하는 특별한 표현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경서토리와 동남토리는 각각 세분된다. 경서토리의 경우 경기도의 경토리, 서도지역의 수심가토리로 나누어지며, 동남토리의 경우 남도지역의 육자배기토리, 태백산맥 동쪽지역의 메나리토리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토리는 각 지역에서 사용되는 사투리와 같은 것으로 다음 악보는 각 음악권에서 사용하는 음악적 규칙을 대략적으로 보여준다. 물론 실제 음악에서는 그 변형도 있다. 그러나 위의 토리를 알면 변형도 쉽게 알 수 있다. 토리에 의한 음악권의 구분은 이외의 기타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한 음악권의 구분과 대략 일치한다. 그래서 토리에 의한 음악권의 구분은 기층음악의 이해에 있어서 핵심적 내용이 된다.


[서울 경기, 충청도, 창부타령토리(경토리) <늴리리아> 中]


[서도 민요, 수심가토리 <몽금포타령> ]


[남도 민요, 육자베기토리 <진도 아리랑> ]


[동부 민요, 메나리토리 <밀양 아리랑> 中]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