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호에 대한 연구와 관련해서는 크게 두 가지의 상이한 연구 흐름을 구분할 수 있다. 그중 하나가 소쉬르가 제창한 기호학이라면 다른 하나는 미국의 철학자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의 연구에 연원을 두고 있는 기호론이다. 소쉬르가 기표와 기의를 구분한 것과 달리 퍼스의 기호 이론에서는 세 가지 요소가 주축을 이룬다. '기호(sign)'와 '대상(object)', '해석체(interpretant)'가 바로 그 세 가지 요소이다. 퍼스의 설명에 다르면 기호는 대상을 거쳐 해석체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만일 내가 벗겨진 나무껍질을 본다면 이것은 주위에 사슴이 있다는 것을 알려 주는 기호가 될 수 있다. 그 나무껍질이 기호이고 그 껍질을 벗긴 실제 사슴이 대상이며, 사슴에 대한 나의 사고가 해석체이다. 그러므로 해석체란 기호를 읽는 독자가 시초에 주어진 기호에 대해 갖게 되는 심적 반응인 것이다. 퍼스 이론에서 중요한 점은, 기호가 일련의 해석체들로 연결된 사슬을 파생시키므로 기호가 자명하거나 투명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독자 개개인이 기호를 자기 나름대로 해석할 따름이다. 다라서 독자는 기호와 그에 대한 해석체에 의해 실제 대상과 항상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퍼스는 해석의 사슬이 발전해 나감에 따라 해석체가 점차 대상에 보다 적합하도록 만들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과적으로 언어 외부에 존재하는 대상이 기호와 기호체계에 압력을 가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퍼스적 관점에서 볼 때, 각 문화마다 식물을 분류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식물학자와 요리사가 식물들을 실제로 다루고 연구함으로써 마침내는 허브와 채소를, 그리고 로즈마리와 당근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퍼스의 기호학은 세 가지 기호 유형에 대한 유용한 개념틀을 제공하기도 한다. 상징(symbol)은 관습에 의해 그 지시 대상에 연결되는 기호이다. 예컨대 단어 '개'와 실제의 개 사이에 물리적인 공통점이나 여타의 다른 공통점이라곤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또 국기는 국가를 나타낼 수 있지만 추상적인 고안물에 다름 아니다. 반대로 지표(index)는 대상과 인과적 또는 존재론적인 연결고리를 갖는다. 그래서 벗겨진 나무껍질은 지표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사슴에 의해 생겨났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연기는 불의 지표이다. 마지막으로 도상(icon)은 대상과 어떤 특질들을 공유한다. 따라서 지도는 재현적인 그림이나 사진처럼 도상적이다.

[앤드루 애드거, 피터 세즈윅 편(박명진 외 역), '문화 이론 사전', 하나래 2003, pp, 91~97.]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소쉬르의 여러 논의 중 특히 기호학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가치의 개념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쉬르는 언어가 그에 앞서 존재하는 외부적 대상이나 실재와 단순히 상응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즉 언어의 의미는 외부의 대상과 맺는 관계를 통해서가 아니라 단어들 간에 존재하는 동일성과 차이의 관계를 통해서 구성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버지'라는 단어의 의미는 실제의 생물학적 존재로서의 아버지와의 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나 자녀, 삼촌 등 다른 단어들과의 차이에 의해 규정된다. 이 과정에서 소쉬르가 의미 생성의 주요 기제로 설명하는 것이 바로 이항대립(binary opposition)이다.

즉 한단어의 의미는 그것과 상호 배제적인 다른 단어와의 대립(예를 들어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의 대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들 다양한 대립쌍들은 함께 모여 하나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틀 속에서 결국 개별 단어의 의미는 구조 내에서의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어의 가치란, 마치 우리나라의 화폐인 원화의 체계 속에서 100원짜리 동전의 가치가 500원짜리 동전이나 10원짜리 동전과의 대비에 의해 형성되듯이, 언어의 구조 속에서 다른 단어들과의 대비에 의해 형성된다.

[문화비평과 미학/최연희 정준영]


이항대립(binary opposition)

소쉬르의 언어학과 래드클리프-브라운(Radcliffe-Brown)의 문화인류학에 뿌리를 둔 구조주의의 개념으로서, 하나의 항이나 기호가 자신과 상호 배제적인 또 다른 항에 준거하여 의미를 발생시키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두 항은, 그 체계 안의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는 두 가지 기본 상태들을 가리킴으로써(예를 들면 문화 : 자연, 어둠 : 빛, 남성 : 여성, 탄생 : 죽음), 하나의 완벽한 체계를 기술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항대립의 한 항은 오로지 다른 항과 관련해서만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항은 그것의 대립항이 아님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하나의 항은 하나 이상의 이항대립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그것의 의미가 수정된다.(예를 들어 죽음은 '탄생의 반대' 사건으로 이해될 수도 있고, '살아 있지 않은' 상태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항대립은 자연 세계와 사회 세계에 대한 지각과 해석을 구조화한다.

[앤드루 애드거, 피터 세즈윅 편(박명진 외 역), '문화 이론 사전', 한나래 2003, p. 316.]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기호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기표와 기의는 기호를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를 가리킨다. 기표는 기호가 나타나는 물질적 형태로써, 말해지거나 쓰여진 단어나 대상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 기의는 기호가 지시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사과라는 단어가 있다면 사과라는 글자가 기표이며 사과라는 단어를 볼 때 우리가 머릿속에 떠올리는 대상이 바로 기의가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우리의 상식적 생각과 달리 기의가 실재 세계에 존재하는 개별적인 대상이나 사건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즉 사과라는 단어가 가리키는 것은 어느 특정한 사과가 아니라 사과 일반을 가리킨다.

소쉬르가 기의를 설명하면서 기표가 지시하는 대상이라고 설명하지 않고 기표가 환기시키는 대상의 심적 영상이라고 표현한 것이 이를 보여준다.

또 하나의 기표가 반드시 하나의 기의하고만 연결되는 것도 아니다. 하나의 기표가 다수의 기의를 가질 수 있고 반대로 하나의 기의가 다수의 기표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사과라는 기표는 과일로서의 사과 외에 맥락에 따라 어느 지역(일테면 사과의 주산지)이나 특정한 기념일(사과데이)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장미꽃이나 향수, 포옹 등이 모두 사랑이라는 기의를 표현하는 기표가 될 수 있다.

의성어와 같이 지시 대상에 대한 모방적 성격이 두드러져 상대적으로 자의성이 약한 기호의 사례도 없지 않지만, 이들 기표와 기의 사이의 관계는 대체로 자의적이며 그 언어 공동체의 문화적 관습에 따라 결정된다.

[출처: 앤드루 애드거, 피터 세즈윅 편(박명진 외 역), '문화 이론 사전', 한나래, 2003. pp. 90~91]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