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81호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 화강암으로 만든 높이 270cm 크기의 통일신라시대 유물이다.

국보 82호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과 함께 감산사 절터에서 수습되었으며, 광배 뒷면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제작 연대와 제작 동기를 확실히 알 수 있는데, 719년 김지성(金志誠, 652~?, 통일신라의 문신. 67세에 집사부 시랑에서 물러나고, 은퇴한 뒤 감산사를 창건하고 감산사석조미륵보살입상과 감산사석조아미타불입상을 안치하였다고 한다. 또한 미륵보살의 유가론을 연구하였으며, 노장사상에도 심취하였다고 한다.)이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해 감산사를 지었으며, 미륵보살과 아미타여래를 만들었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미륵보살입상의 신체와 광배는 하나의 돌로 제작하였으며, 별도로 제작한 대좌와 결합시킨 형태로 만들었다. 머리에는 높은 보관을 썼으며, 보관의 중앙에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중생의 근기에 따라 변화되어 나타난다는 의미의 화불(化佛)이 있다.

얼굴은 갸름하면서도 살이 올라 있고 눈과 입에 미소가 어려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 불상의 목 부분에 표현되는 세 개의 주름으로 번뇌도(煩惱道), 업도(業道), 고도(苦道)를 의미함)가 뚜렷하며, 목걸이, 팔찌, 영락 장식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법의가 얇아 신체의 풍만하고 유려한 곡선이 그대로 드러나 있는데, 표현이 사실적이고 관능적인 모습을 한 통일신라 8세기 불상의 대표적인 예이다.


[함께보기: 국보 82호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



국보 81호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1호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1호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82호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甘山寺 石造阿彌陀佛立像)'은 화강암으로 만든 높이 275cm 크기의 통일신라시대 유물이다.

제작 연대가 확실한 유물로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연대에 있어 기준이 되고 있는 작품이다. 머리에 나발(螺髮, 불상 중 소라 모양으로 된 여래상의 머리카락. 나계(螺髻)라고도 함)이 있고 육계(肉髻, 부처의 정수리에 상투처럼 우뚝 솟아오른 혹과 같은 것. 불정(佛頂)·무견정상(無見頂相)·정계라고도 함)가 크고 편평하다. 다소 근엄한 표정을 하고 있으며, 이마에는 백호(미간백호상(白毫, 부처의 양 눈썹 사이에 난 희고 부드러운 털. 미간백호상(眉間白毫相)이라고도 함) 구멍이 있다. 법의(法衣, 세 가지 법의인 삼의(三衣), 곧 가사(袈裟)를 일컬음. 승복(僧服)•승의(僧衣)•법복(法服)이라고도 함)가 얇게 표현되어 있어 전체적인 몸의 곡선이 잘 드러나는 형태이다. 마치 물결치듯 U자 모양으로 흘러내린 옷주름이 어깨에서 가슴을 지나 두 다리까지 생동감 있게 표현되어 있으며, 광배는 거신광, 두광, 신광이 모두 표현되어 있다.

국보 82호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甘山寺 石造阿彌陀佛立像)'은 8세기 신라 불상의 정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1915년 경주 감산사터에서 국보 81호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함께 옮긴 것이다. 광배와 대좌는 하나의 돌로 만들어 졌으며, 광배에는 719년 김지성(金志誠, 652~?, 통일신라의 문신. 67세에 집사부 시랑에서 물러나고, 은퇴한 뒤 감산사를 창건하고 감산사석조미륵보살입상과 감산사석조아미타불입상을 안치하였다고 한다. 또한 미륵보살의 유가론을 연구하였으며, 노장사상에도 심취하였다고 한다.)이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해 감산사를 지었으며, 미륵보살과 아미타여래를 만들었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국보 82호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甘山寺 石造阿彌陀佛立像)/ⓒ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2호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甘山寺 石造阿彌陀佛立像)/ⓒ국립중앙박물관


국보 82호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甘山寺 石造阿彌陀佛立像)/ⓒ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