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로버트 스미스슨의 나선형의 방파제(1969~1970), 유타주 솔트레이크/출처: 위키백과


대지 미술이란 미술을 화랑과 사회로부터 떼어 내어 자연 가운데 설치하려는 생각에서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자연은 거대하고 움직일 수 없는 대지나 환경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지 미술의 작업 방식은 매우 다양해서 로버트 스밋슨(Robert Smithson)과 같이 호수에 엄청난 양의 흙을 쏟아 부어 나선형 모양과 방파제를 만든다거나, 리처드 롱(Richard Long)과 같이 길이 없는 들판을 반복적으로 걸어 다님으로써 길을 내는 것을 작품으로 인정한다. 혹은 데니스 오펜하임(Dennis Oppenheim)처럼 가로 126미터, 세로 212미터의 밀밭에 X자로 쟁기질을 해 놓거나, 크리스토(Christo)처럼 빌딩이나 해안의 섬들을 천으로 포장(empaquetage)한 사례도 있다.


크리스토 The Gates, Central Park, New York City, 1979-2005/출처: christojeanneclaude.net


이러한 미술의 공통점 중 하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작품의 형태가 변화하며, 결국 소멸한다는 점이다. 미술가들은 이러한 변형 혹은 소멸의 과정조차 작품의 일부로 받아들인다. 또는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작품을 사진으로 기록함으로써 사진을 자신의 작품으로 인정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작품들은 더 이상 회화도, 조각도 아닌 미술 작품들로서, 미술과 타 예술 간의 경계가 모호할 뿐만 아니라 미술의 정의마저도 불가능하게 한다. 이 같은 새로운 미술들은 '비물질성'을 지향함으로써 결국 종래의 미술제도, 즉 미술관이나 작품 개념 혹은 작품 매매의 관습 등에 대한 하나의 공격 행위가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마그리트, <빛의 제국> 1953, 벨기에 왕립미술관



초현실주의 선언문

브르통, 1924년


순수한 상태에서의 정신의 자동작용(psychic automatism)으로서, 이를 통해 사람들은 말로든 글로든 또는 다른 어떤 방법으로든 사고의 실제적인 작동을 표현하가조 한다.

이는 이성에 의한 어떤 통제도 받지 않고 어떠한 미적 혹은 윤리적 관심도 자유로운 사고에 의해 받아써지는 것이다.



백과사전의 철학적 정의


초현실주의는 지금까지 소흘히 다뤄진 어떤 연상 형태의 우월한 실재와 꿈의 전능함, 그리고 사고의 무관심적 유희에 대한 신념에 근거하고 있다. 그리고 초현실주의는 다른 모든 정신적 메커니즘을 결정적으로 무너뜨리고, 그것들을 대신하여 삶의 중요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알브레히트 뒤러, <자화상> 1500년경 제작 / 출처: 위키백과]

'개인' 이라는 개념이 싹트고, 그 개념이 예술 작품 속에서 구체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바로 르네상스 시대부터이다.

르네상스는 신중심적 재현방식이 지배하고 있던 세계에서 벗어나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으로부터 비롯된 변화였다. 이후 예술 작품은 점차 성스러운 것을 외면하고 이 지상에서의 삶을 가장 개별적인 것들을 통해 재현하는 일에 집착하게 된다. 일상적인 사물과 사건들, 개인과 그들의 인간적 감정 등이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된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개인의 재현과 더불어 개인-주체, 즉 화가가 등장한다.

말하자면, 르네상스 시대에 역사상 처음으로 화가의 서명이 작품 속에 들어가거나, 작품 속에 화가 자신의 시선이나 심지어 그 모습이 재현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가장 뚜렷이 보여 주는 것이 화가 자신을 그린 자화상의 제작인데, 이는 결국 예술 작품이란 예술가 자신의 개인적 창조물이라는 근대적 개념으로 이어진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개념 미술이란, 미술가들이 작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머리에 떠올린 후 그것을 물질적, 대상적 형태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언어학이나 기록물 그리고 계획 안으로 표현할 때 작품이 완성된다고 간주한 미술이다. 모더니즘 미술은 그 순수성을 위해 '주제'를 제거하려 했는데, 개념 미술에 이르면 이제 주제를 제외한 거의 모든 것이 소멸된다는 점에서 개념 미술의 미학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온 카와라, <오늘 연작 No.217. (TODAY Series No. 217.)>, 1966



또한 미술이 조형적 '형식' 보다는 작가의 '개념'으로 이루어진다면, 이제 예술가가 어떤 것이 예술이어야 하고 어떤 것이 아닌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그러한 예술가는 화랑이나 미술관, 그리고 대중매체를 주관하면서 전문적으로 대중의 취향을 만들어 내던 비평가들을 밀어내게 된다. 그리고 그 같은 미술은 미적 의미를 가진 존재이지, 더 이상 취향을 주관하는 자들의 고객들에게 상품가치를 만들어 줄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효과적인 공연기획 방향 설정 6W3H 원칙




하나의 공연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방향을 잡는 것을 전략 또는 운영계획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운영계획 수립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6W3H 원칙에 따르는 것이 효과적이다.


6W3H 중 6W는,

Who: 누가 주최, 후원하는가?

Why: 공연의 목적은 무엇인가?

Whom: 공연의 타겟(청중 Target audience)은 누구인가?

What: 공연의 컨셉(concept),테마(theme),프로그램(program)은 무엇인가?

When: 공연은 언제 할것인가?

Where: 공연을 할 곳은 어디인가?


3H는,

How: 공연은 어떻게 구성하고, 운영하며, 진행되는가?

How much: 공연을 위해 필요한 비용과 수입은 어느 정도인가? 

How long: 공연 일정은 언제 까지인가?


하나의 공연을 성공적으로 추진해내기 위해서는 내실있는 운영계획이 반드시 필요며, 그러기 위해서는 이렇게 6W3H를 기본으로 하면 체계적이고 내실있는 계획을 수립하기가 용이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시조창(詩調唱)


[사진 전통 장구/네이버지식백과]


 시조창은 영조(재위1724~1776) 무렵부터 노래로 불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처음에는 평시조 형식만 있었는데, 초장을 높은 소리로 질러대는 지름시조, 장형시조를 촘촘히 얹어 부르는 사설시조, 가볍게 흥청거리는 창법으로 부르는 엇시조 등의 변주곡이 생겨났다.

 시조창은 3장 형식의 일정한 선율에 여러 시조를 얹어서 부르는 것이다. 가곡이 관현반주를 수반하는 것과는 달리 장구 하나만으로 반주를 한다. 가곡은 고도로 세련되어 음악적으로 많은 훈련이 필요하여 주로 전문가에 의해 불리지만, 시조창은 간단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메트로놈은 40부터 시작되는데, 시조의 1박은 메트로놈 40보다 더 느리고, 선율도 극히 단순하다. 그렇다면 시조의 아름다움은 어디에 있는가? 바람이 머리 위 소나무 숲으로 '쏴~악' 하고 스쳐 몰아오다가, 바람이 지나 멀어지면서 소나무 잎이 흔들리며 내는 여운의 소리가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듯, 시조의 아름다움은 선율이나 리듬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한 음이 흘러가면서 수묵화의 농담(濃淡)처럼 또는 바람에 흔들리는 소나무 잎처럼 만들어지는 소리의 역동성에 있다.

 엄밀히 말하면 서양음악에 익숙한 귀로 들었을 때 시조가 느리게 느껴지는 것이지 우리 전통음악에 익숙한 귀로 들으면 알맞은 속도이다. 서양인은 맥박을 기준으로 템포를 정하고 우리는 호흡을 기준으로 템포를 정했다. 보통 맥박은 1분간에 70회를 뛰고, 맥박이 6회 뛸 동안 호흡은 1회 한다. 서양은 맥박 1회를 1박으로 잡았고, 우리는 1/2 호흡, 즉 맥박 3회를 1박으로 잡았으므로, 속도감이 서로 다른 것 뿐이다.


<평시조>

십 년을 경영하여 초려(草廬) 한 칸 지어 내니

반 칸은 청품이요 반 칸은 명월이라

강산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 두고 보리라.


<지름시조> 

삭풍(朔風)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明月)은 눈 속에 찬데

만리변성(萬里邊城)에 일장검(一長劍) 짚고 서서

긴파람 큰 한 소리에 거칠 것이 없어라.


<사설지름시조>

물 넘는 강상(江上)에 올라 나무도 꺾어 다리도 높고 돌도 발로 툭 차 데굴데굴 궁굴려 수렁도 뫼고

만첩청산 내리고 내리는 물결을 위여다가 어르렁 콸콸 더지 둥덩실 님 찾아 간다.

우리도 사랑 실은 배 타고 더지 둥덩실.


[음악의 이해와 감상/김종수 김성혜 이지선 유영민]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