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도양과 태평양 사이에 있는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필리핀은 말레이계의 인종을 모체로 하고 있다.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졌다고는 하지만 국민의 96%가 루손(Luzon) 섬이나 민다나오(Mindanao) 섬 등 주로 11개의 섬에 거주하고 있다.


필리핀은 300년이 넘게 스페인의 통치를 받은 결과 민족적으로 많은 혼혈을 발생시켰고, 생활, 언어, 음악 등 문화적인 면에서도 상당히 유럽화되어, 동남아시아 중에서도 독특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20세기에 들어화서는 미국의 영향까지 더해져 현재 인구의 대다수가 향유하고 있는 음악은 만돌린, 기타, 키보드 등을 사용한 팝이나 가요곡풍의 노래가 압도적이고, 가톨릭교회의 음악이나 서양고전음악이 생활 속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필리핀에서는 이러한 서구의 영향을 받으며 스페인적인 색채를 남기면서도 새로운 필리핀양식이라고 불리는 음악과 무용이 생성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론달라(rondalla)이다. 론달라는 만돌린, 기타, 더블베이스를 기본으로 하는 민속적 성격의 합주인데, 스페인문화의 흔적을 보이고 있고, 노래의 가창방식이나 발성, 사교댄스적인 동작도 서양적이다. 또한 필리핀 하면 더올리는 티니클링(tinikling)이라는 대나무춤은 서양적으로 변용되어 전승되고 있다. 이것은 긴 두 개의 대나무 봉을 리드미컬하게 서로 부딪히게 하고, 무용수는 발이 사이에 끼지 않게 규칙적으로 스텝을 밟으며 추는 춤이다.


필리핀 전통무용 티니클링/ⓒ필리핀관광부 FaceBook



한편 필리핀에는 인구비율이 적기는 하지만 서양의 영햐을 받지 않고 독자적인 음악문화를 전승하고 있는 소수민족들이 있다. 대표적인 것은 루손 섬 북부의 산지민족 이로로트(Igorot)족과 남부의 민다나오 섬과 술루(Sulu) 열도에 살고 있는 여러 민족들이다.


필리핀 북부의 이로로트족이 살고 있는 칼링가(Kalinga)지역에서는 평평한 징이나 대나무로 만든 악기를 6명이 하나의 그룹이 되어 연주하는 형태가 있다. 합주의 원리는 비슷한 리듬을 차례대로 연주하여 겹쳐나가는 방식인데, 이러한 점은 인도네시아의 가물란과도 통하는 점이다. 다만 가믈란과 같이 선율을 만들어나가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다양한 음색을 조합하여 그것을 일정한 리듬형에 얹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필리핀 북부 칼링가 지역/ⓒ위키백과



칼링가 지역음악세서 사용하는 악기는 강사(gangsa), 통가통(tongatong), 발링빙(balingbing), 사게이포(saggeypo), 쿨리빗(kulibit), 온낫(onnat), 통갈리(tongali), 팔동(paldong) 등이 있다.


강사는 평평한 면을 가진 징의 일종으로 6명이 함께 연주한다. 연주방법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강사를 무릎 위에 올려놓고 손바닥으로 쳐서 소리를 내는 방법과 징에 끈을 달아서 왼손으로 들고 오른손의 채로 쳐서 소리를 내는 방법이다. 처음에 이 합주를 들으면 어떤하 ㄴ규칙도 없이 대충 치는 것같이 들리기도 하지만, 신체의 움직임과 음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면 이 합주가 얼마나 구체적으로 구성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통가통은 굵은 대나무통을 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로, 역시 6명이 한 조가 되어 연주한다. 대나무통 윗부분의 구멍을 손으로 막거나 열면서 변화의 폭을 넓히며 연주한다.


발링빙은 대나무의 한쪽을 쪼개서 만든 악기로, 좌선을 하는 승려들이 졸거나 딴 생각을 할 때 치는 죽비와 비슷하게 생겼다. 오른손으로 쪼개지 않은 부분을 잡고 왼손바닥에 가볍게 튕겨내듯이 치면 "비웅비웅"과 같은 울림이 난다. 이 악기도 6명이 함께 연주한다.


사게이포는 6명이 한 조가 되어 이루어지는 팬파이프이다. 지공이 없는 1개의 대나무관을 한 사람씩 연주하여 팬파이프와 같은 효과를 낸다. 연주자들은 복식호흡을 하면서 조금씩 시간을 어긋나게 하여 한 사람씩 참가해나가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쿨리빗은 대나무로 만든 현악기를 말한다. 굵은 대나무를 준비하고 그 표피를 가늘고 길게 잘라내어 줄로 사용하는데, 이때 양쪽 끝이 잘라지지 않게 주의하여, 만들어진 줄과 본체의 사이에 작은 줄 받침을 끼우면 줄에 장력이 생겨 훌륭한 현악기가 된다. 이것이 쿨리빗이다. 완성된 악기를 양손으로 잡고 엄지, 검지, 장지를 사용하여 현을 뜯는데, 양손을 사용하기 때문에 혼자 연주해도 2성부의 음악과 같이 들린다.


온낫은 칼링가에서 사용하는 구금(口琴), 즉 입으로 부는 현악기를 말한다. 구금은 대나무로 만들기도 하고, 금속으로 만들기도 한다. 대나무 구금의 경우, 잘게 잘라진 대나무의 끝을 손가락으로 튕기고 구강을 공명통으로 삼아 소리를 내는데, 입의 형태에 따라서 다른 소리가 나기 때문에 독주뿐 아니라 합주로도 즐길 수 있다.


통갈리는 코로 부는 대나무 피리를 말한다. 조상연혼과의 대화나 아름다운 사랑의 속삭임의 대용으로 사용되는 통갈리는 칼링가에서 매우 귀중한 존재로 여겨지고 있다.


팔동은 대나무 종적으로 앞에 구멍이 3개, 뒤에 1개가 있다. 우리나라의 단소와 같은 계통으로 형태뿐 아니라 음색도 비슷하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