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프랑스 오페라

서정적 비극(Tragedie Lyrique): 륄리에 의해 성격이 분명해진 프랑스 고유의 오페라는 이탈리아 오페라와 구분하기 위해 '서정적 비극'이라 불리게 된다.

[관련글:부퐁논쟁]



 오페라는 이탈리아 뿐만 아니라 바로크시대 프랑스음악의 성격을 확립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서유럽의 다른 나라들처럼 바로크 초기에는 프랑스 역시 이탈리아 오페라를 그대로 수입하여 공연하였다. 그러나 165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프랑스에서는 이탈리아 오페라가 프랑스인들의 정서에 맞지 않다는 비판이 거세진다. 특히 이탈리아어가 프랑스어에 비해 악센트가 강해서 듣기에 거북하다는 점, 이탈리아에서 오페라단을 초청하는 데 드는 경비에 대한 부담감, 그리고 카스트라토에 대한 거부감이 이탈리아 오페라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후 강력한 왕권을 내세웠던 루이 14세가 등장한 1670년대 프랑스는 정치, 외교에서의 주체성을 주장하면서 동시에 프랑스 고유의 문화와 예술적 가치를 반영하는 프랑스 고유의 오페라 개발에 주력하게 된다. 특히 륄리(Jean Baptiste Lully, 1632~1687)가 왕실음악을 관장하면서 프랑스 오페라는 왕실의 권위를 반영하고 동시에 이탈리아 오페라와 구분되는 프랑스 고유의 특성을 띄면서 발전하게 된다. 소설적인 상상이 가미되었지만 영화 <왕의 춤(Le Roi Danse,2000)>을 보면 예술(춤과 음악)을 통해 왕의 권위를 과시하고자 한 루이 14세의 의도가 잘 드러난다.

 륄리에 의해 성격이 분명해진 프랑스 고유의 오페라는 이탈리아 오페라와 구분하기 위해 '서정적 비극(Tragedie Lyrique)'이라 불리게 된다. 서정적 비극은 오페라 공연이 시작된기 전에 관현악으로 이루어진 프랑스 서곡(French overture)을 연주하였는데 언제나 느린 부점리듬으로 시작되는 프랑스 서곡은 오페라 공연을 보기 위해 입장하는 루이 14세와 왕족, 귀족들의 느린 행진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막으로 이루어진 서정적 비극은 왕에 대한 찬양, 프랑스와 관련된 영웅들의 낭만적이고 신기한 모험을 주제로 삼았다. 그리고 춤을 아꼈던 루이 14세의 취향을 고려하여 프랑스 오페라는 극의 내용이나 전개와 상관없이 극 중간에 발레를 삽입하였는데 루이 14세와 륄리 사후에도 한동안 발레는 프랑스 오페라의 관습으로 남게 된다. 륄리를 비롯한 많은 왕실작곡가들은 이탈리아어와 달리 비음과 연음이 많은 프랑스어를 정확하면서도 예술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레치타티보를 만들어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륄리 사후 서정적 비극은 '화성론(Traite de I'harmonie,1722)'의 저자 라모(Jean Philippe Rameau,1683~1764)에 의해 그 전통을 이어가지만, 이탈리아 오페라 부파를 찬미하는 백과전서학파와 4차례의 논쟁을 치루면서 고전, 낭만시대에 새로운 형태로 변화, 계승, 발전된다.

[음악의 이해와 감상/김종수 권도희 김성혜 이지선 유영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페라 개혁

오페라 부파:Opera Buffa:초기 오페라 막간극(intermezzo)에서 독립된 대중적이고 희극적인 오페라, 오페라 세리아와 구분됨.

[부퐁논쟁에 대해서 읽어보기]



 부퐁논쟁으로 말미암아 프랑스는 이탈리아 오페라에 부파에 푹빠진다. 하지만 이후 이탈리아 오페라가 갖는 많은 문제점들을 비판하면서 오페라 작곡가들은 초기 오페라 정신을 회복하고 오페라의 문제점을 개선하자는 주장을 펼치게 된다. 특히 오페라 탄생의 의의와 목표를 망각한 채, 이야기의 틀이나 구성을 제대로 갖추지 않고 극의 내용과 상관없이 무조건 아름다운 아리아를 연주하는 나폴리 오페라에 대한 비판이 거세진다.

 이탈리아 오페라의 문제점을 지적하던 이들 중 오스트리아 출신 작곡가인 글룩(Christoph Gluck,1714~1787)은 1767년 자신의 오페라 <알세스테(Alceste)>를 소개하는 글에서 왜 기존 오페라의 문제점들이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그리고 관습화된 이탈리아 오페라 전통을 벗어난 '새로운' 오페라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를 '오페라 개혁' 이라고 한다. 오페라 개혁의 주된 내용은 오페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드라마이므로 음악이 드라마를 희생시키면서 자신만을 드러내서는 안 된다는 것과 음악이 가사의 내용이나 의미전달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후 글룩의 주장 중 일부는 오페라 세리아의 서정성, 부파에 사용되는 짧고 정확한 레치타티보 어법, 프랑스 서곡의 관현악반주, 합창 등의 전통을 흡수한 모차르트의 작품을 통해 범인류적이면서 보편적인 오페라로 계승된다. 고전시대 오페라는 바로크시대 오페라가 특정계층의 인물을 위주로 극이 진행된 것과 달리, '보편성'을 강조하기 위해 평범한 인물을 중심으로 극을 전개한다. 그리고 오페라는 국가나 민족의 경계를 초월하는 보편적인 가치를 담아내는 극음악으로서 고전시대에 지속적인 사랑을 받는다.

[음악의 이해와 감상/김종수 권도희 김성혜 이지선 유영민]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