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제648호, 만력기묘명 승자총통(萬歷己卯銘 勝字銃筒)/ⓒ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648호, 만력기묘명 승자총통(萬歷己卯銘 勝字銃筒)/ⓒ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648호, 만력기묘명 승자총통(萬歷己卯銘 勝字銃筒)/ⓒ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648호, 만력기묘명 승자총통(萬歷己卯銘 勝字銃筒)/ⓒ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648호, 만력기묘명 승자총통(萬歷己卯銘 勝字銃筒)/ⓒ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648호 만력기묘명 승자총통(萬歷己卯銘 勝字銃筒)은 총통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제작 시기와 제작자를 알 수 있는데, '만력기묘'라는 뜻 그대로 명나라 만력 기묘년 즉, 만력 7년인 1579년(선조 12)에 제작된 것으로 규가(揆加)라고 하는 장인(匠人)이 만든 것을 알 수 있다.

승자총통(勝字銃筒)은 불씨를 손으로 점화 및 발사하는 총통 중 휴대용으로 사용하도록 만든 개인화기이며, 1635년에 발행한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 무신 이서(李曙, 1580 선조 13∼1637 인조 15)가 총 쏘는 법과 화약 굽는 법을 기술한 '화포식'을 한글로 풀어 발행한 군서)'를 통해 탄환과 화실이 모두 사용 가능한 총통인 것을 알 수 있다.

 

전체길이 56.8cm, 통길이 34.8cm, 입지름 4cm, 무게 4.5kg으로 6마디의 대나무 모양을 띄고 있다. 약실쪽의 3마디의 간격을 총구 쪽 보다 좁게 만든 것은 화약의 폭발 위력을 감안해 터지지 않도록 만든 것며, 적과 가까이 붙었을 때를 대비해 곤봉처럼 근접무기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양각하였고, 손잡이는 음각으로 총통의 제작시기와 무게를 비롯해 제작한 장인(匠人)의 이름까지 새겨져 있다. 원래 나무 손잡이가 붙어 있었나 오래되어 소실되었다.

 

1578년(선조 8)에 전라좌수사와 경상병사를 지낸 김지(金墀)가 발명해 만들었으며, 1583년 이탕개의 난에서 효력을 발휘하였다고 전해진다. 크기와 화력에 따라 대승자총통, 차승자총통, 소승자총통의 세 종류로 나뉘며, 정철(正鐵, 참쇠라고도 하며 탄소 함유량이 낮아 단조 가공이 가능한 숙철熟鐵을 재정련하여 얻는 쇠로 수차례 담금질과 단조를 통해 쇠의 강도와 점성을 증대 시켜 도검이나 화약을 사용하는 화기에 주로 사용된 철)로 만들어졌다. 찬혈(鑽穴, 단조로 만든 총열에 구멍을 뚫는 방식으로 총열을 만드는 전통 기법)과 조성(照星, 총을 목표물에 조준할 때 이용하는 장치, 가늠쇠) 등은 조총과 유사하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