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白磁靑畵草花文瓢形甁)'은 조선후기 경기도 광주 금사리의 가마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전체적으로 조롱박 모양을 하고 있지만, 아래 쪽 볼록한 면을 곡선이 아닌 8모로 깎아 만들고, 그 위로 목이 긴 곡선의 병을 얹은 단정하고 안정감 있는 모양의 호리병으로, 조선백자에서는 보기 드문 독특한 형태이다.


전체 크기

높이 21.1cm, 입지름 3.7cm,  바닥지름 7.8cm


순백색의 백자의 색감과 청색의 문양이 여백의 미를 살리면서 조화롭게 표현돼 있는데, 위쪽볼록한 면에는 길상도안(吉祥圖案, 상서로운 의미를 지닌 문양 및 도안)의 한 종류인 전보(錢寶, 옛날 동전 무늬)와 방승보(方勝寶, 네모난 고리가 가로세로로 연속해서 이어진 모양의 무늬)를 그려 넣었고, 아래의 각진 면에는 한국적 정취를 한껏 살려주는 난초와 패랭이꽃을 넣었다.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8호 '백자 청화 꽃 무늬 조롱박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粉靑沙器象嵌蓮唐草文甁)'은 높이 31.8cm, 입지름 7.7cm, 바닥지름 9.8cm 크기의 조선시대 분청사기 병이다.

전체적으로 유약이 잘 녹아 맑게 윤이 나며, 다리굽의 접지면은 유약을 닦아내고 내화토를 얇게 발라 구웠다.

나팔처럼 벌어진 입구 부분에서 풍만하게 처리된 몸통 부분에 이르는 유연한 곡선과 높고 튼튼한 굽의 조화가 형태미와 안정감을 돋보이게 한다.

몸통 부분에는 연꽃을 중앙 세 곳에 흑상감(도자기 표면에 여러 가지 무늬를 새겨서 그 속에 흑토나 자토를 메워 넣는 공예 기법)으로 새겨 넣고, 연꽃 줄기가 원을 그림며 감싸듯 이어져 있어 형태와 무늬 구성이 조화롭고도 짜임새 있게 표현되었다.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7호 '분청사기 상감 연꽃넝쿨 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930호 '청자 퇴화 풀꽃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와 받침'은 12세기 고려시대 작품으로 높이 29.8cm, 입지름 18.5cm의 크기이다.

조롱박 모양의 본체에 무늬가 독특하게 표현되어 있는데, 백토(白土) 안료를 사용해 붓으로 무늬를 나타내는 퇴화기법을 이용했다. 이러한 퇴화기법은 도자기에 점을 찍어 장식하거나 무늬를 그리는데 주로 이용되는 기법으로 사실적인 무늬를 묘사하기 보다는 사물을 단순화시키거나 왜곡시켜 표현하는 경우가 많고, 철화기법과 같이 붓을 이용해 표현하기 때문에 표현이 자유로운 특징을 가진다.

보물 1930호 '청자 퇴화 풀꽃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와 받침'/ⓒ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453호 도기 녹유 탁잔은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작품으로 고화도 소성의 회백색 바탕흙에 녹유(綠釉)를 입혀 제작하였으며, 잔과 잔받침이 한 벌로 구성되어있는 받침잔(탁잔 托盞)이다.

잔은 반구형태이고 작고 짧은 굽이 달려있으며, 뚜껑에는 작은 보주형 꼭지가 달려있다. 잔받침에도 높이가 짧은 굽이 있고, 잔받침 내면에는 잔을 잔받침에 꽂을 수 있도록 홈을 만들어 장치했다.


높이: 11.5c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청자 상감 모란 줄기 무늬 기름병/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상감 모란 줄기 무늬 기름병'은 12세기 고려시대 작품으로 높이 3.4cm, 입지름 3.1cm 크기의 도자기(청자)로써, 머리나 몸에 바르는 향기가 있는 기름을 담아 사용하기 위한 용도의 병이다.

납작한 형태의 몸체 위쪽에는 모란줄기 무늬가 들어가 있는데, 모란꽃은 백상감 장식, 모란잎은 흑상감 장식이 되어 있다.

전체 문양의 형태는 도안화 된 것으로 사실적인 형태와는 차이가 있지만, 몸체와 어우러진 크기와 배치로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437호 백자 달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437호 '백자 달항아리'는 맑은 흰 빛깔과 너그러운 둥근 맛으로 요약할 수 있는 조선백자만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잘생긴 항아리로 꼽힌다.

백자 달항아리는 전체 생김새가 마치 달덩이와 같이 둥그렇고 원만한 모습으로 인해 이름 그대로 달 항아리로 불리는데,

실제로는 달처럼 완전히 둥근 모양이 아닌 원만한 타원형에 가깝고, 비대칭을 이루는데, 굽는 과정에서 한쪽이 조금 내려 앉은 것으로 보이며, 입부분의 지름보다 굽의 지름이 조금 작은 형태를 하고 있다.

표면의 색조는 우윳빛에 가까운데, 푸른 색의 느낌이 거의 없는 투명한 백자유가 사용되었고, 부분적으로 빙렬(氷裂, 얼음이 갈라져 생기는 금 모양의 무늬)이 크게 나타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70호 '백자 청화 매화 대나무 새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70호 '백자 청화 매화 대나무 새 무늬 항아리'는 높이 16.5cm, 입지름 6.2cm, 바닥지름 9cm의 크기로 15세기 조선시대 작품이다.

조선시대 관요(관청에서 필요로 하는 사기 제작을 위한 정부 직영의 가마 또는 사기 제조장)에서는 청화백자에 들어가는 그림을 그리는 작업을 궁중 화원이 담당하였는데, 그 결과 조선 백자는 '백자 청화 매화 대나무 새 무늬 항아리'와 같이 회화적인 성격이 강하면서 화격을 갖춘 매우 걸출한 작품들이 생산되었다.

'백자 청화 매화 대나무 새 무늬 항아리'의 매화, 대나무, 새 등은 청화 안료를 사용해 그렸으며(초기 청화백자에서 보이던 중국적인 화려한 문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선의 정취를 자아내는 문양으로 바뀌게 된다), 한국적인 정서가 돋보이는 원숙한 필치가 느껴진다.

문양의 위치에 따라 색의 짙기를 달리해 그림의 입체감과 사실적인 효과를 높인 것 또한 이 백자의 특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054호 '백자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54호 '백자 병(白磁 甁)'은 높이 36.2cm, 입지름 7.4cm, 바닥지름 13.5cm의 크기로 15~16세기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 일대인 도마리(道馬里) 가마, 무갑리(武甲里) 가마, 우산리(牛山里) 가마 등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백자 병'은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병으로써 풍부하면서도 단정한 기품이 느껴지는 형태와 옅은 청색을 머금은 맑은 백자 유약이 잘 조화된 작품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75호, '백자 상감 연꽃 넝쿨 무늬 대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75호, '백자 상감 연꽃 넝쿨 무늬 대접'은 높이 7.6cm, 입지름 17.5cm, 바닥지름 6.2cm의 크기의 작품으로, 고려 연질 백자의 계통을 이은 작품이다.

대접의 제작 시기는 경기도 광주의 분원 관요에서 15~16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백자 상감 연꽃 넝쿨 무늬 대접'은 조선시대 상감백자 중 가장 아름다운 예술작품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고 있는데, 조선시대 상감백자가 보통 유약이 거칠고 상감 솜씨도 미숙한데 비하여 마무리가 깔끔하고 부드러운 질감 표현이 우수하고 무늬를 나타낸 기법도 아주 섬세하다.

단정한 도자기 형태에 맞게 간결고 단순하면서도 부드럽고 예리한 선으로 표현된 넝쿨 무늬는 중국 원나라 말기부터 명나라 초기에 나타난 청화 백자와 그 문양이 유사하다.

대접의 전체적인 생김새는 중국 명나라 초기 대접과 아주 닮아 있지만 상감기법이나 유약의 특징은 고려백자의 전통을 담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7호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은 높이 29.7cm의 크기의 15세기 조선시대 초기 제작된 유물로써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도자기인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넘어가는 과정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매병이다.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무늬 매병'은 고려말 상감청자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지만, 무늬를 표현하는 기법에 있어 인화(印花)-도장을 찍어 문양을 표현하는. 기법의 비중이 높아지고, 유약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밝은 회청색으로 바뀐 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어깨쪽에 연꽃잎 문양을 간략하게 표현해 넣었고, 그 바로 아래쪽에는 넝쿨 띠를 상감하여 넣었다.

몸체 전체에 점을 찍어 채우고, 4개의 큰 원안에 파도 무늬 배경을 넣고 물고기를 각 두마리씩 상감하여 넣었다. 또, 큰 원과 원 사이 윗쪽에 학 네마리를 상감하여 표현했으며, 잘록한 허리부분에는 꽃과 풀을 추상적으로 표현해 넣었으며, 그아래에는 연꽃잎 모양의 문양을 상감하여 둘렀다.

유약은 청자유에 가까운 담청색을 띤 분청유를 사용하였는데, 복잡한 문양 구성과 유약은 기형과 더불어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모습으로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