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평교자/출처:(주)천재교육


가마는 본래 특별한 경우 외에는 문신만이 타고 무관이나 음관(蔭官, 음직이 제수된 자)은 탈 수 없게 되어 있었다. 음관은 정식으로 과거를 거쳐 관직에 오른 자가 아니므로 일반문신과 차별을 두기 위해 가마를 타지 못하게 하였다. 한편 무관이 가마 타는 것을 금지한 이유는 문신에 비해 천시된 탓도 있지만, 무관은 전쟁터에서 말을 달려야 하는 몸이므로 평소에도 말을 타는 일을 몸에 익히게 하기 위해서였다.

일반적으로 가마라 하면 여자들이 타고 다니던 탈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여자들이 타는 가마라면 지붕과 벽이 있는 유옥교자를 상상하기 쉽다. 하지만 조선 초기만 하더라도 여자들이 타고 다니던 가마도 지붕과 벽이 없이 사방이 트여 있는 평교자가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남녀가 내외하는 습속이 강화되고 유교적인 윤리가 강화되면서 여자들이 평교자 타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생겼다. 부녀자들이 가마꾼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가는 모습이 보기에 좋지 않고, 때로는 말을 주고받으며 희롱하기도 한다 하여 아름다운 풍속을 어지럽힌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15세기 초 태종 때에는 양반 부녀자들로 하여금 사방이 가려진 유옥교자를 타고 다니되, 유옥교자가 없으면 말을 타고, 말이 없으면 차라리 걸어다니라 하여 평교자 타는 것을 금했다. 그러나 평교자 타는 것이 오랜 습속인데다가 유옥교자가 고가품으로 구하기도 어려워 이러한 법령은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다. 그래서 세종 때에는 1품관이나 2품관의 처가 타고 다닐 푸른색 옥교와 3품관의 처가 타고 다닐 검은색 옥교를 나라에서 만들어 보여 주고 관원들에게 그대로 본떠 만들게 하기도 하였다.


전통 가마 행렬/출처:(주)천재교육


그런데 여자들 중에도 가마를 탈 수 있는 사람은 아주 소수였다. 3품관 이상의 처, 어머니, 딸, 며느리만이 탈 수 있었다. 처음에는 여자들이 옥교를 타는 일이 많지 않았지만, 16세기쯤에는 많은 여자들이 옥교를 탔다. 나중에는 사치풍조가 번지면서 지체 높은 여인이 가마를 타지 않고 바깥나들이를 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게 되었다. 그와 더불어 부와 권위를 과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마가 활용되면서 많은 여자들이 가마를 탔다. 장사치의 처와 달, 고관의 첩들도 가마를 타고 다녔고, 18세기쯤에는 전라도에서 아전(衙前,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서 행정 일을 보던 하급 관리)집안 여자들이 옥교를 타고 다녀 양반들의 눈총을 샀다. 19세기가 되면 의관(醫官)이나 역관(曆官) 집 여자들은 물론이고, 기생에 바느질하는 침선비(針線婢)까지 가마를 타고 다닐 지경이 되었다. 그러면서 점차 시집가는 날은 여염집 여자들도 가마를 타게 되었다.

-'전통사회와 생활문화(이해준 정승모 정연식 전경목 송찬섭)' 中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