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미추왕릉/ⓒ한국콘텐츠진흥원

제13대 미추이질금(未鄒尼叱今, 재위 262~284, 혹은 미조未組 또는 미고未古라 한다.-여기서 미조, 미고는 근저根抵, 원본元本이라는 뜻인 '및', '및'의 사음寫音이라는 설이 있다.)은 김알지의 7세손이다. 대대로 벼슬이 높았고 여전히 성현의 덕이 있어 이해(理解, '삼국사기'에는 점해沾解라고 되어 있다.)로부터 자리를 이어받아 처음으로 왕위에 올랐다. (지금 세상에서는 미추왕의 능을 시조당始祖堂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대개 김씨로는 처음으로 왕위에 올랐기 때문이며, 후대에 김씨의 여러 왕들이 모두 미추를 시조로 삼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왕위에 오른지 23년 만에 죽었는데, 왕릉은 흥륜사(興輪寺) 동쪽에 있다.

 

제14대 유리왕(儒理王) 대에 이서국(伊西國, 지금의 경북 청도 지역에 있던 나라) 사람들이 금성을 공격해 왔다. 우리 [신라]는 대대적으로 [군대를] 일으켜 막았으나 오랫동안 대항할 수가 없었다. 갑자기 귀에 댓잎을 꽂은 군대[竹葉軍]가 도우러 와서 우리 군대와 힘을 합쳐 적을 공격하여 무찔렀다. 적이 물러간 후에는 그들이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었다. 다만 미추왕의 능 앞에 댓잎이 쌓여 있는 것을 보고는 그제야 선왕이 음덕으로 도와 공을 세운 것임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그의 능을 죽현릉(竹現陵, 여기서 '현現'이 '엽葉'과 음이 통하므로 '죽엽릉'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이라 불렀다.

 

그 후 37대 혜공왕(惠恭王) 대인 대력(大曆) 14년 기미년(779년) 4월 김유신 공의 무덤에서 갑자기 회오리바람이 일어났다. 무덤 속에서 어떤 사람이 준마를 타고 나타났는데, 장군과 같은 위용을 갖추고 있었다. 또 갑옷 차림에 무기를 든 마흔 명가량의 군사가 뒤를 따라와 죽현릉으로 들어갔다. 잠시 후 능 안에서 진동하고 소리내어 우는 듯한 소리가 나고, 어떤 때는 호소하는 듯한 소리도 들렸다. 그 말은 이런 내용이었다.

 

"신은 평생을 시대의 환란을 구하는 데 힘을 보태어 통일을 이룩한 공이 있고, 이제는 혼백이 되어서까지 나라를 지키고 재앙을 물리쳐 환란을 구하려는 마음을 잠시도 고쳐먹은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지난 경술년(혜공왕 6년)에는 신의 자손이 죄도 없이 죽임을 당했으니, 그것은 군주나 신하가 저의 공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입니다. 신은 이제 다른 곳으로 멀리 떠나 다시는 [나라를 위해] 힘쓰지 않으려 하니 왕께서는 허락해 주십시오."

 

미추왕이 대답했다.

"나와 공이 이나라를 지키지 않으면 백성들은 어떻게 되겠는가? 공은 다시 예전처럼 힘써 노력해 주시오."

 

[김유신의] 세 차례 부탁에 세 차례 다 허락하지 않았으므로 회오리 바람은 곧 돌아갔다.

 

혜공왕은 그 말을 듣고는 두려워 즉시 대신 김경신(金敬信)을 보내 김유신의 공의 능에 가서 사과하고, 공덕보전(功德寶田) 서른 결(結)을 취선사(鷲仙寺, 취선사는 경북 경주에 있던 절로 '삼국사기' '김유신열전하'에 이 내용이 있다.)에 하사하여 명복을 빌게 했다. 그 절은 김공이 평양을 토벌한 후에 복을 심기 위해 세운 절이다. 미추왕의 혼이 아니었다면 김유신의 노여움을 막지 못했을 것이니, 나라를 지키는 마음이 크다고 할 수 있다.(이러한 미추왕의 혼은 호국령에 속한다.) 그래서 나라 사람들이 그 덕을 기려 삼삼(三山, 신라의 제전 중에서 대사大祀에 속하며 내림奈林, 골화骨化, 혈례穴禮의 세 곳이다.-이동환 설)과 함께 제사 지내기를 게을리하지 않고, 제사 차례를 오릉(五陵, 경주 탑동에 있는 신라 초기의 왕릉으로 제2대 남해차차웅 외에 신라 시조인 1대 박혁거세거서간과 왕비 일영, 3대 유리이사금, 4대 파사이사금의 무덤) 보다 위에 두고 대묘(大廟)라고 불렀다.

-삼국유사 권 제1 기이(紀異) 제1-

 

[함께보기: 이서국 전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