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진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네이버/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선비]

 

 위에 있는 푸른 것(하늘)과 아래에 있는 누런 것(땅)은 모두 의식이 없는 사물이다. 그것들은 해와 달과 산과 강과 똑같이 기의 바탕이 이룬 것일 뿐이며, 영묘한 앎이라는 주체적 작용이 전연 없는 것들이다. 성인이 이치를 밝힘에 있어 어찌 그것들을 아비로 섬기고 어미로 섬기라는 이치가 있겠는가? 오직 위대한 상제만이 모양도 바탕도 없으면서 나날이 여기에 임해 있으며, 하늘과 땅을 통어하고 뭇 사물의 할아비이자 뭇 귀신의 우두머리로서 우뚝하고 환하게 저 높이 임해 있다. 이에 성인은 정밀한 마음자세로 상제를 발게 섬겼으니, 이것이 곧 하늘제사(교제郊祭)가 생겨난 유래이다. 이에 온갖 명신들이 상제의 명을 받들어, 어떤 명신들은 해와 달과 별과 별자리와 바람과 구름과 우레와 비를 맡고, 어떤 명신들은 땅과 곡식과 산과 내와 언덕과 큰 언덕과 숲과 연못을 관장한다. 그 맡은 바 일이 위에 있는 명신을 하늘귀신이라 하고, 그 맡은 일이 아래에 있는 명신을 땅귀신이라고 부른다.

[정약용, '춘추고징(春秋考徵)','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제3책]

 

[사진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제1집 오학론/정약용이 당대의 주요 학문 경향인 성리학,훈고학,문장학,과거학,술수학의 다섯을 들어 그 폐단을 비판한 논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진 춘추고징(春秋考徵)/정약용이 '춘추'에 대하여 고징한 저서. 1936년 김성진이 편집하여 간행되었다. 4권. 규장각도서/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성(性)을 제대로 알아서 밝힌 것은 오로지 맹자 한 분인가 한다. 하늘이 내려준 성은 선(善)과 의(義)를 좋아함으로써 영명이 스스로를 살찌우도록 되어 있다. 그것은 기질의 성이 고기를 좋아함으로써 몸이 스스로를 살찌우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좋아하는 것을 성으로 규정할 때에만 이 뜻은 제대로 밝혀진다.(중략) 하늘이 주신 이 성은 선을 즐거워하고 악을 부끄러워한다. 한 가지 일에 마주칠 적마다 그 선함과 악함이 바로 앞에 놓여 있으니, 이 성이 향하고자 하는 쪽을 한결같이 따른다면 아무런 잘못이나 어그러짐이 없을 것이다.(중략) 만일 이 성이 없다면 아무리 지혜롭기가 신명 같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평생토록 실오라기 하나만큼의 선도 행할 수 없을 것이다.

[정약용, '염씨고문소증백일초(閻氏古文疏證百一抄)','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제3책]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