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제1618-6호 국새 제고지보(制誥之寶)/ⓒ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618-6호 국새 제고지보(制誥之寶)/ⓒ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618-6호 국새 제고지보(制誥之寶)/ⓒ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618-6호 국새 제고지보(金製制誥之寶, 금제 제고지보)는 1897년 고종에 의해 대한제국이 수립되면서 만든 국새(國璽) 10과 중 하나로 황제의 명령을 백성에게 알리는 문서나 고급 관원을 임명할 때 사용한 것으로 대한제국기 황실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유물이라 할 수 있다. 보통 조선왕실의 어보가 거북이 모양의 귀뉴를 사용했던 것과 달리 중국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었던 용모양을 한 손잡이인 용뉴와 얕은 받침인 유대, 글자가 쓰인 보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신에 쓰인 글자인 '제고(制誥)'라는 말이 '황제의 명령'을 뜻하는 것으로, 곧 이 국새는 조선왕실이 아닌 황제로 칭한 대한제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국새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제고지보는 한일강제병합이 이뤄지고 6개월 후인 1911년 일제에 의해 약탈되어 일본 궁내청으로 들어갔다가 광복 후인 1946년 8월 15일 미군정이 궁내청으로 들어간 국새를 환수해 중앙행정기관이었던 총무처로 인계하였는데, 안타깝게도 6.25전쟁을 거치며 행방이 모연하게 된다. 그러다 다행히도 1954년 경남도청 금고에서 제고지보가 발견되어 현재에 이르게 된다.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칙명지보', '대원수보'와 함께 보물로 지정되었다.
 
크기
가로 11.1cm X 세로 11.1cm
 
[함께 보기 : 국새 칙명지보]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청자 상감 모란무늬 매병(靑磁 象嵌牡丹文 梅甁)/ⓒ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상감 모란무늬 매병(靑磁 象嵌牡丹文 梅甁)/ⓒ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상감 모란무늬 매병(靑磁 象嵌牡丹文 梅甁)/ⓒ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상감 모란무늬 매병(靑磁 象嵌牡丹文 梅甁)/ⓒ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상감 모란무늬 매병(靑磁 象嵌牡丹文 梅甁)/ⓒ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상감 모란무늬 매병(靑磁 象嵌牡丹文 梅甁)/ⓒ국립중앙박물관

 

높이 34.5cm, 입지름 5.8cm, 몸통지름 21.2cm 크기의 보물 제346호 청자 상감 모란무늬 매병(靑磁 象嵌牡丹文 梅甁, 청자 상감 동채 모란문 매병 靑磁 象嵌銅彩牡丹文 梅甁 또는 청자 상감 동채 모란문 매병 靑磁象嵌銅畫牡丹文梅甁 이라고도 한다)은 고려청자에 동화(銅畫, 주성분이 구리인 안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그린 후 구워내면 무늬가 선홍색으로 표현되는 기법) 기법을 이용하여 무늬를 표현하였는데, 몸통에는 모란가지 세 개를 흑백상감으로 묘사한 후 꽃잎에 동화(銅畫) 기법을 이용하여 붉은색을 입혀 화려한 무늬를 나타냈다. 이러한 기법을 사용한 경우는 매우 드물고, 특히 매병을 장식하는데 사용한 경우는 더욱 찾아보기 어렵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금제 태환 이식)/ⓒ국립중앙박물관
보물 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금제 태환 이식)/ⓒ국립중앙박물관
보물 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금제 태환 이식)/ⓒ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慶州 路西洞 金製耳飾, 金製太環耳飾)'는 신라 5~6세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유물로 귀에 거는 중심고리(主環)인 태환(太環)에 크고 작은 2개의 노는 고리(遊還)로 연결하고, 아래에 긴 이파리 모양을 한 여러개의 달개가 달린 샛장식(中間飾, 귀걸이의 중심고리 아래 달리는 꾸미개장식)을 달았는데, 샛장식은 작은 고리를 연접시켜 만든 구체에 새김눈(‘目’자처럼 가로 또는 세로로 조각한 눈금선문양)이 장식된 달개로 이를 여러개 붙여 방사형으로 펼쳐져 있어 매우 화려해 보이며, 그 아래 테두리와 중심선에 모두 새김눈을 2줄로 겹쳐 붙여 입체감과 화려함이 돋보이는 심엽형(하트 모양 또는 그와 비슷한 나뭇잎 모양)의 드림(垂下飾, 귀걸이의 가장 아래 매달리는 드리개 장식)을 달아 장식하였다.

 

전형적인 경주식 태환이식(太環耳飾, 금으로 만든 굵은 고리의 귀걸이)이라는 점과 제작기법과 조형성이 우수하고 보존상태도 양호하다는 점, 이후 금조총 및 보문동 부부총 금귀걸이로의 양식사적 발전과정을 보여준다는 점 등에서 가치가 높은 유물이다.

최초 발견 당시 경주 노서동 215호 고분에서 출토되었으나 귀걸이 1쌍 중 하나가 일본에 반출되었다가 1965년 체결한 한일협정으로 1966년 국내로 반환되어 국립중앙박물에 소장되었으며, 유사한 유물로 창녕 계성고분군 등지에서 출토된 예가 있다.

 

※한편, 보물 제455호는 그동안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었으나, 2018년10월30일 문화재청에서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는 보물 제2001호로 재지정하고, 기존 보물 제455호의 이름을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로 바꾸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1967년 보물 455호로 지정 당시 펴낸 각종 자료에 경주 노서동에서 발굴한 금귀걸이가 아닌 황오동 52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를 실수로 올려 바뀌면서 시작되었는데, 다행히 2000년 어느 날 일본학자인 '가즈오(藤井和夫)'가 신라 황금전 특별전을 준비하고 있었던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사에게 유물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준 덕이라고 하며, 그동안 실수로 인해 잘못 알려졌던 것을 보물 지정 당시로부터 51년만에 각자 제이름을 찾은 것입니다. 

 

[보물 제2001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86호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6호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6호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6호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6호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6호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6호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6호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6호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6호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1962 지정, 開城 敬天寺址 十層石塔)은 일본 제국주의 시대 강점기를 거치면서 한국문화재 수난사를 대표 한다고 할 수 있는 소중한 문화재로 1907년 순종의 가례에 일본 특사로 온 궁내대신 다나카 미스야키(田中光顯)가 주민들과 당시 군수의 저지에도 불구하고 한밤중 밀반출이라는 불법 약탈 사건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에 '대한매일신보'는 10여차례 이상의 기사와 논설로 석탑 약탈에 대한 불법성을 알리게 되고, 다행히도 '코리아 리뷰(Korea Review)'의 발행인인 미국인 헐버트(Homer B. Hulbert)와 '코리아 데일리 뉴스(Korea Daily News)'의 발행인인 영국인 베델(Ernest T. Bethell)의 지속적인 기고를 통해 결국 계속되는 반환 여론을 조성하게 되었고, 1915년 11월 15일 국내로 반환되기에 이릅니다. 하지만 당시의 기술적인 문제로 재건은 보류되었고, 40여년 간 경복궁 회랑에 보관되어 오다 1962년 비로소 국보 86호로 지정되고, 2005년 국립중앙박물관 용산 재개관에 맞추어 현재의 전시실에 석탑의 불법 반출 이후 100여년 만에야 비로소 재조립 되어 웅장한 위용을 다시 드러내게 됩니다.

경천사 10층석탑 구조 설명/ⓒ기호일보

석탑의 제1층 옥신 이맛돌에 조탑명(造塔銘)이 새겨져 있으며 '지정 8년(至正八年)'이라는 기록을 통해 고려 충목왕 4년(1348년)에 석탑이 건립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당시의 정치적 환경으로 말미암아 중국탑의 영향이 많이 반영되었다고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신라시대의 석탑 양식을 이어 평면 사각형의 석탑 또는 새로운 양식으로 다각(多角) 석탑이 나타나는데, 이런 것과 달리 특수한 형태를 보이는 것이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입니다. 평면과 부재의 구조 등에서 각기 특수한 양식을 보여주고 전체의 균형이 아름다워 주목되는 탑이며, 기단 평면은 아자형(亞字形)으로 3단을 이루고 있으며, 탑신부는 1, 2, 3층이 기단과 같은 평면이지만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고, 4층부터는 탑신이 사각형을 이루었는데 층마다 옥신(屋身, 층과 층 사이를 이루는 몸돌) 밑에는 난간을 돌리고 옥개(屋蓋) 밑에는 다포집 양식의 두공(枓栱, 전통적인 목조건축에서 처마를 받들기 위해 기둥 위에 복잡하게 엮은 일종의 결구물) 형태를 조각하였습니다. 윗면에는 팔작지붕 형태의 모양과 기왓골이 표현되어 있으며, 기단과 탑신에는 불, 보살, 인물, 용, 천부(天部, 불상의 분류에서 여래, 보살, 명왕에 이어서 최하위에 놓여진 존상의 총칭으로, 제천부, 천이라고도 한다.) 등이 빈틈없이 조각되어 장식이 풍부하고 조각수법이 상당히 정교한데, 이런 형태의 석탑이 조선시대 초기에 다시 나타나기는 하였지만 유례가 없는 희귀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618호 국새 칙명지보/ⓒ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618호 국새 칙명지보/ⓒ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618호 국새 칙명지보/ⓒ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681호 국새 칙명지보(國璽 勅命之寶 또는 금은제 칙명지보金銀製 勅命之寶)는 1897년 10월 당시 조선의 국왕이었던 고종이 서울에 있는 환구단(圜丘壇,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제단)에 올라 대한제국이라는 국호 선포하고 스스로 황제에 올랐다. 이후 기존의 조직과 관직, 제례 등을 황제국의 품격에 맞도록 다시 만드는 조치를 하였는데, 그 중 하나의 조치로 새롭게 만들어진 국새이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해왔던 거북이 장식을 버리고 황제를 상징하는 용의 형상을 넣어 장식하였으며, 천은(天銀, 순도가 100%인 은을 십성은十成銀 또는 천은天銀이라고 한다.)에 금을 도금하여 만들었다. 국새를 허리에 찰 수 있도록 만든 끈 장식인 인수(印綬)는 잃어버린 상태이며, 일제강점기 후 일본에 빼앗겼던 국새와 어보(御寶, 국가와 왕권을 상징하는 예물로 보통 왕·왕비·왕세자 등 왕실의 의례용 도장을 통칭한다.)는 해방 후 총무처에서 관리하다 625전쟁 당시 많이 잃어버리고 현재는 대원수보(大元帥寶, 군대 운영과 관련된 업무에 사용), 제고지보(制誥之寶, 고급 관원의 임명에 사용), 칙명지보(勅命之寶, 통신조서에 사용) 3개만이 남아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크기

가로 9.2cm X 세로 9.2c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白磁靑畵草花文瓢形甁)'은 조선후기 경기도 광주 금사리의 가마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전체적으로 조롱박 모양을 하고 있지만, 아래 쪽 볼록한 면을 곡선이 아닌 8모로 깎아 만들고, 그 위로 목이 긴 곡선의 병을 얹은 단정하고 안정감 있는 모양의 호리병으로, 조선백자에서는 보기 드문 독특한 형태이다.


전체 크기

높이 21.1cm, 입지름 3.7cm,  바닥지름 7.8cm


순백색의 백자의 색감과 청색의 문양이 여백의 미를 살리면서 조화롭게 표현돼 있는데, 위쪽볼록한 면에는 길상도안(吉祥圖案, 상서로운 의미를 지닌 문양 및 도안)의 한 종류인 전보(錢寶, 옛날 동전 무늬)와 방승보(方勝寶, 네모난 고리가 가로세로로 연속해서 이어진 모양의 무늬)를 그려 넣었고, 아래의 각진 면에는 한국적 정취를 한껏 살려주는 난초와 패랭이꽃을 넣었다.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527호 <단원풍속도첩> '그림감상'은 가로 23.9cm 세로 28.1cm 크기의 작품으로, 유생들이 세로로 길게 그림이 그려진 종이를 잡고 빙 둘러서서 그림을 감상하는 장면을 그렸다. 그림을 감상하는 유생들의 표정이 모두 다르게 표현돼 있는데, 등장 인물들의 표정이 각기 매우 진지하다. 특히 한 유생은 그림에 침이라도 튈까 부채로 얼굴을 가린채 그림을 감상하는 모습은 아주 인상적이다. 작품에서 종이에 그려진 그림은 나타나지 않지만, 그림을 감상하는 태도와 표정들에서 유생들의 진지함과 열정을 느낄 수 있다.


보물 527호 <단원풍속도첩> 그림감상/ⓒ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단원풍속도첩> 그림감상/ⓒ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단원풍속도첩> 그림감상/ⓒ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44호 '청자 양각 갈대 기러기무늬 정병(靑磁陽刻柳蘆水禽文淨甁)'은 경기도 개성 부근에서 출토된 높이 34.2cm, 몸통지름 12.8cm 크기의 정병이다.

국보 92호 '청동 은입사 물가 풍경 무늬 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과 전체적인 형태가 매우 흡사하다.


[청동 은입사 물가 풍경 무늬 정병 함께 보기]


1123년(인종 1) 고려 중기 송나라 사절의 한 사람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徐兢)이 한 달 남짓 머물렀던 개성에서 보고 들은 것을 바탕으로 지은 책인 '고려도경(高麗圖經)'에 따르면 고려시대 정병에는 맑은 물만 담았다고 하며, 그런 용도와 의미와도 어울리게 정병에는 수양버들과 원앙 한 쌍이 그 아래서 노닥거리는 등의 한가로운 물가 풍경을 양각으로 새겼다.


정병(淨甁)이란?

정병(淨甁)은 인도에서 에서 승려가 먼길을 떠날 때 메고 다니던 물을 담은 물병에서 유래되었으며, 훗날 승려가 가지고 다니는 필수품의 하나로 쓰이게 되었다.

그러다 차츰 부처님 자비의 상징으로 변화되었는데, 바로 정병 속에 들어있는 물을 통해 중생들의 목마름과 고통을 덜어준다고 하는 상징적 의미의 공양구의 용도로 인식하게 되었다.

정병을 만드는 재료는 주로 청동과 도자기가 사용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불교을 숭상하던 고려시대에 특히 많이 제작되었다.



보물 344호 청자 양각 갈대 기러기무늬 정병/ⓒ국립중아박물관


보물 344호 청자 양각 갈대 기러기무늬 정병/ⓒ국립중아박물관


보물 344호 청자 양각 갈대 기러기무늬 정병/ⓒ국립중아박물관


보물 344호 청자 양각 갈대 기러기무늬 정병/ⓒ국립중아박물관


보물 344호 청자 양각 갈대 기러기무늬 정병/ⓒ국립중아박물관


보물 344호 청자 양각 갈대 기러기무늬 정병/ⓒ국립중아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粉靑沙器象嵌蓮唐草文甁)'은 높이 31.8cm, 입지름 7.7cm, 바닥지름 9.8cm 크기의 조선시대 분청사기 병이다.

전체적으로 유약이 잘 녹아 맑게 윤이 나며, 다리굽의 접지면은 유약을 닦아내고 내화토를 얇게 발라 구웠다.

나팔처럼 벌어진 입구 부분에서 풍만하게 처리된 몸통 부분에 이르는 유연한 곡선과 높고 튼튼한 굽의 조화가 형태미와 안정감을 돋보이게 한다.

몸통 부분에는 연꽃을 중앙 세 곳에 흑상감(도자기 표면에 여러 가지 무늬를 새겨서 그 속에 흑토나 자토를 메워 넣는 공예 기법)으로 새겨 넣고, 연꽃 줄기가 원을 그림며 감싸듯 이어져 있어 형태와 무늬 구성이 조화롭고도 짜임새 있게 표현되었다.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가민속문화재 65호 '흥선대원군기린문수흉배(興宣大院君麒麟紋繡胸背)'는 광무제(光武帝) 고종(高宗, 1852~1919)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의 옷에 부착한 흉배(胸背)이다. 크기는 가로 23.1cm, 세로 25.5cm이다.

이러한 흉배는 조선시대 품계와 등위를 가리기 위하여 문무백관의 상복의 가슴과 등에 붙이던, 수 장식의 사각형 헝겊으로 왕과 왕세자 곤룡포의 가슴과 등, 양 어깨 4곳에 문양을 수놓은 둥근 흉배는 특별히 보(補)라고 불렀다.

왕의 아버지로 지위가 높았던 만큼 검정색 바탕에 금실로 화려하게 수놓아져 있는데, 도약하는 모습의 기린과 기린의 아래에는 물결무늬가, 그 주변에는 구름 무늬가 빽빽하고 화려하게 수놓아져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