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357호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은 상층 기단 면석에 글자 크기 4cm의 탑 이름이 해서체(楷書體, 자형이 가장 똑바른 한자 서체의 한 가지)로 새겨져 있는데,끝에 태평 11년(太平十一年)의 연호 및 연대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태평은 중국 요(遼)나라의 연호로, 1031년(고려 현종 22)에 해당하며, 이 시기에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이 세워진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탑을 해체 복원하면서 탑의 내부에서 '太平十一年歲次辛未正月四日高麗國尙州界知京山府事任若木郡內巽方在淨兜寺五層石塔造成形止記(태평11년세차신미정월4일고려국상주계지경산부사임약목군내손방재정도사5층석탑조성형지기)'라 쓰여진 백지묵서(白紙墨書)의 형지기와 아울러 녹유사리병(綠釉舍利甁)·동합(銅盒) 등의 사리장치가 발견되었는데, 이 '조성형지기(造成形止記)'에 따르면 당시 승려 지한의 주도 아래 이 지역 향리와 백성들이 국가의 평안, 전쟁의 종식, 풍년을 발원하며 세운 탑이라고 한다.

글 문투에는 이두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 탑 자체에 관해서는 물론이지만 이두 연구에도 좋은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탑은 원래 2층 기단에 5층의 탑신이 올라간 형태인데, 현재 5층 지붕돌은 없어졌고, 상륜부(相輪, 불탑 꼭대기에 있는, 쇠붙이로 된 원기둥 모양의 장식 부분)의 장식 받침인 노반(露盤, 탑의 꼭대기에 있는 상륜의 한 부분)은 남아있다.

1층 기단에는 코끼리 눈을 본 떠 만든 무늬가 새겨져 있고, 2층 기단부터 탑신까지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다. 1층 몸돌에는 문짝과 자물쇠 모양이 조각되어 있는데, 깨끗하면서도 아름다운 느낌을 주며, 지붕돌은 4단 받침대 추녀 밑으로 낙수홈(물을 아래로 내려보내기 위한 홈)이 있다.

보물 357호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57호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57호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931호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931호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931호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931호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931호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931호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931호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931호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931호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931호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청자 죽순형 주자 靑磁 竹筍形 注子)는 기본 형태가 죽순의 모양을 한 청자 주전자로 이러한 죽순 형태는 상형 청자의 소재로 자주 이용된 것이다.

주전자 각 부분의 형태가 흐트러짐 없는 조화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완벽한 형태미를 보여준다. 또한 비색(翡色) 유약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입혀져 있어 고려 순청자(純靑磁, 소문청자 중에서도 유태가 양질이며 비색에 가까운 전성기의 청자에만 붙이는 명칭) 중에서도 최상품의 본보기라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899호 은도금 잔과 잔받침/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899호 은도금 잔과 잔받침/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899호 은도금 잔과 잔받침/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899호 은도금 잔과 잔받침/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899호 은도금 잔과 잔받침/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899호 은도금 잔과 잔받침/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899호 은도금 잔과 잔받침/국립중앙박물관]



고려 12~13세기 유물인 보물 1899호 '은도금 잔과 잔받침(은제 도금 탁잔 銀製 鍍金 托盞)'은 은을 재료로 하여 잔과 잔받침의 형태를 만들고 후에 도금 처리를 하여 제작되었다.

장식기법은 도금 외에 금속판을 안쪽 또는 바깥쪽에서 정을 두드려 문양을 섬세하고 입체감 있게 표현하는 방식인 타출(打出)기법을 활용해 화려하면서도 섬세하게 장식했으며, 잔과 잔받침의 윗부분에는 새김기법으로 모란꽃 무늬를 장식했다.

차를 마실 때 사용하는 다기(茶器)의 일종으로 추정되는 이러한 잔과 잔받침 한쌍의 탁잔(托盞)은 고려시대 청자로도 만들어졌으며 당시에 유행했던 잔 형태로 짐작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45호 '청동 귀면 화로'/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45호 '청동 귀면 화로'는 높이 13cm, 입지름 14.5cm 크기의 고려시대 작품이다.

화로 전체의 형태와 몸체에 새겨진 문양, 고리의 부착 위치 및 방법, 몸체 내부의 처리 형식, 짐승발 모양의 다리에 새겨진 귀면의 기법 등은 모두 다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정도로 독특한 양식을 하고 있다.

몸체는 솥 모양이며, 구연부는 3개의 산이 솟아 있는 듯한 형태를 하고 있고, 양쪽 측면에는 손잡이가 달려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고리가 남아있다.

화로의 정면에는 투각(조각 기법의 하나로, 재료의 면을 도려내 도안을 나타내는 기법)으로 귀면 장식을 표현했고, 다른 두 면에는 선각(선을 따라 문양을 나타내는 조각 기법)된 귀면 장식이 되어있는데, 정면의 투각된 귀면 장식의 입은 화로에 통풍 역할을 하는 기능을 한다.

화로의 발은 총 3개로 괴수의 얼굴이 장식된 짐승 발 형태로 만들어졌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280호 '천흥사'가 새겨진 천흥사 동종/고려/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80호 '천흥사'가 새겨진 천흥사 동종/고려/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80호 '천흥사'가 새겨진 천흥사 동종/고려/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80호 '천흥사'가 새겨진 천흥사 동종/고려/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80호 '천흥사'가 새겨진 천흥사 동종/고려/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80호 '천흥사'명천흥사동종은 경기도 광주에서 출토된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동종' 작품이다.

전체적으로 신라 동종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고려시대에 나타난 새로운 양식을 보이고 있는데, 종의 꼭대기에 있는 용뉴는 종을 매달기 위해 종의 맨 위에 만든 고리이고, 바로 옆의 굴뚝 처럼 생긴 음통은 음향효과를 위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용뉴(龍鈕)

범종에 쇠줄을 달아 매달기 위한 장치로 종의 가장 위쪽에 용의 형상을 한 고리.


신라 동종의 용뉴를 닮았지만 용두가 여의주를 물고 고개를 들고 있는 형태는 고려시대에 나타난 특징적 형식으로 볼 수 있다.

음통의 표면 역시 신라의 종처럼 5단으로 나누어 꽃무늬 장식을 하였으며, 종의 윗단과 아랫단에는 연속된 구슬무늬를 두르고 그 안에 보상당초무늬를 장식해 넣었다.

종의 몸체에는 두 개의 당좌와 비천상을 번갈아 배치했으며, 이렇게 당좌와 비천을 장식하고, 몸체에 넓은 공간을 남기는 것은 신라 이후에 나타나는 범종의 특징이다.

종의 제작시기는 몸체에 위패모양에 새겨진 글귀를 통해 '천흥사'명천흥사동종이 고려 현종 원년(1010년)에 주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