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두레에서 필수적인 것이 공동회연(共同會宴)으로, 대표적인 것은 '호미모듬', ;호미씻이' '풋굿'이다. 김매기를 마친 뒤 공동작업에 참여한 사람들이 모여 음식과 술을 먹고 농악에 맞추어 여러 가지 연희를 곁들여 뛰고 놀면서 그간의 노고를 위로하고 결속을 재확인하는 의례이자 행사였다. 호미는 가장 기본적이고 다용도로 활용된 농구였다. 두레가 노동조직이었기 때문에 호미를 상징적 행사에 동원한 것이었다.


호미모듬은 두레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두레꾼들이 농청에 모여 역원을 선출하고 공동의 조직을 민주적으로 결정하고 작업을 준비하는 날로, 저마다 자기의 호미를 한 개씩 농청에 모아 거두는 의식이다. 이 호미는 대개 첫 두레일까지 걸어 두는 것이 관례였고, 그 시기는 대개 2월 하리아드랫날(2월 초하루), 혹은 2월의 머슴날이었다.


호미씻이는 세조연(洗鋤宴), 세조회(洗鋤會)라고도 하고, 호미걸이라고도 한다. 호미씻이는 두레 최고의 축제로서, 세벌매기가 끝나 재배기의 농사가 실제적으로 마무리되는 7월 15일을 전후하여 날을 잡아 잔치를 벌이던 행사이다. 농민들의 일년 영농주기를 보면, 크게 농번기와 농한기가 교차하면서 그 중간중간에 준농한기가 끼여 있다. 호미씻이는 여름철의 최대 농작업이던 논매기뿐만 아니라 밭매기를 마치는 시점에 형성되는 준농한기에 하루를 잡아서 온 동민이 모여 놀던 농경세시였다.


[연산백중놀이/ⓒ한국민속대백과사전]



호미씻이는 농민들이 중노동의 중압감을 씻어 내고 전반부의 재배기에서 후반부의 수확기로 이행하는 과정에 설정된 시간적 통과의례였다. 동시에 호미씻이는 매년 결성되던 두레와 같은 공동협업노동조직이 제 기능을 다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그런 노동조직을 해체하는 의식이기도 했다. 호남지역은 호미씻이라고 하는데, 이는 농사가 끝나 호미를 씻는다는 의미이며, 경기지역에서는 호미걸이라고 하는데, 두레기의 버릿줄에 호미를 걸어 두기 때문이다.


호미씻이는 지역별로 그 명칭이 매우 다양한데, 풋구(혹은 풋꾸, 풋굿)와 초연(草宴), 두레 먹기, 장원례, 머슴잔치 등으로도 불렸다. 풋구, 곧 초연(草宴)은 들판의 잡초(풀:草)를 제거한 다음에 하는 굿(잔치:宴)이라는 뜻으로, '풋구 먹는다' '풋구먹이 한다' '초연 먹는다'라고 하며, 주로 영남지방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호미씻이를 '두레 먹기'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호남과 충남, 경남 남부에서 주로 쓰인다. 특히 호남지방에서는 두레 먹기라 하는데, 이는 두레꾼의 공동작업인 제초작업이 끝난 후에 모여서 놀고 먹는다는 의미이며, 간혹 '두레잔치'라고도 했다. 그리고 두레 먹기를 할 때, 두레꾼 가운데서 일을 가장 잘하는 사람을 뽑아 소에 태워 주인집에 가서 후하게 대접받고 즐겁게 논다고 하여 장원례(壯元禮)라고도 하였다. 또 머슴들이 융숭한 대접을 받는 것이므로 이 행사를 머슴잔치, 머슴생일 또는 머슴날이라고도 했다.


모이는 장소는 강변이나 개울가의 그늘, 또는 마을 주변의 그늘진 곳이었다. 호미씻이를 하러 나갈 때는 집집마다 성의껏 음식과 술을 준비해 갔다. 대체로 부잣집에서 더 풍성하게 마련하는 것이 관례였다. 참여한 사람들은 온종일 먹고 마시며 풍물을 치고 춤을 추면서 놀았느넫, 머슴들은 주인집에서 만들어 준 음식과 술을 가지고 나가서 은근히 과시하면서 흥겹게 놀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집집마다 마련해 준 음식물을 늘어놓고 머슴들 스스로 품평회를 하기도 했다. 주인집에서 많은 음식을 제공받은 머슴은 주인한테 그만큼 좋은 평가를 받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제공된 음식물로 주인의 인심이 얼마나 후한지도 헤아려졌다. 그런가 하면 농사가 잘된 집의 머슴을 뽑아 시상하기도 하고, 삿갓을 씌워 소등에 태워 마을을 한 바퀴 도는 곳도 있었다.

[전통사회와 생활문화/이해준 정승모 정연식 전경목 송찬섭]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고누놀이/국립중아박물관]


고누놀이는 우리 선조들이 많이 즐기던 놀이로 어떻게 유래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아주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놀이이다.

고누놀이는 그 형태에 따라 우물고누, 줄고누, 호박고누, 자동차고누 등이 있는데

먼저 우물고누는 2명의 상대가 각각 2개의 말을 사용해 하는 것으로

말이 더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되면 지게되는 놀이다.


[우물고누/네이버지식백과]


다음 줄고누는 말을 다섯 개씩 준비하고(더 많은 칸수를 그려 말의 숫자를 늘려도 상관없다.) 격자 선을 따라 상하 좌우로 한칸씩 번갈아 움직일 수 있으며 대각선으로는 가지 못하고 상대편 말이나 내 말이 있으면 넘지 못한다. 또 상대면 말을 따먹을 수 있는데 내 말과 말 사이에 상대편 말이 끼게 되면 따먹을 수 있다.

줄고누는 이렇게 상대편 말을 다 따먹게 되면 이기는 놀이다.


[줄고누/네이버지식백과]


다음 호박고누는 3개의 말을 지정된 위치에 두고 시작하게 되는데 한 번에 한 칸씩 움직일 수 있으며, 원 안에서는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지만 맨처음 있던 진지 자리에 돌아오면 돌아갈 수 없고 상대편 진지로 들어갈 수도 없는 놀이다.

우물고누와 마찬가지로 더이상 말을 움직일 수 없을 때 지게된다.


[호박고누]


마지막 자동차고누는 말을 각 네 개씩 준비하고 대각선 모서리에 말을 위치한 다음 시작하게 된다. 이역시 줄고누처럼 칸수를 늘려도 관계가 없다.

상하와 좌우로 움직일 수 있지만 대각선으로는 가지 못하며, 네개이 원은 자동차 바퀴인데, 말이 한칸씩 움직이다가 원이 시작되는 접점에 있게되면 원을 따라 한바퀴를 돌아 여러 칸을 전진(직진으로만)할 수 있다. 이때 원을 돌아 전진하면서 상대편 말이나 내 말이 막고 있으면 그 앞에 멈춰야 한다.

상대편 말을 따먹을 수 있는 것은 반드시 바퀴를 돌아야 따먹을 수 있고 상대 말을 따먹은 후에는 따먹은 그 자리에 내 말을 두어야 한다.

이 역시 상대편 말을 모두 따먹는 경우 이기게 된다.     


[자동차고누/네이버지식백과]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