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삼국지(三國志)' <동이전(東夷傳)>에 부여는 "은정월(殷正月, 12월), 고구려와 예(濊)는 10월에 각각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온 마을의 남녀노소가 한데 모여 며칠 동안 술 마시고 노래 부르고 춤추었으며, 마한(馬韓)은 5월 씨뿌리기를 끝냈을 때와 10월 추수가 끝났을 때에 제사를 지내는데, 많은 사람들이 모여 노래하고 춤추고 술 마시기를 밤낮을 쉬지 않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상고시대부터 노래와 춤을 통해 신에게 감사드리고 풍년을 기원하며 즐거움을 누렸음을 알 수 있다.

상고시대에는 신에게 기원하거나 즐거움을 표현하고자 방울 같은 단순한 악기를 흔들며 춤추고 노래했으나 고대국가가 형성되면서 고대 현악기인 '고' 및 완함(阮咸), 비파(琵琶)와 적(笛), 요고(腰鼓), 배소(排簫), 각(角) 등이 등장하고, 거문고와 가야금을 만들어 한민족 특유의 음악을 형성해나갔다.



1. 고구려

고구려의 대표적인 악기는 거문고이다. '삼국사기'에 "진(晉)'에서 7현금(七絃琴)을 고구려에 보냈는데, 제2상(第二相) 왕산악(王山岳)이 본래의 모양을 그대로 두고 자못 법제를 개량하여 악기를 만들고, 겸해서 1백 곡을 지어서 연주했다. 그때 현학(玄鶴, 검은 학)이 날아와 춤을 추므로 현학금(玄鶴琴)이라 이름지었는데, 후에는 다만 현금(玄琴)이라고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검을 현(玄)', '고 금(琴)'이니 현금은 바로 거문고를 뜻한다. '고'는 현악기를 가리키는 우리말이다. 진은 265~419년에 존재했던 중국 왕조이니 거문고 제작연대는 4세기 전후로 볼 수 있다. 음악사학적으로는 고구려에 아무런 현악기가 없는 상태에서 중국 7현금을 보고 갑자기 거문고를 만든 것이 아니라 본래 어떤 현악기가 있는 상태에서 7현금의 영향으로 거문고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고 있다.

완함/ⓒ두산백과


고구려의 고분벽화에는 거문고 외에 완함, 종적(縱笛), 횡적(橫笛), 요고, 각, 배소 등의 악기가 보인다. 완함은 몸체가 둥글고 목이 긴 현악기인데, 타클라칸 사막 북쪽에 위치한 쿠차에서 고대 바빌로니아의 류트 종류를 바탕으로 재창조한 악기고, 뿔나팔인 각과 대나무관을 옆으로 나란히 묶은 배소는 북방유목민의 고취(鼓吹)에 편성되던 악기이다.

고구려 벽화 오회분제5호묘/ⓒ문화콘텐츠닷컴



요고는 세요고(細腰鼓)를 줄인 말로 '허리가 잘록한 악기', 즉 장구와 같은 것인데, 오른쪽 면은 채로 치고 왼쪽 면은 손으로 두드리는 장구와 달리 양쪽 면을 모두 손으로 친다. 서역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안악 3호분의 다리를 X자 모양으로 하고 두 손바닥을 마주 댄 채 춤추고 있는 무용수는 콧대가 높고 이국적인 복장을 한 것으로 미루어 서역의 무용수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고구려에는 거문고 외에 서역에서 들어온 악기들이 다수 있었다.



2. 백제

부여 능산리에서 출토된 금동대향로의 뚜껑에는 악기를 연주하는 5명의 악사가 배치되어 있다. 뚜껑 꼭대기에 봉황 한 마리가 날개를 활짝 펴고 서 있으며, 봉황과 일직선상의 아래인 중앙에 완함이 있고, 왼쪽으로 종적과 배소(排簫), 오른쪽으로 북과 거문고(혹은 가야금 종류)가 있다.


백제 금동대향로/ⓒ국립중앙박물관


백제 금동대향로/ⓒ국립중앙박물관



3. 신라
신라의 대표적인 악기는 가야금이다. '삼국사기'에 "가야국의 가실왕이 당악기를 보고 가야금을 만들고 나서 우륵에게 12곡을 짓도록 하였다. 우륵은 나라가 장차 어지러워질 것을 알고서 악기를 가지고 신라의 진흥왕(재위 540~576)에게 의탁하니, 진흥왕이 그를 받아들여 국원(國原, 충주의 옛 이름)에서 편히 살도록 하고서 곧 주지, 계고, 만덕을 보내서 그 업을 전수시켰다."라는 기록이 있다. 국원에는 우륵이 가야금을 탄 곳으로 알려져 있는 탄금대가 있다.

그런데 '삼국지' <동이전>에 "변진(弁辰)에 슬(瑟)이 있는데 그 모양은 축(筑)과 비슷하다.:고 하여, 변진지역에 중국의 슬이나 축이 아닌 어떤 현악기가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슬은 25현의 현악기이고 축은 대쪽(竹片, 대를 갈라 쪼갠 조각)으로 줄을 쳐서 소리를 내는 13현의 현악기이다. 따라서 음악사학적으로는 가실왕이 변진지역에 있었던 기존의 고대 현악기를 개량하여 가야금을 만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보 195호 토우장식 장경호/ⓒ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95호 토우장식 장경호/ⓒ국립중앙박물관


또한 경주 계림로 30호분에서 출토된 장경호(長頸壺, 4~5세기 경으로 추정)에 표현된 임산부의 현악기 연주모습에서 보듯이 신라에 가야금을 받아들인 6세기 중엽 이전에 '고'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내해왕 17년(212)에 물계자가 나라의 환란에 충성을 다하지 못했다고 자책하며 산속에 들어가 은거하며 탔다는 금(琴)과 자비왕(재위 458~479)때 백결선생이 세모(歲暮)에 방아를 찧을 거리가 없어 슬퍼하는 아내를 위로하고자 방아 찧는 소리를 내며 탔다는 금(琴)은 거문고나 가야금이 아닌 바로 변진지역에 있었던 고대 현악기이다.

신라에는 고대 현악기 '고'와 가야금 이외에 비파와 종적도 있었다. 4~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토우에 그 연주모습이 나타나 있다.



4.통일신라시대

삼국이 통일된 뒤에 삼현(三絃, 거문고, 가야금, 향비파), 삼죽(三竹, 대금, 중금, 소금), 박(拍), 대고(大鼓)가 연주되었다.

당과의 활발한 교류로 통일신라에 당악(唐樂)이 들어왔고, 그 영향으로 삼현 삼죽에 반섭조(般涉調), 봉황조(鳳凰調)와 같은 당악의 악조가 쓰이기도 하였다. 당악기로는 725년(성덕왕 24)에 조성된 상원사 범종에 공후, 생, 쟁, 당적, 요고, 당피리, 당비파 등이 보이고, 883년(헌강왕 9)에 건립된 경북 문경의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에 생, 당적, 당비파, 동발, 당피리, 박 등이 보인다.

와공후/ⓒ한국학중앙연구원


당악과 구분하기 위해 우리에게 익숙한 음악을 가리키는 용어로 향악(鄕樂)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런데, 최치원이 지은 <향악잡영>이란 한시에는 서역에서 유래한 춤과 음악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당악이 유입되기 이전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서역음악과 춤이 세월이 흐르면서 우리에게 익숙해졌기 때문에 향악으로 불린 것이다. <향악잡영>중 하나인 월전(月顚)은 서역 우전국(지금의 Khotan)에서 전래한 탈춤의 일종이며, 또다른 하나인 속독(束毒)은 서역 소그디아나제국에서 유래한 춤이다.


<월전>

어깨는 올라가고 목은 움츠렸으며 상투는 우뚝 솟았네.

팔 걷어붙인 뭇 선비들 요란하게 잔을 부딪히네.

노랫소리 들리자 한바탕 웃음소리

밤새 휘날린 깃발이 새벽을 재촉하는구나.


<속독>

고수머리와 남빛 얼굴의 낯선 사람들이

데를 지어 뚤에 와서 난새 같이 춤을 추네.

북소리 둥당둥당 바람은 살랑살랑

남북으로 뛰놀면서 끝없이 춤추네.


-음악의 이해와 감상/김종수 권도희 김성혜 이지선 유영민-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