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귀형문전(鬼形文塼)/ⓒ국립중앙박물관
보물 귀형문전(鬼形文塼)/ⓒ국립중앙박물관
보물 귀형문전(鬼形文塼)/ⓒ국립중앙박물관
보물 귀형문전(鬼形文塼)/ⓒ국립중앙박물관
보물 귀형문전(鬼形文塼)/ⓒ국립중앙박물관
보물 귀형문전(鬼形文塼)/ⓒ국립중앙박물관

보물 귀형문전(鬼形文塼, 도깨비 문양 벽돌)은 충청남도 부여군 외리의 옛 절터에서 발견된 8종의 백제시대 무늬 벽돌 중 하나로써, 연화대(蓮花臺, 연꽃 모양으로 만든 불상의 자리) 위에 정면으로 서 있는 도깨비 형상이 새겨져 있으며, 약간 연질로 구워진 것이 특징이다. 대각선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보는 것 처럼 몸의 크기에 비해 머리 부분이 크게 묘사되어 있으며, 벌거벗은 상태에서 허리에는 과대(銙帶)가 둘러져 있는데 대금구(帶金句, 띠꾸미개, 금속제 허리띠)와 대선금구(帶先金具, 띠고리의 반대쪽 끝에 달린 장식)가 잘 표현 되어 있다.

크게 부릅뜬 눈과 정면을 향해 포효하듯 날카로운 이빨을 드러내면서 양팔을 벌리고 서 있는데, 덥수룩한 수염과 양어깨에 휘날리는 갈퀴, 그리고 양손과 발도 날카롭게 표현되어 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위압감과 두려움을 느끼게 한다.

 

이런 문양전의 성격이나 제작기법은 대체로 중국 남조(南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 남조시대의 유물 중 동진(東晉) 영화4년(永和四年, 348)의 명문(銘文)이 있는 중국 난징(南京) 출토 전과 신녕전와창제1호묘(新寧塼瓦廠第一號墓)의 와전(瓦塼)과 매우 깊은 관련을 보여 준다.

 

반대로 일본의 나라(奈良) 난호케사(南法華寺)에 소장되어 있는 벽전(壁塼)과 오카사(岡寺) 출토 봉황문전(白鳳時代, 1변 39㎝, 두께 8.8㎝) 등은 백제 문화와 관련되어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을 보여 준다.

 

[함께 보기 : 산수귀문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제1618-6호 국새 제고지보(制誥之寶)/ⓒ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618-6호 국새 제고지보(制誥之寶)/ⓒ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618-6호 국새 제고지보(制誥之寶)/ⓒ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618-6호 국새 제고지보(金製制誥之寶, 금제 제고지보)는 1897년 고종에 의해 대한제국이 수립되면서 만든 국새(國璽) 10과 중 하나로 황제의 명령을 백성에게 알리는 문서나 고급 관원을 임명할 때 사용한 것으로 대한제국기 황실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유물이라 할 수 있다. 보통 조선왕실의 어보가 거북이 모양의 귀뉴를 사용했던 것과 달리 중국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었던 용모양을 한 손잡이인 용뉴와 얕은 받침인 유대, 글자가 쓰인 보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신에 쓰인 글자인 '제고(制誥)'라는 말이 '황제의 명령'을 뜻하는 것으로, 곧 이 국새는 조선왕실이 아닌 황제로 칭한 대한제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국새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제고지보는 한일강제병합이 이뤄지고 6개월 후인 1911년 일제에 의해 약탈되어 일본 궁내청으로 들어갔다가 광복 후인 1946년 8월 15일 미군정이 궁내청으로 들어간 국새를 환수해 중앙행정기관이었던 총무처로 인계하였는데, 안타깝게도 6.25전쟁을 거치며 행방이 모연하게 된다. 그러다 다행히도 1954년 경남도청 금고에서 제고지보가 발견되어 현재에 이르게 된다.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칙명지보', '대원수보'와 함께 보물로 지정되었다.
 
크기
가로 11.1cm X 세로 11.1cm
 
[함께 보기 : 국새 칙명지보]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白磁靑畵草花文瓢形甁)'은 조선후기 경기도 광주 금사리의 가마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전체적으로 조롱박 모양을 하고 있지만, 아래 쪽 볼록한 면을 곡선이 아닌 8모로 깎아 만들고, 그 위로 목이 긴 곡선의 병을 얹은 단정하고 안정감 있는 모양의 호리병으로, 조선백자에서는 보기 드문 독특한 형태이다.


전체 크기

높이 21.1cm, 입지름 3.7cm,  바닥지름 7.8cm


순백색의 백자의 색감과 청색의 문양이 여백의 미를 살리면서 조화롭게 표현돼 있는데, 위쪽볼록한 면에는 길상도안(吉祥圖案, 상서로운 의미를 지닌 문양 및 도안)의 한 종류인 전보(錢寶, 옛날 동전 무늬)와 방승보(方勝寶, 네모난 고리가 가로세로로 연속해서 이어진 모양의 무늬)를 그려 넣었고, 아래의 각진 면에는 한국적 정취를 한껏 살려주는 난초와 패랭이꽃을 넣었다.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453호 도기 녹유 탁잔은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작품으로 고화도 소성의 회백색 바탕흙에 녹유(綠釉)를 입혀 제작하였으며, 잔과 잔받침이 한 벌로 구성되어있는 받침잔(탁잔 托盞)이다.

잔은 반구형태이고 작고 짧은 굽이 달려있으며, 뚜껑에는 작은 보주형 꼭지가 달려있다. 잔받침에도 높이가 짧은 굽이 있고, 잔받침 내면에는 잔을 잔받침에 꽂을 수 있도록 홈을 만들어 장치했다.


높이: 11.5c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은 높이 29.7cm의 크기의 15세기 조선시대 초기 제작된 유물로써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도자기인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넘어가는 과정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매병이다.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은 고려말 상감청자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지만, 무늬를 표현하는 기법에 있어 인화(印花)-도장을 찍어 문양을 표현하는. 기법의 비중이 높아지고, 유약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밝은 회청색으로 바뀐 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어깨쪽에 연꽃잎 문양을 간략하게 표현해 넣었고, 그 바로 아래쪽에는 넝쿨 띠를 상감하여 넣었다.

몸체 전체에 점을 찍어 채우고, 4개의 큰 원안에 파도 무늬 배경을 넣고 물고기를 각 두마리씩 상감하여 넣었다. 또, 큰 원과 원 사이 윗쪽에 학 네마리를 상감하여 표현했으며, 잘록한 허리부분에는 꽃과 풀을 추상적으로 표현해 넣었으며, 그아래에는 연꽃잎 모양의 문양을 상감하여 둘렀다.

유약은 청자유에 가까운 담청색을 띤 분청유를 사용하였는데, 복잡한 문양 구성과 유약은 기형과 더불어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모습으로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45호 백자 상감 모란 버드나무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5호 백자 상감 모란 버드나무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5호 백자 상감 모란 버드나무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5호 백자 상감 모란 버드나무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5호 백자 상감 모란 버드나무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5호 '백자 상감 모란 버드나무 무늬 매병'은 높이 28.8cm, 입지름 4.8cm, 몸통지름 17.9cm의 크기로 12세기 고려시대 백자이다.

이러한 고려시대 백자는 청자의 기형이나 장식 의장을 본떠 만든 것이 많은데, 이 백자 매병 역시 청자의 전형적인 곡선미를 따르고 있지만 전체적인 선이 밋밋해 전형적인 청자의 아름다운 곡선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몸체는 참외와 같이 육등분한 세로 골을 만들었는데, 각 면마다 자토로 마름모 형태의 능형(菱形) 윤곽을 상감하고 그 안에 청자 태토를 면상감(面象嵌)한 다음 다시 모란문, 초로문, 포류수금문, 연화문 등을 백토와 자토로 상감해 넣었다.

입둘레와 굽의 둘레에는 연판문 띠를 양각으로 돌리고 그 안을 청자 태토로 상감하여 고려청자와 백자를 혼합시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백자에 청자 태토를 상감해 넣고 다시 그 안에 자토와 백토를 상감해 무늬를 표현한 것은 현재까지 이 매병이 유일한 예이다.

유색은 청백조를 띄었고 그물모양의 빙렬이 전체적으로 퍼져 있으며 능형 안의 청자 태토 위에 상감한 자토는 부분적으로 유약 속에 번져 있다.

아랫쪽에 남아있는 우그러짐은 백자를 구울 때 과열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253호 청자 상감 모란무늬 은테 대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53호 청자 상감 모란무늬 은테 대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53호 청자 상감 모란무늬 은테 대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53호 청자 상감 모란무늬 은테 대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53호 청자 상감 모란무늬 은테 대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53호 '청자 상감 모란무늬 은테 대접'은 대접의 입구 언저리인 구연부(口緣部)를 은(銀)으로 테두리를 두른 아주 희귀한 작품이다.

내측과 외측에 서로다른 기법으로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안쪽 면에는 틀을 이용해 찍어내는 기법인 양인각(陽印刻)을 사용했는데, 안쪽 바닥 중앙에 꽃을 새기고 측면부에는 연당초문을, 구부(口部)에는 당초문대를 양인각 했다.

바깥면에는 모란꽃을 상감기법(象嵌技法)으로 표현했다.

유약은 '문공유묘(文公裕墓, 고려 의종 1159년에 세상을 떠난 문공유의 묘)'에서 출토된 청자 대접(청자 상감 국화 넝쿨 무늬 완)에 비해 조금 탁하고 반투명하며, 빙렬이 있다.

'청자 상감 모란무늬 은테 대접'에서 볼 수 있는 큰 특징 중 하나인 내외 서로 다른 시문 기법은 한 쪽 면에만 상감 기법이 소극적으로 사용되던 시기의 순청자와 상감청자의 혼합 양식을 보여주는 현존하는 유일한 은구 자발로 평가받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98호 청자 상감 모란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8호 청자 상감 모란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8호 청자 상감 모란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8호 청자 상감 모란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8호 청자 상감 모란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8호 청자 상감 모란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8호 '청자 상감 모란 무늬 항아리'는 12세기 고려시대 청자로 높이 19.8cm, 입지름 20.6cm의 크기로 만들어졌으며,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전체적인 형상은 동기(銅器)의 형태를 그대로 옮겨 놓은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는 고려시대에청자는 물론 각종 동기도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이며, 실제로 고려 청자의 기종 및 기형 가운데는 동기의 모양을 그대로 본따 청자로 만든 예를 많이 볼 수 있다.


몸통 양쪽에 달려있는 동물 모양의 손잡이는 동기의 디자인에서 유래했다고 볼 수 있으며, 높이 또한 일반적인 청자에 비해 드물게 큰데, 서울과 경기도 지방에서 방구리라고 불리는 질그릇과 크기나 모양이 아주 비슷하며 주로 마시는 음료를 담는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몸통 양면에는 상감기법을 사용해 모란꽃 문양을 넣었는데, 백상감 처리된 꽃술과 꽃잎 둘레를 매우 가는 흑선으로 처리했고, 꽃잎 맥은 음각선으로 세밀하게 표현해 동기 형태의 큰 그릇 모양과 모란꽃 문양이 아주 잘 어울린다.

꽃 부분의 백토 상감은 매우 두텁게 처리되어 일부 부풀어 오른 곳도 보인다.

유약은 맑은 녹색이 감도는 회청색으로 전면에 얇고 고르게 입혀져 있고, 투명도가 높고 광택이 청아한 것이 특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328호 기영회도(耆英會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328호 기영회도(耆英會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328호 기영회도(耆英會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328호 기영회도(耆英會圖)/국립중앙박물관]




기영회도(耆英會圖)에서 기영회(耆英會)는 조선시대 정2품 이상의 벼슬을 지낸 70세가 넘은 원로 사대부들의 모임으로 기로연(耆老宴), 기로회(耆老會)라고도 불렀다.

기영회는 고려시대 높은 관료들의 사적모임에서 출발해 점차 정치적 모임으로 발전했으며, 조선 태종 이후 연회적 성격으로 변모해가기 시작했다.

이러한 기영회는 예조가 주관했으며 따라서 예조판서가 주관자가 되고 왕의 비서실장격인 승지가 특별히 파견되어 감독했다.

보물 1328호 기영회도는 그 장면을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넓은 대청이 있는 건물 내부에서 행해지는 연회 장면을 생동감있게 잘 표현하고 있다. 전체 그림에서 윗부분에는 제목을 써넣었고, 아랫쪽에는 참석한 사람들의 이름과 자, 호, 본관, 품계 등의 서열과 시문을 적어 일반적인 계회도의 형식을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연회의 장면을 그림으로 옮기는 것이 목적이었던 만큼 전체적으로 산수 배경은 생략했으며, 건물 내부를 부각되게 배치하여 연회에 참석한 원로사대부들과 주변 인물들의 움직임을 실감나게 담아내고 있다.

본 기영회도에서 참석한 일곱 명의 원로 사대부는 흉배 없는 관복(담홍포)을 입고 호피무늬 방석 위에 앉아 각각 앞에 상을 받아 두고 있으며, 두 명의 원로는 오랜 회포를 풀 듯 서로 공손히 무릎을 꿇고 잔을 들어 마주하는 장면도 연출되어 있다.

또, 그림 상에 나타나는 촛불을 통해 연회가 열린 시간이 저녁시간인 것도 알 수 있다.

7명의 참석자 명단은 홍섬(1504~1585), 노수신(1515~1590), 정유길(1515~1588), 원혼(1505~1588), 정종영(1513~1589), 박대립(1512~1584), 임열(1510~1591)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투구(손기정 투구)/국립중앙박물관]



[보물 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투구(손기정 투구)/국립중앙박물관]



[보물 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투구(손기정 투구)/국립중앙박물관]



[보물 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투구(손기정 투구)/국립중앙박물관]



[보물 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투구(손기정 투구)/국립중앙박물관]



보물 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투구'는 서구 유물로는 유일하게 국내 지정문화재로 등록된 사례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인 손기정 선수가 금메달과 함께 부상으로 받은 투구이다. 하지만 당시 손기정 선수에게 전달되지 못하고 베를린 샬로텐부르크 박물관에 50여년간 보관되어 있었는데, 1986년 베를린 올림픽 개최 50주년을 기념하여 원래 주인인 손기정 선수에게 헌정의 형식으로 반환되었으며, 1994년 '이 투구는 내 것이 아닌 우리 민족의 것이다' 라는 뜻으로 국가에 기증한 것이다.

이 청동투구는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 코린트에서 제작한 것으로, 고대 그리스 올림픽 제전 때 승리를 기원하면서 신에게 바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것이다.

1875년 독일의 고고학자들에 의해 올림피아에서 발굴되었으며, 실제로 투구를 썼을 때 머리 부분은 눈과 입을 제외한 거의 모든 부분이 완전히 가려지는데, 이러한 형태의 투구는 고대 그리스 신전이나 기념비에 새겨진 무사상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이처럼 완벽한 원형을 유지한 예는 거의 없어 유물로써 가치가 높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당시 마라톤 우승자에게 이 고대 투구를 주기로 되어 있었고, 당시 이대회에 출전한 손기정은 2시간 29분 19.2초의 기록이라는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메달 이외의 부상을 수여할 수 없다'고 하는 올림픽 규정에 따라 이 투구는 손기정 선수에게 전달되지 못했고, 50여년간 베를린 샬로텐부르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