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촌락공동체 조직은 시기별로 변모와 변천을 거듭하였다. 예를 들면 성리학적 지배질서가 확립되면서 실시된 향약이나, 사족들의 동계, 동약 조직의 보급으로 기층민 조직이었던 촌락조직은 축소되고 통제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에 난후 복구와 자구책으로 상하합계(上下合契)의 동계가 나타났으며, 또 사족의 동계조직이 와해되거나 사족 간의 상호부조 역할로 한정되자,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촌락민들이 주도하는 대동계(大同契)가 운영되었다.


[함께보기: 대동계(大同契) 촌계]


과거 대동계(촌계)는 마을조직을 대표하는 가장 규모가 크고 우위에 있는 상징조직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면서 대동계의 존재는 대표성과 상징성까지 잃지는 않았지만 생활문화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감소되었다. 특히 다음에서 보는 특수목적을 가지고 결성, 운영되는 계조직들에 비하면, 일견 결속력과 조직력이 느슨한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물론 이들 목적계도 조선 후기에는 대동계(촌계)의 상대적 우위를 인정하면서 상하, 내외, 본말의 관계 속에서 운영되었다. 동족마을의 경우는 대동계와 함께 문중조직인 족계(화수계, 종중) 조직이 별도로 기능하기도 하였다.




1) 농계(農契)

농계는 계원 중에서 농잠(農蠶, 農桑)에 정통한 사람을 유사로 임명하고, 우마(牛馬) 등을 계원끼리 공동으로 사용하거나 농기구 구입, 종자 대여, 공터에 뽕나무, 잣나무 등의 유실수(有實樹, 먹을 수 있거나 유용한 열매가 열리는 나무) 심기 장려, 농한기에 유휴지 개간 등 농사에 관련된 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조직된 것이다. 동시에 각종 풍교에 필요한 자치활동과 길흉상구의 기능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계조직으로는 농계, 농사(農社), 몽리계(蒙利契, 수리시설의 수축과 관리를 위하여 지역 농민들의 조직한 계), 농구계, 우계, 마계 등이 있다.


2) 서당계(書堂契)

서당계는 마을단위로 건립되었던 서당의 운영과 조직에 관한 자료들이다. 훈장선생안, 서당규약, 강첩, 선악적, 치부기(재산)가 함께 전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서당 건립에 동원(출연)되는 인력과 물자의 기록은 촌락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문중별로 서재나 강사 등도 이와 유사한 성격으로, 촌락 내에서 족적의 기반을 살피는 데 이용될 수 있다.


3) 송계(松)

송계는 삼림의 보호와 이용을 목적으로 한 계조직으로, 금송계(禁松契)라고도 한다.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결성되며, 범위는 한 동리나 수개의 동리가 되는 경우가 많다. 송계는 삼림 보호를 직접 관장하는 역원을 두고 교대로 이를 맡아 순찰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삼림 보호는 국가의 중요한 관심사였기 때문에 관청과 밀접한 관련하에 운영되었다.


4)상여계(喪輿契)

상여계는 마을과 상여의 규모에 따라 20~30가구 안팎으로 이루어지는데, 상여의 운반 및 무덤 터 다지기, 묘 쓰기 등 장례에 관계되는 일에 두레 형식을 모방한 공동조직이다. 운구와 산역에 드는 많은 인력 등 노동력을 직접 제공하였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