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권태와 빈둥거림은 불행과는 다른 속성이다. 사실 러셀은 이 두 가지야말로 우리가 행복해지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라 말한다.

"전쟁, 박해, 대학살은 모두 권태로부터 도피한 결과물"이라는 게 러셀의 믿음이다.

실제로 '행복의 정복'이 출판된 지 9년 뒤 어느 저녁, 히틀러가 라디오 주파수 다이얼을 이리저리 돌리다가 문득 괴링(Hermann Goering, 독일의 군인, 정치가, 나치당 초기 멤버)에게 "우리, 술 한잔하러 가겠나? 아니면 폴란드나 침공하는 건 어떤가?"라고 말하는 순간이 찾아왔다.

(Hermann Goering, 1893.1.12~1946.10.15/독일의 군인, 정치가, 나치당 초기 멤버) © Hohum/wikipedia

이건 나쁜 권태다. 하지만 러셀은 좋은 권태도 있다고 말한다.

자, 그럼 좋은 권태부터 살펴보자. 러셀은 우리가 더 행복해지고 보다 만족감을 느끼고 싶다면, "현재와 또 다른 가상 상태 사이에 생기는 차이"라는 의미에서 권태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모름지기 심심한 사람이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재미있는 영화를 빌려 보거나 문화센터에 등록하고 컴퓨터를 켜기 마련이다.

우리는 유전적으로 권태를 좋아하지 않도록 길들여졌다. 러셀의 설명대로라면 우리 선조들이 사냥꾼이었기 대문이다. 곡식을 심고 가축을 키우기 위해 정착하는 동안에는 생활이 따분했다. 그런데 "이 세상 권태의 총합을 엄청나게 줄여준" 기계문명의 시대 덕분에 우리는 지루하고 심심한 상태에서 벗어났다.

이상의 표현을 한 러셀은 콜센터에 전화해서 계속 대기 상태로 수화기를 붙들고 있거나 스팸메일함을 정리해야 할 필요가 없는 사람이었다. 러셀이 말하는 핵심은 이것이다. 이제는 시대극에서나 볼 수 있는 빅토리아 시대 사람들과 비교한다면 현대인들은 자극을 받기가 아주 쉽다. 예전에는 저녁 식사 후에 멀뚱하니 둘러앉아 심심해하는 것 말고는 딱히 할 일이 없었다.

러셀은 우리가 권태를 즐기지 못한다면 권태를 소중히 여기는 방법도 체득하지 못할 거라고 말한다. 우리는 자기가 하는 일이 가치 있기 때문이 아니라 해야 한다는 의무감에 꾸역꾸역 무언가를 계속하게 될 것이다. 그 결과는 가슴 벅차게 만족스러운 하루가 아니라 그저 스케줄이 빡빡해 정신없이 바쁜 하루일 뿐이다.

러셀이 말하다시피, 때때로 고요하고 한적하게 사는 삶은 "위인들의 특징"이다. "위대한 사람들의 즐거움은 겉보기에 흥미진진할 것 같은 그런 게 아니다." 훌륭한 이들은 기꺼이 마음을 비우고 생각할 여유를 갖기 때문에, 그들의 권태는 흥분이나 자극이 아니라 충족감에게 길을 내준다.

다윈은 아침마다 여러 가지 문제를 생각하면서 정원을 거닐었는데 매번 같은 길을 따라 걸었다. 가끔씩 뉴턴은 잠자리에서 일어나면서 한 가지 생각에 사로잡힐 경우 그 문제에 대해 생각하느라 꼼짝도 않은 채 몇 시간이고 가만 있었다.

구글사 직원부터 미국 해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과 함께 일한 경험이 있는 생산성 분야의 전문가 데이비드 앨런(David Allen)의 말을 들어보자. 그는 우리에게 일주일에 30분 정도는 오롯이 자신이 해야 할 일에 대한 생각만 하면서 시간을 보내라고 조언한다. 아무것도 하지 말고 그저 생각만 하라.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마음의 결을 곧게 펴는 시간을 가져라. 아무것도 안하면서 조용히 생각하는 법을 터득하면 모든 일을 보다 생산적으로 해내는 에너지를 얻게 된다.

(러셀의 행복 철학 中)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세상을 보는 시각이 멍청할 정도로 젊망적인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이 사람들에게 일종의 지적 신뢰성이 있다며 추종하는 희한한 습성이 우리 주변 어딘가에 존재한다. 러셀은 이 기묘한 습성에 따끔한 일침을 가한다. 그리고 해피엔딩을 보장할 수 없는 곳에서도 여전히 희망을 가질 이유는 있다고 말한다.

러셀은 '바이런식 불행'이라는 표현을 쓴다. 모든 인생은 고통과 불행을 특징으로 삼고 있으며 앞으로도 늘 그 같은 특징을 지닐 것이므로 이에 대한 우리의 유일한 대처 방안은 그저 불행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뜻으로 바이런식 불행을 표현다. 그런데 러셀은 이런 이유 없는 불행을 '우주의 속성' 탓으로 돌릴 수는 없다고 본다.

바리런 경(George Gordon Byron 1788~1824, 영국 낭만파 시인)/ⓒ Thomas Phillips/wikipedia Public Domain

평소에 러셀이 바리런 경(George Gordon Byron 1788~1824, 영국 낭만파 시인)의 열정과 활기에 존경을 표했던 사실을 생각한다면, 바이런 경의 이름을 불행과 짝지어 이렇게 표현하는 게 다소 심한 건 사실이다.

전쟁, 가난, 자연재해, 가족과 친구들을 해코지하는 범죄불공평 등의 개별 사건들이 보여주는 소스라칠 잔인함에 대해 우리가 불행이라는 반응을 보이는 건 당연하다. 끔찍한 사건에 관해 들었을 때 어깨 으쓱하며 겨우 "그게 인생이지, 뭐"라는 말을 던진다면 당신은 세상일에 초탈한 행복한 사람이라기보다는 세상일과 아예 인연을 끊은 무감각한 사람이다. 특히 불행이 당신 자신에게 닥쳤을 때조차 심드렇안 반응을 보인다면 어딘가 중요한 나사 하나가 빠진 게 분명하다.

그러므로 살면서 때때로 불행하다고 느끼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러셀이 말하듯 불행함 속에 '우월한 순리성'이라는 건 없다. 불행하다고 느끼는 게 뭔가 고차원적이고 근사한 건 아니라는 말이다.

러셀의 말대로라면 우리는 고군분투에 적합한 존재다. 따라서 우리는 그저 주어진 일보다는 힘써서 쟁취하는 일을 통해 더 큰 기쁨을 얻는다. 이건 생물학적 명령이나 다름없다. 러셀은 이렇게 말한다. "스스로 이 정도면 적당한 욕망이라고 느끼면서 그 욕망의 대상을 손쉽게 획득하는 사람은, 바라는 바를 이룬다고 반드시 행복해지는 건 아니라는 결론을 내린다." 따라서 실망, 불행, 좌절 등도 엄연히 행복한 삶의 요소라고 봐야 한다. 이런 감정들로 인해 우리는 보다 더 애쓰게 되지 않겠는가. 낙담하고 절망감을 느낀다는 게 우리의 고군분투가 부질없다는 뜻으로 해석될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고군분투가 마냥 만족감을 가져다 주는 건 아니다. 러셀의 지적대로 삶은 대본에 다라 진행되는 멜로드라마가 아니다. '엄청난 불행이라 할지라도 종국에는 해피엔딩으로 보상받게 될 것이므로 그 불행을 거뜬히 겪어내는 남녀 주인공이 나오는' 드라마가 아니다. 마지막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를 미리 정해두고 희망하는 건 행복으로 가는 길이 아니다.

그럼 우린 뭘 어떻게 해야 할까? '행복의 정복'이 출판된 1930년에 이미 58세였던 러셀은 독자들에게 미래의 가능성을 생각하며 한껏 들떠보라고 권고한다. 그는 눈앞에 펼쳐진 세상을 온몸으로 받아들였다. 즉 초고층 빌딩, 첨단 방송, 비행기 등이 선사하는 변화는 충분히 세상을 좋은 쪽으로 이끌 것이며 우리를 보다 행복하게 해줄 거라고 여겼다. 러셀이 보았던 세상의 변혁에 현재의 우리는 항생제, 텔레비전, 로큰톨, 축구 등을 더 보탤 수 있다. 새로운 사건은 우리에게 행복한 삶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우리를 변화시킨다. 휴가를 즐기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고 해서 그 휴가 기간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건 아니다.

우리가 바이런식 불행에 처할 운명으로 세상을 살아간다는 생각은 어쩌면 그럴듯해 보이는 주장이다. 하지만 한쪽 면만 보는 이 시각에 기대는 건 깊이나 진중함이 없는 태도다. 그 어떤 보장도 없지만 이 세상을 있는 그대로 품으면서 인생의 기쁨을 만끽하는 편이 훨씬 낫지 않겠는가.

('러셀의 행복 철학' 中)

 

[함께 보기: 바이런적 불행의식이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한 알의 사과 안에는 온 우주가 담겨 있습니다.

땅의 영양분, 햇볕, 산소, 질소, 비, 농부의 땀이 들어 있습니다.

온 우주가 서로서로 의지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내 안에는 그럼 무엇이 들어가 있을까요?


감사의 삶이 되시길 바랍니다.

-혜민스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머리로는 헤어져야 되는 것을 아는데

실제로는 그렇게 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 줄 아세요?

우리의 감정은 머리로 아는 것보다

훨씬 더 깊숙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머리가 그만 헤어져라 해도

내 안의 감정이 정리되는 속도는 훨씬 천천히 진행됩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상대방으로부터 결정타를 맞는 일이 생깁니다.

그 사람이 말로, 행동으로 나에게 결정타를 날리는 순간,

내 가슴속 그와의 불빛이 정리되어 소멸됨이 보입니다.

-혜민스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알면 알수록

모른다고 여기고,

모르면 모를수록

안다고 생각합니다.


무언가를 배우는 데 가장 큰 장애는

모르는데 아는 체하는 것입니다.

모른다 이야기하고 바로 그 자리에서 배우면 되는데

안느 체하니까 계속 모르면서도 아는 것처럼 연극해야 합니다.

자존심을 버리고 솔직해지면 바로 얻을 수 있습니다.


-혜민스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누군가 다가와 자신의 힘든 이야기를 한다면

해결책을 찾으려고 하기보다는 먼저 진심으로 들어주세요.


우리는 친구가 내 힘든 이야기를 들어준다고 해서

그 친구가 내 고민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줄 거라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냥 들어준다는 것 자체가 고맙고 그것이 위로가 되는 것입니다.

누군가 다가와 자신의 힘든 이야기를 한다면

해결책을 찾으려고 하기보다는 먼저 진심으로 들어주세요.


내 안을 가만히 들여다보고 느꼈습니다.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누군가가 나의 목소리를 경청해서 들어주고 공감해주고

나의 존재를 인정해주고 나의 가치를 알아주는 것이라는 걸.

그러기에 내가 당장 실천할 수 있는 자비행은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들어주고 공감해주는 것이에요.


-혜민스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기차치곡 其次致曲. 곡능유성 曲能有誠. 성즉형 誠則形. 형즉저 形則著. 저즉명 著則明. 명즉동 明則動. 동즉변 動則變. 변즉화 變則化. 유천하지성위능화 唯天下至誠爲能化


그다음은 곡에 이르는 것이다. 곡(사소한 것)에도 능히 정성을 다해야 한다. 정성을 다하면 형태가 있고, 형태가 있으면 드러나게 되고, 드러나면 밝아지고, 밝아지면 움직이고, 움직이면 변하고, 변하면 이루어진다.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만이 목표한 바를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중용(中庸) 제23장-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처음 생각을 잘 단속하면 큰 재앙을 막을 수 있습니다.


어떤 생각을 하는가가 말을 만들고,

어떤 말을 하는가가 행동이 되며,

반복된 행동이 습관으로 굳어지면

그게 바로 인생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처음에 어떤 생각을 일으키고

어떤 행동을 하는가가 아주 중요합니다.


마음이란 놈은 한 번에 두 가지 생각을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한 생각'이 전 우주를 막아버릴 수도 있어요.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처음 일어난 한 생각에서 비롯됩니다.

그 첫 생각을 잘 단속하면 큰 재앙을 막을 수 있습니다.


-혜민스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세상이 나를 괴롭힌다고 생각하세요?

내가 쉬면 세상도 쉽니다.


나를 힘들게 하는 것들을

지금 한번 노트에 쭉 적어보세요.

내가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들도 한번 쭉 적어보세요.

그리고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것부터 차근차근 할 거다, 생각하시고

오늘 밤은 그냥 푹, 쉬세요.

내일 아침 눈을 떴을 때 나의 몸과 마음은

지금보다 훨씬 더 준비가 잘되어 있을 거예요. 진짜입니다.


-혜민스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현자는 비록 태워지고 있더라도 그리고 고문을 당하고 있더라도,

아니 팔라리스의 황소 안에서도 이렇게 말할 것이다.

이것이 얼마나 즐거운가!

그것을 나는 얼마나 개의치 않는가!

-에피쿠로스-


*팔라리스의 황소

로마시대 아그리겐툼(라틴어:Agigentum,오늘날의 아그리젠토 Agigento,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 남부 해안에 있는 도시)의 폭군이었던 팔라리스(기원전 약 570~564)가 자신의 반대자들을 그 안에 넣고 불로 볶는 데 사용했던 청동으로 만든 황소 모양의 고문기구.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