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화담 서경덕 徐敬德, 1489~1546]

 

 거듭된 사화로 세력이 세력이 많이 꺾인 사림파는 지방에 은거하면서 서원과 향약 등의 향촌 활동을 통해 정치적 기반을 강화하는 한편 주자학의 근본 문제를 깊이 연구하는 등 수준 높은 학문 활동을 통해 한층 더 심화된 학문적 역량을 갖추게 되었다. 조선시대 주자학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대부분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그 시작을 장식한 인물이 바로 화담 서경덕이라고 할 수 있다.

 서경덕은 송도에서 태어나 58세로 자신의 서재에서 세상을 떠날 때까지 평생동안 출사하지 않고 화담에 은거하면서 제자들을 가르쳤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이 화담선생으로 불렀다. 그는 18세 때 '대학'을 읽다가 사물을 궁구하는 격물(格物)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그때부터 벽에 사물의 이름을 붙여 놓고 궁리를 시작하는 등 격물을 중시하는 학풍을 수립했다.

 '격물(格物)'은 사물의 진리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물과 직접 접촉하는 실천적 과정이 필요하다는 뜻으로 정신적 긴장을 요구하는 '거경(居敬)'과 함께 주자학의 근본적 학문 방법 중의 하나로 서경덕은 이 같은 방법론을 통해 종달새가 날아다니는 현상부터 온천과 바람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자연현상에 대한 독창적이고 합리적인 해설을 내놓았다.

 예를 들어 온천을 설명하면서 음에 속하는 물은 성질이 차가울 수밖에 없는데 온천이 뜨거운 까닭을 두고 "구체적인 사물의 특징은 음양이기의 배합에 따라 결정되며 음기인 물을 땅 속에서 있는 양기가 건드려서 온천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또 부채를 흔들면 바람이 발생하는 현상을 두고 "부채가 바람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천지 사이에 가득한 기를 부채가 움직이게 한 것일 뿐"이라고 해설하기도 했다. 그는 조선 주자학자들 중에서는 드물게 기(氣)를 가지고 만물을 설명하는 입장을 지켰는데 '태허설', '귀신사생론', '원리기', '이기설' 등의 저술에는 기철학과 관련된 그의 주요 주장이 수록되어 있다.

 그는 기를 자기 원인에 의해서 존재하면서 자기 운동의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는 근원적 존재로 규정함으로써 기일원론적 세계관을 수립했다. 그가 기를 주자학의 또 다른 중요한 범주인 이(理)보다 앞서는 존재로 설정하고 이(理)를 부속물 정도로 서술하면서 기의 영원성을 주장한 것은 주자보다 장재와 소옹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또 그가 사색을 통해 사물의 이치를 직접 탐구하는 격물을 학문 방법으로 중시한 것은 상대적으로 독서와 거경을 더 중시했던 주자학의 일반적인 경향과 구별되는 독창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기를 근원적 실재로 규정한 것은 관념이자 정신이라고 할 수 있는 이(理)를 앞세웠던 대부분의 학자들에 비해 훨씬 덜 사변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