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사의 9층탑


신라 제27대 선덕왕 즉위 5년인 정관 10년 병신년(636년)에 자장법사가 서쪽(당나라)으로 유학을 갔는데, 바로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에게 감화되어 불법을 전수받았다.

문수보살은 자장법사에게 말했다.
"너희 나라 왕은 천축 찰리종(刹利種, 고대 인도에서 네 계급 중 두 번째에 해당하는 크샤트리아를 말한다)의 왕으로 이미 불기(佛記, 불교 이치를 깨달은 이에게 주는 본인의 미래에 관한 기록)를 받았기 때문에 특별한 인연이 있어 동이(東夷, 황하 문명을 중심으로 하고 동서남북 사방의 변방을 하급의 문화로 폄하하는 데서 나온 관념으로 산동성 제나라도 동이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공공(共工, 중국 요순 시대에 흉포하기로 이름난 종족으로 중국 강회江淮 지방에 살았다)의 종족과는 다르다. 산천이 험준한 탓에 사람의 성품이 거칠고 사나워 사교(邪敎, 건전하지 못하고 그릇된 종교)를 믿어 때때로 천신이 재앙을 내리기도 한다. 그러나 법문(法文, 불경의 글)을 많이 들어 알고 있는 승려들이 나라 안에 있기 때문에 군신이 편안하고 모든 백성이 평화롭다."
말을 마치자 문수보살은 이내 보이지 않았다. 자장법사는 이것이 보살의 변화임을 알고 눈물을 흘리며 물러갔다.
그가 중국의 태화지(太和池) 둑을 지나가는데, 갑자기 신령한 사람이 나타나 물었다.
"어찌하여 이곳까지 왔는가?"
자장법사가 대답했다.
"보리(菩提, 보디bodhi의 음역으로 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 정각正覺의 지혜, 즉 불타에 이르는 길을 말한다)를 구하기 위해서입니다."
신령한 사람이 그에게 절하고서 다시 물었다.
"너희 나라에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자장법사가 대답했다.
"우리나라는 북쪽으로는 말갈과 닿아 있고 남쪽으로는 왜와 이어져 있으며, 고구려와 백제 두 나라가 번갈아 가며 국경을 침범하여 이웃의 침입이 잦으니, 이것이 백성의 고통입니다."
신령한 사람이 말했다.
"지금 너희 나라는 여자를 왕으로 삼아 덕은 있으나 위엄이 없으므로 이웃 나라에서 침략을 하려는 것이다. 그러니 빨리 본국으로 돌아가거라."
자장법사가 물었다.
"고국으로 돌아가 무슨 일을 해야 이롭겠습니까?"
신령한 사람이 말했다.
"황룡사의 호법룡(護法龍, 불교 또는 불법을 보호하거나 옹호하는 용)은 바로 내 큰아들인데, 범왕(梵王, 범천왕梵天王의 준말로 인도 바라문교婆羅門敎-힌두교의 기본 배경이 되며 불교에도 영향을 미친 인도의 원시종교-의 최고 신이다)의 명령을 받고 가서 절을 보호하고 있는 것이다. 본국으로 돌아가서 절 안에 9층탑을 세우면, 이웃 나라들이 항복하고 동방의 아홉 나라(九韓)가 와서 조공을 바치며 왕 없이도 영원히 편안할 것이다. 그리고 탑을 세운 후에 팔관회(八關會, 호국 사상에서 생겨난 팔관회는 우리나라의 고유 민속과 불교가 접목된 것으로 윤등을 설치하고 향등을 달아 밤새도록 광명과 향기가 가득하도록 연화대를 설치해 가무를 즐기는 축제로 신라시대에 시작되어 고려 시대에 가장 많이 개최되었던 불교 의례다)를 열고 죄인을 풀어 주면 밖의 적이 해를 끼치지 못할 것이다. 다시 나를 위해 서울 남쪽 언덕에 정사를 하나 짓고 함께 나의 복을 빌어 주면 나 역시 덕을 갚을 것이다."
말을 마치자마자 신령한 사람은 자장법사에게 옥(玉)을 바치고는 갑자기 사라져 보이지 않았다.-<사중기寺中記>에는 종남산終南山 원향선사圓香禪師의 처소에 탑을 세워야 할 이유를 들었다고 했다.
정관 17년 계모년(643년) 16일에 자장법사는 당나라 황제가 내려준 불경, 불상, 가사, 폐백을 갖고 본국으로 돌아와 왕에게 탑을 세울 것을 권했다.

선덕왕이 여러 신하들과 의논하자 신하들이 말했다.
"백제에 부탁해 공장(工匠, 장인 중에서 국가의 직역 체제 아래에 편재된 장인층의 장인)을 데려와야 가능합니다."
선덕왕은 보물과 비단을 가지고 백제로 가서 공장을 청하게 했다. 아비지(阿非知)라는 공장이 명을 받고 와서 재목과 돌을 다듬고, 이간(伊干, 신라 17관등의 제2등으로 잡찬의 위이다) 용춘(龍春, 혹은 용수龍樹라고 하며, 태종 무열왕의 아버지다)이 수하 공장 200명을 거느리고 일을 주관했다.
처음 이 탑의 기둥을 세우던 날 아비지는 백제가 망하는 형상을 꿈꾸었다. 그래서 마음속으로 의심이 되어 손을 떼려 했다. 그러자 갑자기 대지가 진동하고 사방으 컴캄해지더니 한 노승과 장사가 금전문(金殿門)에서 나와 그 기둥을 세우고는 모두 사라져 버렸다. 공장은 뉘우치고 탑을 완성했다.

<찰주기刹柱記>에 이렇게 말했다.
"철반(鐵盤) 이상의 높이는 42근자, 그 이하는 183자다(약 66미터 정도 되며, 21미터의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의 세 배다)."
자장법사는 오대산에서 받은 사리 백 개를 기둥 속과 통도사 계단(戒壇, 승려가 계를 받는 제단으로 대승 계단과 소승 계단으로 나뉜다) 및 대화사(大和寺) 탑에 나누어 모셔, 못에 있는 용의 청원을 들어주었다.-대화사는 아곡현阿曲縣 남쪽에 있으니 지금의 울주이며 역시 자장법사가 세운 것이다.
탑을 세운 이후에 천지가 태평하고 삼한이 통일되었으니, 어찌 탑의 영험이 아니겠는가?
그 뒤 고구려 왕이 장차 신라를 정벌하고자 계책을 세우고 이렇게 말했다.
"신라에는 세 가지 보물이 있어 침범할 수가 없다고 하는데 무엇을 말하는가?"
"황룡사의 장륙존상과 9층탑, 그리고 진평왕의 천사옥대(天賜玉帶)입니다."
이 말을 듣고 고구려 왕은 신라를 치려는 계획을 그만두었다. 주(周)나라에 구정(九鼎, 중국 하나라 우임금 때 전국의 쇠를 모아 만든 아홉 주州를 상징하는 솥)이 있어서 초(楚)나라 사람들이 감히 북쪽(주나라)을 엿보지 못했던 것과 마찬가지다.
다음과 같이 기린다.
귀신이 받치는 힘으로 수도 장안을 누르니,
휘황찬란한 금벽색이 기왓장을 움직이네.
올라가 굽어 보니 어찌 구한(九韓)만 복종하랴.
천하가 특히 태평함을 비로소 깨달았네.
또 해동(海東) 명현(名賢) 안흥(安弘)이 지은 <동도성립기東都成立記>에는 이렇게 말했다.
"신라 제27대에는 여자가 임금이 되니 비록 도는 있으나 위엄이 없어 구한이 침략했다. 대궐 남쪽 황룔사에 9층탑을 세운다면 이웃 나라의 침략을 억누를 수 있을 것이다. 1층은 왜(倭, 일본), 2층은 중화(中華, 중국 남북조시대 북조로 추정), 3층은 오월(吳越, 중국 남북조시대 남조로 추정), 4층은 탁라(托羅, 탐라국), 5층은 응유(鷹遊, 백제로 추정), 6층은 말갈(靺鞨), 7층은 거란(丹國), 8층은 여적(女狄, 여진족), 9층은 예맥(穢貊, 고구려로 추정)을 억누른다."

또 <국사>와 <사중고기寺中古記>를 살펴보면, 진흥왕 14년 계유년(553년)에 절을 세운 뒤 선덕왕 때인 정관 19년 을사년(645년)에 탑을 처음 세웠다. 32대 효소왕(孝昭王)이 즉위한 7년 성력(聖曆, 성군이 다스리는 태평한 세상) 원년 무술련(698년) 6월에 벼락을 맞았다.-<사중고기>에 성덕왕(聖德王) 때라고 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성덕왕 때에는 무술년이 없다.-제33대 성덕왕 경신년(720년)에 다시 지었고, 제48대 경문왕(景文王) 무자년(868년) 6월에 두 번째 벼락을 맞아 같은 시대에 세 번째로 다시 지었다. 고려 광종(光宗) 즉위 5년 계축년(953년) 10월에 세 번째 벼락을 맞았고 현종(顯宗) 13년 신유년에 네 번째로 다시 지었다. 또 정종(靖宗) 2년 을해년에 네 번째 벼락을 맞아 문종(文宗) 갑진년(1064년)에 다섯 번째로 다시 지었다. 헌종(獻宗) 말년 을해년(1095년)에 여섯 번째로 다시 지었다. 고종 16년 무술년(1238년) 겨울에 몽골이 침입하여 탑과 절, 장륙존상과 전각이 모두 불에 타버렸다.
-삼국유사 권 제4 塔像 제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