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먼저 과학이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자. 과학은 검증 가능성이란 최고의 기준을 만족해야 하지만 현재의 과학 수준으로 검증 가능성의 폭을 제한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현재 수준에서 참(true)으로 검증 가능했던 사실도 나중에 거짓으로 판명될 수 있다. 과학은 그 점을 두려워하는 폐쇄된 것이 아니라 열린 창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이 알고 있는 과학은 현재 수준의 검증 가능성에 매달려 있다.

 예를 들어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고전역학은 더 이상 물리학의 주역이 될 수 없으며 양자역학이나 상대성이론 등이 과학적 사실의 주역으로 바뀌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 패러다임 속에서 과학을 이해하는 경향이 많다. 즉, 현대과학의 자연관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전적인 의미의 환원주의와 기계론적 결정론을 통해서 과학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은 마땅히 비판되어야 한다. 이렇듯 현대 물리학은 고전 물리학의 대상인 화석화 되어 고립된 대상을 다루는 학적 체계에서 많은 부분 벗어나 있다.

 현대 자연과학의 대상은 요소들의 계량적 합으로서의 닫혀진 전체가 아니라 자기 창조적인 열려진 전체이다. 열려진 전체 속에서 개체들의 현상은 끝없는 무질서로 보일 수 있지만 그들 안에는 내재적인 질서가 존재한다. 내재적 질서의 경험적 발견이 곧 숨겨진 변수이며, 이로부터 자연의 인과성이 드러난다. 그러므로 인과율은 선험적으로 주어질 수 없으며, 항상 자연속에서 찾아져야 한다. 기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바로 이러한 열린 과학의 입장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는 기에 대한 과학적 탐구의 기본적인 접근방법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에 접근하는 과학적 방식은 기존의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존재론적 의미에서 기 혹은 인식론적 의미에서 기의 현산은 모두 물리적인 존재 혹은 현상으로 환원되어야 비로소 의미가 있으며, 그렇게 환원되지 않으면 기와 기의 현상은 관념에 지날 뿐이라는 입장이다. 강하게 말한다면 물리적으로 환원 가능할 경우에만 가의 현상을 수용할 수 있다고 한다. 둘째, 지금은 알지 못하지만 언젠가는 과학적으로 검증될 것이며, 현실의 기술적인 문제로만 안 되지, 원리적으로 그리고 미래의 기술력을 통해 검증 가능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셋째, 불가지론의 입장이다. 원리적으로는 환원되어야 하지만, 시간이 흐른다고 환원적 방법에 의존한 과학기술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기는 기계론적이고 환원적인 과학방법론으로 밝혀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경혈의 위치와 운동의 흐름을 림프구와 림프선 그리고 전자기이론 등으로 완벽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기를 자연과학적으로 검증한 셈이다. 한때 북한의 김봉한은 양의사로서 기를 자연과학적으로 해명하려는 시도를 했었다. 경성제대 의학부를 졸업한 김봉한은 1960년대 초 경락의 흐름과 흐름의 실체를 당시 최고의 과학 측정장비를 동원하여 검증하려고 했고, 이를 봉한액 및 봉한소체라는 이름으로 발표하였다. 이 이론은 당시 소비에트와 일본 학자에 의해서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었지만 1960년대 중반 이후 북한 정권에 의해 알지 못할 이유로 김봉한이 숙청당하면서 그의 연구는 단절되었다.

 김봉한은 동위원소 p32를 고전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경락의 위치에 투입하여 경락을 통한 기의 흐름을 나름대로 해명하였다. 그는 전통 침술과 자연과학을 접목시켰으나 무작정 서구 과학방법론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동양 고유의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 급선무라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임파선이나 압통점과 같은 물리적 차원의 신체 지도 이론이 아닌 영위론(營衛論), 상한론에 근거한 장부론, 변증논치(辨證論治)의 고유 방법론에 의해 봉한소체 이론을 제시하였다. 물론 현재는 김봉한 봉한소체는 신경 말단의 감각수용기에 지나지 않는다는 일부 평가가 있기는 하지만, 해부학적 감각수용기로서 설명할 수 없는 어떤 모종의 존재를 열린 과학으로 접근하려 했다는 점에서 김봉한 연구는 재평가될 만하다.

[동양철학산책/김교빈 최종덕 김눙용 전호근 김제란 김시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간에 가장 치명적인 음주행위는 쉬지 않고 계속 술을 마셔 대는 것이다. 소주 반 병을 기준으로 매일 일주일만 계속 마셔도 보통 사람의 90% 이상은 알코올성 지방간이 생긴다. 이때는 증상도 거의 나타나지 않고 느끼지도 못한다. 그러나 이때가 갈림길이다. 신속한 조치를 취하면 곧바로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으나 그렇지 않으면 사태가 급속히 악화된다. 지방간은 위험요인들을 없애 주면 가장 간단하게 치료되는 병이지만, 이를 무시하고 계속 술을 마시면 간경변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정상적인 사람의 간에는 지방이 5% 정도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지방질 대사에 이상이 생기면 간에 지방이 축적되어 간 중량의 10%를 넘어서게 된다. 이때는 간의 작용을 둔화시키면서 각종 이상이 생기는 지방간으로 옮아 가는 것이다.

 지방간이 생기는 경로는 다음 세가지다. 외부로부터 들어온 지방질이 간으로 이동해 축적되는 경우, 간에서 지방의 생성이 증가되어 축적되는 경우, 간에서의 지방분해가 감소되어 축적되거나 간의 지방질이 인체의 다른 부위로의 이동이 감소되어 나타나는 경우 등이다. 이런 원인 중에서 단연1위라 할 수 있는 것은 상습적인 음주로서 주된 원인이 된다. 소주를 기준으로 매일 반 병씩 일주일만 마셔도 지방간이 나타나는 것이다. 알코올을 섭취할 경우 간에서 지방합성이 촉진되고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지방간이 생긴다. 특히 알코올을 섭취할 때 지방이 많은 안주를 먹게 되면 지방산이 생겨나 지방간을 더욱 부추긴다.

 한 연구에 의하면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이 술을 마실 경우 지방간에 걸릴 확률은 정산인보다 3배 이상 높다고 한다. 특히 과식을 할 때 당분과 지방질이 많고 단백질이 부족한 식사를 하면 상대적으로 지방질이 축적되어 지방간을 일으킨다. 반대로 영양실조가 잇는 경우에도 지방간이 일어난다. 이는 당질의 부족으로 체내의 지방이 분해되어 간으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지방간은 뚜렷한 증상이 없다. 그래서 무섭다. 윗배에서 지속적인 중압감을 느끼고 전신권태감을 느낄 때는 지방간을 의심하고 지체없이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이런 경우 금주하며, 저단백 고지방식을 피하는 것이 치료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체온 측정과 발열시 체온하강을 위한 조치

 

 체온의 측정

 체온을 측정함으로써 발열 여부를 알 수 있다. 정상 성인의 평균 구강체온은 36.5~37.0℃이다. 37.0~38.0℃를 보통 미열이라고 부르며, 38.0℃ 이상이 되면 체온을 하강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구강체온이 약 38℃ 이상인 경우는 염증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이므로 적절한 의학적 조치가 필요하다.

 체온이 오른다고 모두 건강에 이상이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밙거으로 구강체온이 37℃ 이상이면 열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체온은 유동적이다. 일반적으로 아침에 가장 낮고, 늦은 오후나 저녁에 가장 높다. 지나치게 얇은 옷의 착용, 운동, 덥고 습한 날씨, 호르몬 등과 같은 요인이 일시적으로 체온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목의 뻣뻣함, 계속되는 인후통, 구토, 설사, 노곤함, 두드러기, 기침, 이통 등이 동반되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체온 하강을 위한 조치

 첫 단계는 입고 있는 옷을 벗겨서 체온 하강 효과를 기대한다. 옷을 많이 껴입거나 담요를 너무 두껍게 덥지 않도록 한다. 오한이 있는 경우에는 이불을 덮어서 오한의 진행과정을 관찰한다.

 두 번째 단계는 미지근한 물에 적신 수건으로 찜질을 한다. 찬물 찜질은 체온하강에 적합하지 않은 방법이다. 그 밖에 과일, 주스, 물 등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누워서 휴식을 취하며, 심한 운동을 피한다.

 발열로 고통스러운 상황에서는 3~4시간마다 해열제를 복용할 수 있는데, 가능한 한 병원을 방문하도록 한다. 장기간 해열제를 사용하는 것은 발열의 근본원인을 찾는데 장애가 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