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점심/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점심은 장정들이 일을 마치고 점심식사를 하는 모습을 담은 그림으로 이미 식사를 마친 사람과 식사를 하고 있는 모습 등이 매우 다채롭게 표현돼 있다.

그리고 점심을 가지고 왔을 아낙네가 점심 식사가 끝나기를 기다리며 아이에게 젖을 물리고 있는 모습과 아낙네를 따라왔을 개의 모습 등은 그림에 정취를 더해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나룻배/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나룻배는 원근법을 적용한 두 척의 나룻배에 여러 계층의 사람들과 짐이 가득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강을 건너 장터로 가는 모습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모습을 통해 조선 후기 상업 발달의 일면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편자박기/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편자박기는 말굽에 쇠로 만든 편자를 박기 위해 말의 네 다리를 나무에 묶고 공구를 이용해 편자를 박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힘들어 하는 말의 표정과 편자를 박는 전통적인 방식을 실감나게 잘 표현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장터길/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장터길은 말을 타고 산모퉁이를 돌아가는 한 무리의 행렬을 그린 그림이다.

행렬의 표정이 전체적으로 밝고 경쾌하고 소와 말의 등에 짐이 실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장터에 나가 장사가 잘돼 물건을 다팔고 신나게 돌아가는 길인 듯 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기와이기/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 기와이기는  기와 지붕의 기와를 잇는 광경을 그린 것으로

원근법을 통해 그림을 구성해 각각의 위치에서 일하는 일꾼들의 모습이 더욱 실감나게 살펴볼 수 있다.

먹줄을 늘어뜨린 목공이 한쪽 눈으로 기둥을 가늠하는 모습, 한쪽에서 열심히 대패질에 몰두하고 있는 목수의 모습, 그리고 지붕 아래에서 기와를 막 던지기 전 자세를 취하고 있는 모습을 비롯해 아래에서 던진 기와를 지붕위에서 한손으로 받아내는 모습과 반죽한 흙덩이를 줄을 달아 지붕위로 올리는 모습들이 숙련되고 일사불란하면서도 아주 실감나게 표현되어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527호, 김홍도의 <단원 풍속도첩> 길쌈/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김홍도의 <단원 풍속도첩> 길쌈은

아낙네들이 길쌈 즉, 베틀을 이용해 베나 모시 등의 직물을 짜내는 일을 하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아낙네들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진솔한 생활미가 깃든 작품이다.

아기를 업은 할머니와 할머니의 치마끈을 잡고 서 있는 아이가 열심히 길쌈하는 여인을 뒤에서 구경하듯 바라보고 있고, 저만치 떨어진 곳에서는 뒤로 돌아 구부리고 앉은채 열심히 실을 뽑아내는 아낙네가 표현돼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고누놀이/국립중아박물관]


고누놀이는 우리 선조들이 많이 즐기던 놀이로 어떻게 유래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아주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놀이이다.

고누놀이는 그 형태에 따라 우물고누, 줄고누, 호박고누, 자동차고누 등이 있는데

먼저 우물고누는 2명의 상대가 각각 2개의 말을 사용해 하는 것으로

말이 더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되면 지게되는 놀이다.


[우물고누/네이버지식백과]


다음 줄고누는 말을 다섯 개씩 준비하고(더 많은 칸수를 그려 말의 숫자를 늘려도 상관없다.) 격자 선을 따라 상하 좌우로 한칸씩 번갈아 움직일 수 있으며 대각선으로는 가지 못하고 상대편 말이나 내 말이 있으면 넘지 못한다. 또 상대면 말을 따먹을 수 있는데 내 말과 말 사이에 상대편 말이 끼게 되면 따먹을 수 있다.

줄고누는 이렇게 상대편 말을 다 따먹게 되면 이기는 놀이다.


[줄고누/네이버지식백과]


다음 호박고누는 3개의 말을 지정된 위치에 두고 시작하게 되는데 한 번에 한 칸씩 움직일 수 있으며, 원 안에서는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지만 맨처음 있던 진지 자리에 돌아오면 돌아갈 수 없고 상대편 진지로 들어갈 수도 없는 놀이다.

우물고누와 마찬가지로 더이상 말을 움직일 수 없을 때 지게된다.


[호박고누]


마지막 자동차고누는 말을 각 네 개씩 준비하고 대각선 모서리에 말을 위치한 다음 시작하게 된다. 이역시 줄고누처럼 칸수를 늘려도 관계가 없다.

상하와 좌우로 움직일 수 있지만 대각선으로는 가지 못하며, 네개이 원은 자동차 바퀴인데, 말이 한칸씩 움직이다가 원이 시작되는 접점에 있게되면 원을 따라 한바퀴를 돌아 여러 칸을 전진(직진으로만)할 수 있다. 이때 원을 돌아 전진하면서 상대편 말이나 내 말이 막고 있으면 그 앞에 멈춰야 한다.

상대편 말을 따먹을 수 있는 것은 반드시 바퀴를 돌아야 따먹을 수 있고 상대 말을 따먹은 후에는 따먹은 그 자리에 내 말을 두어야 한다.

이 역시 상대편 말을 모두 따먹는 경우 이기게 된다.     


[자동차고누/네이버지식백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단원 풍속도첩-벼타작/국립중앙박물관]



[단원 풍속도첩-벼타작/국립중앙박물관]



[단원 풍속도첩-벼타작/국립중앙박물관]



단원 김홍도의 '단원 풍속도첩-벼타작'은 농부들이 벼를 타작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열심히 벼타작 일을 하는 농민들 한켠에 곰방대를 물고 홀로 한가롭게 그 모습을 지켜보는 양반의 모습을 통해 신분제의 단면을 엿볼 수 있는 그림이기도 하다.

신분적 갈등과 대립관계에 있는 사람들을 한 장면에 그린 그림이지만 그 속에는 심각한 대립관계는 찾아볼 수 없으며, 대립 보다는 있는 그대로를 해학적으로 그려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신행길/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신행길/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단원 풍속도첩-신행길/국립중앙박물관]


보물 527호 '신행길'은 단원 김홍도(1745~1816 이후)의 <단원 풍속도첩> 중 결혼을 위해 신부의 집으로 향하는 신랑 행렬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굽은 언덕길을 돌아가는 화면 설정을 통해 긴 행렬을 한 화면에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맨 앞에는 청사초롱을 을 든 사내 둘(한 사내는 맨발을 한 것이 특이하다)과 바로 뒤에는 기럭아비가 앞장서 가고 있다.

또, 기럭아비 뒤쪽에 말을 끄는 사내의 모습을 통해 신랑의 집안 어른이 탄 말이 있을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그 뒤로는 백마를 탄 신랑의 모습이 보이고, 그림에서 각 인물들의 얼굴 표정이 모두 다른데, 신랑은 과하지 않은 미소를 머금은 표정을 하고 있어 이날의 기분이 어떠한지를 짐작케 한다.

신랑의 뒤로는 장옷을 입고 말을 타고 따라오는 인물이 보이는데 행색을 통해 매파로 추정해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