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1411호, 임신서기석/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411호 '임신서기석'은 최대 높이 32cm, 최대 너비 12.3cm의 크기로 1934년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금장리 석장사터 부근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비석의 제작연대는 비석의 비문에 새겨진 임신년(壬申年)이 정확히 언제인지는 명확하지 않아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으나 아마도 화랑도가 번창하던 552년 또는 612년 경으로 추정된다.

비문은 첫머리에 임신년(壬申年)이라는 간지(干支,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한 연대표)가 있고, 별도의 구획선 없이 5행 74자를 새겼는데, 화랑도의 기본정신에 따른 충도의 실천으로 신라에 충성을 서약하는 내용이 새겨져 있으므로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이라고 명명했다.


비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壬申年六月十六日 二人幷誓記 天前誓 今自三年以後 忠道執持 過失无誓 若此事失 天大罪得誓 若國不安大亂世 可容行誓之 又別先辛未年 七月卄二日 大誓 詩尙書禮傳倫得誓三年.

임신년 6월 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해 기록하며, 하늘 앞에 맹세한다. 지금으로부터 3년 이후에 충도를 집지하고 허물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약 이 이서약을 어기면 하늘에 큰 죄를 짓는 것이라고 맹세한다. 만약 나라가 편안하지 않고 크게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모름지기 충도를 행할 것을 맹세한다. 또한 따로 앞서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하였다. 즉 시, 상서, 예기, 전을 차례로 습득하기를 맹세하되 3년으로써 하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요즘 시도 때도 없는 미세먼지로 인해 전국적으로 여간 큰일이 아닌데요,

이런 미세먼지는 정치권에서도 미세먼지 해결이 하나의 큰 정책으로 발표될 만큼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어 더 큰 이슈가 되고 있기도 합니다.

그런 사회적 이슈가 반영돼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곳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런데, 공기청정기는 일반 전자제품과 조금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인데요, 이런 이유 때문에 공기청정기를 선택할 때는 반드시 최우선으로 고려가 되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이런 사실을 잘 모르고 외형이나 설명만 듣고 공기청정기를 구매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되는데, 다른 전자제품과 마찬가지로 한 번 구매하면 오래도록 믿고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고가의 공기청정기이기 때문에 최상의 품질을 유지시키고 적절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내가 사용하는 공기청정기가 어떤 구조이고, 어떤 관리가 필요한지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럼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청정기는 주로 어떤 필터 구성과 교체주기를 가지고 있을까요?


"공기청정기는 보통 3~5단계 필터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필터의 이름과 순서는 제조사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공기청정기 필터구성"


1차 프리필터

※교체주기: 없음(반영구적),정기적인 먼지제거&청소 필요.


오염된 공기가 필터로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전 주로 큰먼지를 1차로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2차 집진필터 or 복합필터


※교체주기: 설치 장소 및 필터 교체 수명에 따라 2~6개월 교체 필요.


미세먼지 제거 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1차 프리필터를 통과한 중간 크기의 먼지부터 작은 크기의 먼지를 제거하며, 곰팡이류 및 세균 제거하는 항균 기능을 합니다.



3차 탈취필터

※교체주기: 12개월 교체


생활냄새 동물냄새를 비롯한 각종 냄새와 공기 중 유해가스(아세트산, 아세트알데이드, 포름알데이드)와 새집증후군 유발 물질, 담배연기 등을 제거합니다. 



4차 헤파필터

※교체주기: 12개월 교체


공기청정기에서 가장 중요한 필터로 필터에 등급이 있으며 보통 H12 등급 ~ H14 등급 사이의 필터가 많이 사용되며, 해당 등급 안에서는 가격대비 성능은 큰 차이가 없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제거,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간균, 대장균, 쥐티푸스균 등의 균을 99% 이상 제거.



※ 제조사에 따라 필터링 단계구성은 비슷하지만 필터의 기능을 복합해 필터 갯수를 줄인 경우도 있으므로 참고하세요.



공기청정기는 그 방식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지만 요즘 일반가정 및 사무실, 업소 등에서는 대부분 필터가 장착된 필터형 공기청정기를 많이 사용합니다.

필터가 장착된 공기청정기는 그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하고 최적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터교체 수명에 따라 정기적인 교체와 관리가 필요한데요,

요즘 많이 하는 방식인 렌탈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중이라면 렌탈요금만 지불하면 해당 렌탈 회사와의 관리 계약에 따라 정기적으로 방문과 관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지만, 기계값을 한번에 치르고 구매한 경우라면 필터구성과 각 필터의 역할 그리고 각 필터마다 가지고 있는 적정한 교체 수명 정도는 알고 있어야만 별 문제 없이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지금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할 예정이라면 꼭 참고하세요~!



[SK매직(구 동양매직) 슈퍼 i 청정기/출처: SK매직샵]



[교원웰스 제로 컴팩트 공기청정기/출처: 교원웰스렌탈몰]



[LG 퓨리케어 360도 공기청정기/출처: LG퓨리케어샵]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24호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국립중앙박물관]



보물 624호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은 5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높이 7cm, 입지름 10.3cm, 바닥지름 5.7cm 크기의 나지막한 유리잔이다.

투명한 양질의 유리로 만들었으며, 갈색 바탕에 마치 나무의 나이테와 같은 짙은 갈색 무늬가 나타나 있어 자연스러우면서 독특한 미적 효과를 보여준다.

잔의 아가리 부분은 거의 수평으로 벌어져 있는데, 정면에서 바라보면 S자 모양의 곡선을 이룬다. 잔의 굽은 나팔 형태로  굽과 몸통 사이에는 볼록한 띠가 돌아가고, 굽의 가장자리에도 두툼한 테두리가 만들어져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240호 백자 청화 투각 모란 넝쿨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보물 240호 '백자 청화 투각 모란 넝쿨 무늬 항아리'는 18세기 조선시대 작품으로 높이 26.4cm 크기의 청화백자이다.

전체적으로 우수한 품질과 유색으로 보아 왕실에서 특별히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추측되며, 조선왕조 도자기는 보통 단순하고 간결한 것이 주요 특징인 것에 비해 '백자 청화 투각 모란 넝쿨 무늬 항아리'는 복잡한 투조 문양으로 장식한 희귀한 예로 볼 수 있다.

원통형의 내호와 모란꽃을 투각한 장식외호의 이중으로 구성된 것이 특이하다. 어깨 부분에 넝쿨 무늬 대를, 몸체 아래에는 한줄의 양각선과 여의두 무늬를 두르고 그 사이 전면을 모란 무늬로 채웠는데, 담청을 머금은 맑고 깨끗한 백자유약이 얇게 칠해져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93호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높이 24.8cm/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93호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높이 8.4cm, 입지름 10.5cm/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93호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높이 9.6cm, 입지름 10.4cm/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93호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높이 13cm, 입지름 10.1cm/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93호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되었다.

유리병과 잔은 주변의 빛을 빨아들일 듯한 신비로운 연녹색으로 그리스의 오이노코에(Oinochoe)라고 하는 유리병과 형태가 거의 유사한데, 시리아 등지의 지중해 동부 주변에서 주로 만들어졌으며 비단길 및 바닷길을 통해 신라로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병의 주둥이 모양은 나팔잎 모양으로 중국으로 전해지면서 주둥이가 봉황의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봉수병 鳳首甁'이라고 불리게 됐다.

병의 주둥이와 목에 파란색 띠를 붙인 것은 당시에 유행했던 장식기법이며, 손잡이에 감긴 금실은 부러진 손잡이를 수리하기 위한 용도로 추정된다.

이와같은 유리 그릇들은 금관이나 금 허리띠와 같이 정치, 사회적 신분이 높은 왕릉급 대형 무덤에서 주로 출토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275호 '기마 인물형 각배'/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75호 '기마 인물형 각배'는 5세기 삼국시대 가야 유물로 높이 23.2cm, 길이 13.1cm, 바닥지름 9.2cm 크기이며,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덕산리에서 출토되었다.

국은 이양선 선생의 기증품으로 전체 형태는 말을 타고 있는 무사와 말의 등 부분에 두 개의 뿔잔이 좌우대층으로 솟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말의 몸통에는 판갑이 둘러져 있으며, 말 등에 앉아 있는 무사는 투구와 갑옷을 착용하고, 왼손에는 방패를 들고 오른손에는 창을 들고 있는데, 비교적 세세하게 표현되어 있어 삼국시대 당시 무사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37호 '바퀴모양 토기'/국립중앙박물관]


보물 637호 '바퀴모양 토기'는 5~6세기 삼국시대 가야의 것으로 높이 22.5cm, 길이 24cm 크기의 토기 유물이다.

'바퀴모양 토기'는 특이하게도 수레바퀴가 달려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데, 이 토기와 함께 묻힌 주인공의 영혼을 저승세계로 운반하는 기원적 의미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토기의 굽다리는 삼국시대 토기 형태 중 가장 많이 보이는 청이 뚫린 굽다리접시의 굽다리 위에 원통관을 올려놓았고, 원통관의 양쪽에 각각 수레바퀴 모양을 붙였다.

원통관 위에는 고사리 모양의 장식이 3개가 붙어있던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는 하나만 남아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92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92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는 길이 120cm, 너비 3.6cm 크기의 4~5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경북 경주시 황남동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되었다.

신라 왕족의 무덤에서는 금으로 화려하게 제작된 허리띠가 거의 예외없이 출토가 되는데, 이러한 허리띠의 모양과 재질을 통해 무덤속 주인공의 사회적 신분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같이 신라의 화려한 장례문화는 6세기 이후의 사회변화와 함께 점차 사라지게 된다.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는 넝쿨무늬를 투조(판금, 목재, 석재 등과 같은 기본 재료의 뒷면까지 완전히 도려내 일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조각 세공 기법의 하나)하여 만든 방형판에 심엽형 수하식이 매달려 있으며, 심엽형 수하식에는 둥근 달개가 매달려 있다. 드리개는 방형과 타원형 금판을 연결하고 끝에는 약통, 물고기, 숫돌, 곱은옥 등 다양한 상징물들을 매달아 장식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것저것 다 파는 식당보다

전문요리 한두 가지를 아주 잘하는 식당이 더 유명하듯

아이들을 키울 때는

모든 과목을 잘하도록 요구하는 것보다

잘하는 분야를 깊이 있게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공부 잘해서 시험 잘 보는 것만이 지성이 아니에요.

다른 사람이 느끼는 여러 가지 감정을 공감하며

같이 느길 줄 아는 것도 지성입니다.

-혜민스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45호 '청동 귀면 화로'/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45호 '청동 귀면 화로'는 높이 13cm, 입지름 14.5cm 크기의 고려시대 작품이다.

화로 전체의 형태와 몸체에 새겨진 문양, 고리의 부착 위치 및 방법, 몸체 내부의 처리 형식, 짐승발 모양의 다리에 새겨진 귀면의 기법 등은 모두 다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정도로 독특한 양식을 하고 있다.

몸체는 솥 모양이며, 구연부는 3개의 산이 솟아 있는 듯한 형태를 하고 있고, 양쪽 측면에는 손잡이가 달려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고리가 남아있다.

화로의 정면에는 투각(조각 기법의 하나로, 재료의 면을 도려내 도안을 나타내는 기법)으로 귀면 장식을 표현했고, 다른 두 면에는 선각(선을 따라 문양을 나타내는 조각 기법)된 귀면 장식이 되어있는데, 정면의 투각된 귀면 장식의 입은 화로에 통풍 역할을 하는 기능을 한다.

화로의 발은 총 3개로 괴수의 얼굴이 장식된 짐승 발 형태로 만들어졌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