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622호 천마총 자루솥/국립중앙박물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천마총에서 발견된 보물 622호 '천마총 자루솥'은 5~6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높이 20.5cm, 몸통 지름 18cm, 손잡이 길이 13cm 크기이다.

이러한 유물은 대부분 왕릉과 같은 지배층의 큰 무덤에서 출토되는데, 양머리 모양의 주구가 달린 청동으로 만든 솥으로 측면에 손잡이가 달려있고, 짐승다리 형태의 다리 3개가 있다. 이러한 자루솥(鐎斗 초두)은 술이나 음식 약 등을 끓이거나 데우는데 사용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황남대총 북분에서 발견된 보물 623호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는 4~5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너비 2.1cm, 지름 7.2cm 크기이다.

이러한 금제 및 은제 장신구는 신라 지배층 무덤에서 예외없이 발견되는데, 그만큼 팔찌와 귀걸이, 과대 등은 신라 지배층의 장례풍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도 볼 수 있다.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는 2개의 금판을 이용해 만들어졌는데, 바깥쪽 금판에는 금실과 금알갱이로 문양을 만들고, 문양에는 보석류를 박아넣어 장식하고, 안쪽에 또다른 금판을 덧대어 안쪽에서 밖으로 둥굴게 말아 마무리를 한 형태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43-7호 연꽃 구름무늬 벽돌/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43-7호 '연꽃 구름무늬 벽돌'은 가로 29cm, 세로 29cm 두께 4cm의 크기이다.

7세기 백제시대 제작된 것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규암면 외리의 옛 절터에서 발견된 무늬벽돌이다.

벽돌 중앙에 원형으로 장식이 되어 있는데, 작은 원 안에 연꽃무늬를 표현했고, 연꽃 주변에 소용돌이 형태의 구름무늬를 표현했으며, 벽돌의 네 모서리 부분에도 연꽃무늬를 두어 화려하면서도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구도를 보여주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328호 기영회도(耆英會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328호 기영회도(耆英會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328호 기영회도(耆英會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328호 기영회도(耆英會圖)/국립중앙박물관]




기영회도(耆英會圖)에서 기영회(耆英會)는 조선시대 정2품 이상의 벼슬을 지낸 70세가 넘은 원로 사대부들의 모임으로 기로연(耆老宴), 기로회(耆老會)라고도 불렀다.

기영회는 고려시대 높은 관료들의 사적모임에서 출발해 점차 정치적 모임으로 발전했으며, 조선 태종 이후 연회적 성격으로 변모해가기 시작했다.

이러한 기영회는 예조가 주관했으며 따라서 예조판서가 주관자가 되고 왕의 비서실장격인 승지가 특별히 파견되어 감독했다.

보물 1328호 기영회도는 그 장면을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넓은 대청이 있는 건물 내부에서 행해지는 연회 장면을 생동감있게 잘 표현하고 있다. 전체 그림에서 윗부분에는 제목을 써넣었고, 아랫쪽에는 참석한 사람들의 이름과 자, 호, 본관, 품계 등의 서열과 시문을 적어 일반적인 계회도의 형식을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연회의 장면을 그림으로 옮기는 것이 목적이었던 만큼 전체적으로 산수 배경은 생략했으며, 건물 내부를 부각되게 배치하여 연회에 참석한 원로사대부들과 주변 인물들의 움직임을 실감나게 담아내고 있다.

본 기영회도에서 참석한 일곱 명의 원로 사대부는 흉배 없는 관복(담홍포)을 입고 호피무늬 방석 위에 앉아 각각 앞에 상을 받아 두고 있으며, 두 명의 원로는 오랜 회포를 풀 듯 서로 공손히 무릎을 꿇고 잔을 들어 마주하는 장면도 연출되어 있다.

또, 그림 상에 나타나는 촛불을 통해 연회가 열린 시간이 저녁시간인 것도 알 수 있다.

7명의 참석자 명단은 홍섬(1504~1585), 노수신(1515~1590), 정유길(1515~1588), 원혼(1505~1588), 정종영(1513~1589), 박대립(1512~1584), 임열(1510~1591)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061호 백자 철화 풀 무늬 각배/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1호 '백자 철화 풀 무늬 각배'는 15세기 조선 백자로 소뿔 모양을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도자기 입 부분은 안쪽으로 밀린 듯이 처리했으며, 뿔의 뾰족한 끝 부분에서 시작한 풀 모양의 무늬는 전체 길이 1/3 정도만 들어가 있다.

황색을 띠는 회백색의 유약은 다소 두터우며, 불투명한 느낌을 주는데, 이러한 뿔 모양의 도자기는 우리나라에서 삼국시대 이후 소량 제작되었으며, 특히 백자로 만든 것은 매우 희귀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단원 김홍도 활쏘기/단원풍속도첩/국립중앙박물관]


단원 김홍도의 <<단원 풍속도첩>>에 있는 '활쏘기' 그림, 보물 527호이다. 인물의 역할과 표정에 따른 심리묘사가 뛰어난 그림으로 활쏘는 법을 배우고 있는 장정들과 군관의 얼굴 표정과 몸놀림이 사실적으로 표현돼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