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쉬르의 여러 논의 중 특히 기호학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가치의 개념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쉬르는 언어가 그에 앞서 존재하는 외부적 대상이나 실재와 단순히 상응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즉 언어의 의미는 외부의 대상과 맺는 관계를 통해서가 아니라 단어들 간에 존재하는 동일성과 차이의 관계를 통해서 구성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버지'라는 단어의 의미는 실제의 생물학적 존재로서의 아버지와의 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나 자녀, 삼촌 등 다른 단어들과의 차이에 의해 규정된다. 이 과정에서 소쉬르가 의미 생성의 주요 기제로 설명하는 것이 바로 이항대립(binary opposition)이다.

즉 한단어의 의미는 그것과 상호 배제적인 다른 단어와의 대립(예를 들어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의 대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들 다양한 대립쌍들은 함께 모여 하나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틀 속에서 결국 개별 단어의 의미는 구조 내에서의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어의 가치란, 마치 우리나라의 화폐인 원화의 체계 속에서 100원짜리 동전의 가치가 500원짜리 동전이나 10원짜리 동전과의 대비에 의해 형성되듯이, 언어의 구조 속에서 다른 단어들과의 대비에 의해 형성된다.

[문화비평과 미학/최연희 정준영]


이항대립(binary opposition)

소쉬르의 언어학과 래드클리프-브라운(Radcliffe-Brown)의 문화인류학에 뿌리를 둔 구조주의의 개념으로서, 하나의 항이나 기호가 자신과 상호 배제적인 또 다른 항에 준거하여 의미를 발생시키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두 항은, 그 체계 안의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는 두 가지 기본 상태들을 가리킴으로써(예를 들면 문화 : 자연, 어둠 : 빛, 남성 : 여성, 탄생 : 죽음), 하나의 완벽한 체계를 기술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항대립의 한 항은 오로지 다른 항과 관련해서만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항은 그것의 대립항이 아님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하나의 항은 하나 이상의 이항대립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그것의 의미가 수정된다.(예를 들어 죽음은 '탄생의 반대' 사건으로 이해될 수도 있고, '살아 있지 않은' 상태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항대립은 자연 세계와 사회 세계에 대한 지각과 해석을 구조화한다.

[앤드루 애드거, 피터 세즈윅 편(박명진 외 역), '문화 이론 사전', 한나래 2003, p. 316.]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공시성과 통시성은 소쉬르가 그의 언어학을 발전시키면서 구분한 것으로 이후 구조주의의 많은 작업에서 근본적인 구분이 되었다. 현상에 대한 공시적 접근방식을 취하는 것은 역사의 한순간에서 이 현상에 접근하는 것이거나, 또는 이 현상을 역사의 외부에 존재하는 어떤 것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통시성은 현상의 역사적, 시간적 측면관 관련되어 있다. 언어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에 관심을 두던 19세기 언어학의 접근방식과는 반대로, 소쉬르의 구조 언어학은 언어를 변하지 않는 구조로서 조사한다.

[출처: 앤드루 애드거, 피터 세즈윅 편(박명진 외역), '문화 이론 사전', 한나래, 2003, p. 64.]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기호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기표와 기의는 기호를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를 가리킨다. 기표는 기호가 나타나는 물질적 형태로써, 말해지거나 쓰여진 단어나 대상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 기의는 기호가 지시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사과라는 단어가 있다면 사과라는 글자가 기표이며 사과라는 단어를 볼 때 우리가 머릿속에 떠올리는 대상이 바로 기의가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우리의 상식적 생각과 달리 기의가 실재 세계에 존재하는 개별적인 대상이나 사건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즉 사과라는 단어가 가리키는 것은 어느 특정한 사과가 아니라 사과 일반을 가리킨다.

소쉬르가 기의를 설명하면서 기표가 지시하는 대상이라고 설명하지 않고 기표가 환기시키는 대상의 심적 영상이라고 표현한 것이 이를 보여준다.

또 하나의 기표가 반드시 하나의 기의하고만 연결되는 것도 아니다. 하나의 기표가 다수의 기의를 가질 수 있고 반대로 하나의 기의가 다수의 기표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사과라는 기표는 과일로서의 사과 외에 맥락에 따라 어느 지역(일테면 사과의 주산지)이나 특정한 기념일(사과데이)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장미꽃이나 향수, 포옹 등이 모두 사랑이라는 기의를 표현하는 기표가 될 수 있다.

의성어와 같이 지시 대상에 대한 모방적 성격이 두드러져 상대적으로 자의성이 약한 기호의 사례도 없지 않지만, 이들 기표와 기의 사이의 관계는 대체로 자의적이며 그 언어 공동체의 문화적 관습에 따라 결정된다.

[출처: 앤드루 애드거, 피터 세즈윅 편(박명진 외 역), '문화 이론 사전', 한나래, 2003. pp. 90~91]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