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92호 청동 은입사 물가 풍경 무늬 정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2호 청동 은입사 물가 풍경 무늬 정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2호 청동 은입사 물가 풍경 무늬 정병/국립중앙박물관]



고려시대 정병은 대체로 몸체가 계란형으로 매끈하게 빠진 긴 목 위로 뚜껑 형태의 둥근 테가 놓인다. 그 위로 다시 대롱형의 물을 빼는 첨대(尖臺)가 솟아 있으며, 몸체 한쪽에는 중간을 잘록하게 좁힌 귀때가 붙어 있다.

'청동 은입사 물가 풍경 무늬 정병'은 무늬로 물가 풍경을 넣었는데, 길게 늘어진 버드나무와 노를 저어가는 어부와 낚시꾼 등 잘 표현되어 있으며, 모든 그림은 홈을 파 은선을 두드려 넣은 은입사 기법이 사용되었다.

전체적으로 청동의 색과 은입사로 표현된 무늬가 묘한 분위기를 자랑하고 있다.


정병(淨甁)은 인도에서 에서 승려가 먼길을 떠날 때 메고 다니던 물을 담은 물병에서 유래되었으며, 훗날 승려가 가지고 다니는 필수품의 하나로 쓰이게 되었다.

그러다 차츰 부처님 자비의 상징으로 변화되었는데, 바로 정병 속에 들어있는 물을 통해 중생들의 목마름과 고통을 덜어준다고 하는 상징적 의미의 공양구의 용도로 인식하게 되었다.

정병을 만드는 재료는 주로 청동과 도자기가 사용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불교을 숭상하던 고려시대에 특히 많이 제작되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