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통시장과 장터 문화



 시장은 시간과 공간의 일치를 통해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물자가 만나는 곳이다. 시장은 물자가 유통되는 중심지이기 때문에 일대의 지역은 서로 간에 거미줄과 같은 연결망을 이루게 된다. 일단 사람들이 모이면 서로 간에 정보가 오고 가는데, 이것도 역시 지역과 지역을 엮는 끈으로 작용한다.

 농민들이 꼭 사거나 팔 물건이 없더라도 구경 삼아 나와 보는 것이 농촌의 시장이다. 장에 나가면 견문을 넓히고, 친지나 친척을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다. 시장에서의 만남을 통해 이루어 지는 것 중의 하나가 혼담(婚談)이다. 혼인을 통해 농민들은 사돈을 맺게 되고, 그 유대의 끈이 된 시장은 이들이 가지는 또다른 공동체적 연망(聯網). 시장은 이처럼 조직이 없는 민중에게는 자연스러운 집회장소를 제공한다. 민란의 시작도, 일제 때의 만세운동도 그 배경이 시장이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시장은 경제적 행위를 하는 공간이지만 농민들에게는 동시에 일상의 활동에서 잠시 해방되는 날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특히 시장에서 행해지는 각종 민속놀이에 의해 만들어진다. 조선 후기에 탈춤의 연희장소로 알려진 곳은 주로 시장터이다. 야유(野游), 오광대(五廣大) 가면극 등이 행해진 경상도 동래(東萊) 중앙통의 시장 터, 수영(水營)의 시장 터, 그리고 고성(固城) 지역 등이 이러한 예이다.


[가락오광대 중 할미,영감 과장의 한 장면/부산일보DB]


 남한강 주변에는 산신과 용신에 대한 별신제가 행해졌다. 육로가 발달하기 전에는 수로가 운송로로 매우 중요하였으므로 강변에 시장이 형성된 경우가 많았다. 더불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개펄장터에서 이러한 별신제가 열렸다. 남한강이 중원벌을 가로질러 올라가면 충주 목계장에 이르는데, 이곳의 별신제가 바로 이러한 경우이다. 목계장은 소금배가 닿을 때마다 임시로 서는 장이다. 소금배는 대개 한 달에 세 번 닿았으며, 한번 장이 서면 여러 날 지속되었다. 이때마다 음성, 괴산, 청안, 영풍, 제천, 단양 등의 충청도 지역과 경상도 북구 및 강원도 남부의 여러 읍에서 장꾼들이 몰려왔다. 뱃길이 무사하고 장사가 잘 되게 해 달라는 기원을 담은 목계별신제는 매년 봄과 가을에 행해졌다. 별신제는 부용산신과 남한강 용신을 모셔오는 강신굿으로 시작하여 줄다리기 행사로 이어진다.


[사진 충주 목계나루터 전경-목계교가 놓이기 전 이 곳은 백여척의 상선이 집결한던 곳이다./네이버]


 줄다리기는 강을 경계로 동서 양편으로 나누어 줄을 당긴다. 동편은 수줄이고 서편은 암줄이 된다. 줄꾼이 동쪽으로는 강원도 강릉에서, 서쪽으로는 서울에서 까지 동원되었다고 할 정도로 규모가 컸다고 한다. 줄다리기가 끝나면 송신굿으로 행사를 마무리 한다. 이긴 편은 그해 운수가 좋다고 하여 잔치를 벌였다. 줄다리기에 사용된 줄은 남한강 양편에 걸어 놓아 여름장마의 액막이로 떠내려가게 둔다. 이 행사는 1967년을 마지막으로 사라졌다.

 7월 백중이 되면 시골 오일장에서는 농사꾼들을 위해 백중장을 열었다. 이때가 되면 시장권 내에 있는 농사꾼들이 씨름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장으로 모였다. 이 대회는 장의 번영을 목적으로 시장상인들이 추렴을 하여 마련한 각종 행사 중의 하나이다. 이날은 낮부터 밤는게까지 행사가 이어진다. 4월 초파일에는 불놀이를 했으며, 사당패를 불러 풍물, 무등, 줄타기 등을 하였다.

 가뭄이 심하게 들면 사시(徙市), 즉 시장 터를 옮기는 관행이 있었다. 가뭄을 해결하는 것과 시장을 옮기는 것 간에 어떤한 관계가 있었는지에 대해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우선 시장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이므로 장터의 이전은 가뭄의 심각성을 알리는 극적인 효과가 있다는 점을 든다. 또 하나는 대체로 이동장소가 강가, 또는 평소에는 물에 잠겨 있던 곳이라는 점인데, 이것 역시 가뭄을 과장하는 방법이 된다. 시장의 특징인 소란함도 이러한 해석 중에 들어 있는데, 시장에서 들리는 소음이 비를 내리게 하는 신을 깨울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떠한 해석이든 시장을 이동한다는 그 자체가 가지는 상징적 효과가 이러한 관행을 만들어 낸 것이다.

[전통사회와 생활문화/이해준 정승모 정연식 전경목 송찬섭]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