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격루,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시대 사람들은 해와 달이 바뀌는 것을 달을 보아 알 수 있었으며, 날짜도 달력의 보급으로 알 웃 있었다. 씨뿌리기, 모내기, 김매기 등의 농사일은 달력에 표시된 양력 절기를 보고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은 알기 어려웠지만 당시 사람들은 짧은 시간의 흐름에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았다 . 해가 뜨면 일어나 일하고 해가 지면 들어가 잠자는 것으로 충분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의 시간은 지금과는 달랐다. 낮에는 정시법을 적용하여 2시간 간격으로 시간이 바뀌는 12시진을 사용하여 진시, 사시 등으로 시간을 표시했다. 그러나 밤시간은 부정시법을 적용하여 하늘이 어슴푸레한 박명(薄明)을 뺀 나머지 밤시간을 5등분 하여 5경으로 표현했으므로 5경이 가리키는 시간은 계절에 따라 다를 수 밖에 없었다.


해시계, 앙부일구(仰釜日晷)/네이버


 나라에서는 자격루를 표준시계로 삼아 종을 쳐서 그 시간을 일반인들에게 알려 주었다. 그러나 종은 하루에 두 번 울렸다. 성문을 닫고 통행금지가 시작 되는 시간과 성문을 열고 통행금지가 해제되는 시간 뿐이었다. 정오에는 오고를 쳐서 시간을 알리고, 후에는 오고가 오포, 사이렌으로 대체되었지만 정오의 시보는 서울에 국한되었다.


휴대용 해시계,1849년(현종 15), 가로 11.5㎝, 세로 15.8㎝,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네이버 지식백과


 그러므로 민간에서는 시간을 재는 데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었다. 해시계는 가장 널리 쓰인 시계였지만 양반층만이 주로 사용했으며, 그나마 밤이면 사용할 수 없었고 날이 궂어도 쓸 수 없었다. 사람들은 낮시간을 해의 방위에 따라 대략적으로 판별했다. 밤에는 별자리의 움직임을 보아 시간을 알아냈다. 사람들은 하루 시간의 흐름에 그다지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렇게 하고도 큰 불편 없이 살 수 있었다. 당시 사회가 짧은 시간의 변동을 측정하는 것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는 농업이 산업의 거의 전부였고, 농업은 세밀한 시간의 흐름에 좌우되지 않았다. 또 노동이 강도도 그다지 세지 않았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시간에 쫓기지 않았으며, 지금에 비교하면 매우 느긋한 삶을 누리고 있었고, 사회발전 속도도 더뎠다. 그러다가 한말,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산업화가 진행되고 사람들은 점차 바쁘고 고된 삶에 빠져들게 되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기계식 시계가 없던 옛날, 일반 민가에서의 시간 측정 방법


[사진 고려시대 해시계/네이버지식백과]


 서울이나 몇몇 중요한 도시에서는 새벽이나 저녁에 종을 쳐서 시간을 알렸다. 그렇지만 일반고을에는 시계가 없었고 시간을 알려주지도 않았다. 그러므로 스스로 시간을 알아 내야 했다. 시간을 알아 내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었다.

 우선 시계를 이용하는 것이다. 민간에서 시간을 측정하는 도구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해시계(sundial)였다. 해시계는 가장 만들기 쉬운 시계였으므로 지금도 꽤 많이 남아 있다. 충청남도 예산에 있는 김정희의 옛집에도 해시계 받침 기둥돌이 남아 있듯이, 양반집에서는 종종 해시계를 놓아 시간을 쟀다. 또, 성냥갑처럼 작은 휴대용 해시계도 많았고, 때로는 작은 해시계를 부채자루에 매달아 선추(扇錘)로 쓰기도 하였다. 이런 휴대용 해시계는 어디서나 방향을 알아낼 수 있도록 대개 나침반이 함께 붙어 있었다.


[사진 고려시대 일영의(해시계)/높이9.5cm/합천 해인사 소장/한국한중앙연구원]


 그렇지만 해시계는 밤이나 궂은 날에는 무용지물이었다. 그래서 만들어 낸 것이 향시계(香時計)였다. 향시계는 주로 절에서 많이 썼는데, 참나무에서 나는 버섯을 잿물에 삶은 뒤 가루를 내어 돌 따위에 글자 모양으로 파놓은 홈에 채워 놓은 것인데, 여기에 불을 붙여 그 타들어가는 정도에 따라 시각을 판별하는 것이다. 비슷한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는 서양에 초시계가 있었는데, 우리나라에도 과거시험 가운데 초가 다 탈 때까지 시권(試券:답안지)을 내게 하는 각촉시(刻燭試)라는 것이 있었다. 그러면 궂은 날 향시계도 없는 사람들은 도대체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하고 궁금하겠지만 이때는 어림짐작으로 시간을 판별하는 수밖에 없었다. 또, 대개는 시간을 몰라도 그만이었다.

 그러면 시계가 없을 때에는 어떻게 시간을 쟀을까? 우선 낮시간을 아는 가장 간편한 방법은 해가 어느 곳에 떠 있는가를 보고 알아내는 방법이다. 해의 높이가 아니라 해가 정남쪽에 떠 있는 시각을 오정으로 하여 해가 얼마나 남쪽에 가까이 있는가를 판별해서 시간을 알아 내는 것이다. 그래서 어린아이가 어느 정도 인지능력이 생겨나면 곧바로 동서남북을 가르쳤다고 한다. 소혜왕후 한씨의 '내훈(內訓)'에서도 '예기'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여섯 살이 되면 셈과 방위이름을 가르칠지니'라고 하였다. 방위를 아는 것은 아이들에게 공간감각과 함께 시간감각을 익히는 가장 기초적인 방편이었다.

 방위를 알아 내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물론 나침반을 이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풍수지리가 유행하여, 지관들이 항상 패철(佩鐵) 또는 나경(羅經)이라 부르는 나침반을 가지고 전국을 떠돌아 다녔다. 사실 지관의 힘을 빌리지 않아도 나침반은 마음만 먹으면 구하기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었다. 또, 굳이 나침반을 이용하지 않아도 대강의 방위는 알아낼 수 있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북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공해가 거의 없고 밤이 칠흑같이 어두웠던 예전에는 날만 맑으면 어디서나 별이 또렷하게 보였으므로 북극성을 바라보고 서서 팔을 벌리면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된다. 이 방법이 미덥지 않으면 마당에 기다란 막대기를 세워 놓고 낮에 그림자를 관찰하여 그림자가 가장 짧아졌을 때의 그림자 방향을 남북으로 정하면 된다.


[사진 북두칠성/위키백과]


 남북이 정해지면 해시계를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원반 모양의 돌에 방사선 모양으로 시간을 그리되, 남북방향에 자시와 오시를, 동서방향에 묘시와 유시를 넣으면 되기 때문이다.

 해가 사라진 밤에는 별이 교대했다. 하늘의 별자리가 북극성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것을 보아 시간을 판별했던 것이다. 북극성은 찾기 어렵지 않았다. 북두칠성의 국자 모양 끝자리의 별 메라크(Merak)와 두베(Dubhe) 두 개를 직선으로 이어서 두 별의 거리 다섯 배를 한 연장선상에 북극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동서양이 똑같이 사용했다.


[사진 북극성 찾는방법/두산백과]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