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금관총 금허리띠/국립중앙박물관]


[금관총 금허리띠/국립중앙박물관]


[금관총 금허리띠/국립중앙박물관]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금관총에 출토된 국보 88호 금허리띠는 신라시대 유물로, 얇은 금판으로 제작된 40매의 허리띠꾸미개와 허리띠고리, 허리띠끝장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허리띠 그리고, 금허리띠에 화려하게 달려 있는 총 17줄의 허리띠드리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허리띠꾸미개는 혁대에 고정되는 사각형 판에 심엽형(풀이나 나무 우듬지의 가운데에서 돋아 오르는 잎 모양) 장식이 달려 있으며, 금판 위에 인동무늬를 간략화시킨 세잎무늬를 표현했고, 둥근 달개를 금실로 꼬아서 매다는식으로 보다 화려하게 보이도록 한 것이 특징입니다.

허리띠드리개는 타원형 판과 방형 판을 교대로 연결했는데, 가장 긴 것은 타원형 장식이 10개로 구성되어 있고, 끝에는 3개의 방울이 매달려 있습니다.

나머지 장식 가운데 13줄은 3개의 타원형 장식과 5~6개의 방형장식을 연결했으며, 맨 아래에 곱은옥, 용무늬 맞새김장식, 물고기장식 등이 매달려 있습니다.

나머지 3줄은 사슬과 속이 빈 금구슬을 사이사이에 연결해 드리웠으며 끝부분에는 향주머니가 달려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94호 청자 참외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4호 청자 참외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4호 청자 참외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4호, '청자 참외 모양 병'은 높이 22.6cm, 입지름 8.4cm, 바닥지름 7.4cm의 크기로 고려청자 절정기인 12세기 전반에 제작된 대표적인 고려청자다.

고려 17대 임금인 인종(仁宗/재위 1122~1146)의 무덤인 장릉(長陵)에서 '황통 6년(皇統六年. 1146)의 기록이 있는 인종의 시책과 함께 출토되었으며, 참외 모양을 한 몸통과 치마주름 처럼 주름이 잡힌 굽다리가 달려있고, 입구는 활짝 핀 여덟 개의 꽃잎 모양으로 되어 있다.

목 부분에는 가로로 세 줄이 음각되어 있는 것 외에 다른 장식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이러한 양식은 중국 송대 부터 유래하였지만 중국에 비해 훨씬 온화하고 단정한 곡선과 비례를 보이고 있다. 회청색에 옅은 녹색 빛이 도는 반투명의 청자유가 시유되어 고려 비색의 표본을 보이고 있다. 단아한 기형과 고도로 정선된 유약과 태토가 고려청자 최전성기의 것임을 추측할 수 있는 작품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95호,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5호,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5호,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5호인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는 고려청자의 대표적인 명품 가운데 하나로, 높이는 15.3cm의 크기이며, 향이 퍼져나가도록 투각된 칠보무늬 구(球)를 얹은 뚜껑과 국화잎 모양이 장식된 향을 담아 태우는 몸통 부분, 그리고 세마리의 토끼가 각각 등으로 받치고 있는 받침(세발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기 다른 모양을 기능적으로 조화롭게 결합시켜 완성한 조형물로 음각, 양각, 투각, 퇴화, 상감, 첩화 등 다양한 기법이 조화롭게 사용된 것이 특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청동방울 팔주령 윗면/국립중앙박물관]


[청동방울 팔주령 밑면/국립중앙박물관]


[청동방울 팔주령 옆/국립중앙박물관]


청동방울 팔주령은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에서 출토되었으며, 국보 143-2호이다. 표면이 오목하고 뒷면이 불룩한 팍각형 모양의 청동판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총 여덟개의 청동구슬이 들어있는 방울이 달려 있는데, 보통 청동방울은 쌍으로 출토가 되는 것으로 보아 두 손으로 들고 방울을 흔들었던 종교적 의식용 도구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비슷한 시기에 중국과 일본 등 주변 국가에서는 출토되지 않는 유물로 한반도 특유의 청동유물이라고 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