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집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한편으로는 자연환경과 어울리게 지어야 하고, 좋은 자연환경을 찾아 지어야 하며, 또 한편으로는 자연환경의 악조건을 이겨 낼 수 있게 지어야 했다.


좋은 자연환경을 얻기 위해서는 우선 좋은 집터를 찾아야 했다. 그때 활용된 것이 풍수지리였다. 정약용(丁若鏞)을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이 비판했듯이 풍수지리에 비합리적인 면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좋은 자연환경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 풍수에 좋은 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집 주변 산세의 모양을 가리키는 형국(形局), 집의 방향을 가리키는 좌향(坐向), 집 자리를 가리키는 혈(穴) 등 꽤 복잡한 조건이 갖추어져야 했다. 그런데 풍수(風水)라는 것은 본래 '장풍득수(藏風得水)'를 가리키는 것으로, 장풍은 찬바람이 휘몰아치지 않아 추운 겨울을 나기에 족한 조건을 가리키며, 득수는 농사와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을 가까운 곳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조건을 가리킨다. 풍수에 맞는 조건이란 결국은 살기 편한 자리였다.



흔히 배산임수(背山臨水)라 하여 뒤쪽에 산이 있고 앞쪽이 낮아 물이 있는, 전망이 좋은 곳을 길지로 여겼다. 이 역시 생활의 편리성과 관계가 깊다. 주변은 거센 바람이 몰아치지 않도록 산으로 둘러싸여 아늑하고, 앞은 시원스럽게 탁 트였으며, 볕이 잘 드는 곳이 바로 풍수에 맞는, 살기 좋은 곳이었다. 그리고 배산임수는 생활필수품을 쉽게 조달하기 위한 조건이었다. 식수를 비롯한 생활용수는 매일 길어 와야 했고, 때로는 냇가에 나가 빨래를 해야 했다. 또 아궁이에 불을 때서 밥을 짓고 구들을 데우기 위해서는 나무를 해야 했다. 물과 나무를 가까운 데서 쉽게 구하기 위해서는 배산임수의 조건이 필요했던 것이다.


집은 자연환경을 극복하여 살기 편한 곳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집의 구조는 기후와 매우 깊은 관련이 있다. 강우량, 강설량, 일조량, 바람, 습도, 지형 등 모든 것이 집의 모양과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지붕의 물매가 가파르며, 햇볕이 강한 곳에서는 창살이 촘촘하다. 바람이 강한 곳에서는 지붕을 묶어 놓기도 한다. 심지어는 기왓골의 깊이까지도 비가 많은 곳에서는 깊다. 길게 앞으로 뻗은 처마도 비가 안으로 들이치지 않게 하고 뜨거운 햇볕을 막아 방 안을 서늘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우리나라의 가옥구조 중에 기후와 관련하여 특징을 이루고 있는 것은 바로 마루와 온돌이다. 대청, 안청, 마래라고도 부르는 마루는 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와 벌레를 차단하고 통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시설이다. 남쪽 지방에서 발달한 마루는 덥고 습한 기후를 이겨 내려는 노력과 지혜의 소산이었다.


그러나 더위와 습기보다는 추위를 막는 것이 더 중요했던 평안도, 함경도 지역의 민가에는 마루를 두지 않았다. 오히려 함경도의 집은 양통집이라 하여 한 용마루 아래에 간격을 두지 않고 앞뒤로 방을 배치했다. 이는 추운 지방에서 겨울을 나기 위해 방 안의 열을 최대한 빼앗기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고구려 부뚜막/ⓒ국립중앙박물관


한편 우리 주거생활의 특색을 이루는 구들 또는 온돌(溫突)이라는 난방법은 일찍이 고구려의 서민가옥에서 유래되었다. 온돌이 언제부터 일반화되었는지는 아직도 분명치 않지만, 처음에는 서민들의 난방법이었던 온돌이 전국적으로 전 계층에 일반화된 것은 조선 후기로 보인다.

처음 온돌은 방 전체를 데우는 것이 아니라 방바닥 일부를 데우는 '쪽구들' 형태였다. 그러던 것이 조선 후기에는 대개의 경우 부엌의 부뚜막에 불을 때어 밥을 짓고 물을 끌이면서 동시에 온기가 방바닥 밑을 지나게 하여 방 전체를 따뜻하게 하는 방법을 채용했다. 이는 적은 연료로 장시간 실내를 따뜻하게 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난방법이었다.

[전통사회와 생활문화(이해준 정승모 정연식 전경목 송찬섭)]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