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1878호 '호우(壺杅) 글자가 있는 청동그릇'은 경북 경주시 노서동에 있는 신라시대 고분인 호우총에서 출토된 청동으로 만들어진 그릇이다.

호우총은 광복 직후 1946년 우리 손으로는 최초로 고고학적으로 발굴된 유적으로 신라의 수도인 경주에 분포하는 전형적인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 중 하나인데, 부장품으로 '호우 글자가 있는 청동 그릇'이 출토되어 신라 고분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무덤이 되었다.

이 청동그릇은 주물로 만들어졌는데, 청동그릇 바닥부분에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이라고 하는 16자와 상부 중앙에 '우물 정(井)'자가 돋을 새김되어 있어, 을모년(415, 장수왕 3년)에 고구려에서 광개토대왕을 기념하여 만든 호우로써 광개토대왕을 장사한지 1년 뒤에 이를 기념해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 청동그릇이 만들어질 때 마침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신라 내물왕의 왕자인 복호(卜好) 또는 그와 관련된 인물에 의해 신라로 들어 왔을 것으로 보고, 호우총의 주인 또한 복호나 그의 후손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런데, 호우총은 6세기 초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 청동그릇은 만들어진지 약 1백년이 지난 어느 시점에 신라의 고분에 부장품으로 넣어진 것이 된다. 따라서, 이 호우는 당시 고구려와 신라의 밀접한 관계를 잘 보여주는 유물이라 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경주에서 출토된 고구려에서 제작된 유물로는 금관총의 청동 네귀항아리, 황남대총 북쪽무덤의 금제 귀걸이와 금동신발이 있다.



보물 1878호, 호우(壺杅) 글자가 있는 청동그릇/ⓒ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금관)'은 경북 경주시 노서동 금관총에서 출토된 높이 44.4cm, 머리띠 지름 19cm의 신라시대 유물로 금관의 내관으로 추정되는 금제관모와 새날개 모양의 금관식과함께 한 벌로 이루어져 있다.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금관식)]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금제관모)]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문화재청


금관은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금관은 바깥에 쓰는 관으로 신라금관의 전형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관테 위에 세 개의 나뭇가지모양 장식과 두 개의 사슴뿔모양 장식을 붙여 세웠는데, 관테의 상하 가장자리에는 송곳같은 도구로 찍은 두 줄의 줄무늬와 한 줄의 물결무늬가 장식되어 있고, 가운데는 한 줄의 둥근 볼록 장식이 되어 있다. 또한 관 전체에는 곱은옥과 달개를 달아 화려하게 장식했는데, 나뭇가지모양 장식의 줄기는 럽고 크지만 곁가지는 작은 형태로, 천마총 출토 금관보다 오래된 방식으로 추정된다. 테두리의 앞면 좌우측에는 두 줄의 긴 드리개를 달았는데, 드리개는 가운데가 비어있는 금구슬 열개를 쇠사슬 형태로 연결하여 끝에는 금모곱은옥을 달아 장식했다.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금관)/ⓒ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금관식)'은 경북 경주시 노서동 금관총에서 출토된 높이 40.8cm 크기의 신라시대 유물이다.

전체 형태는 새가 큰 날개 짓을 하는 모습으로 관모에 끼워 사용하는 금제 관식이다. 맞새김(투조 방식) 기법의 당초 줄기 무늬가 장식된 금판 3장을 접합하여 만들었으며, 안쪽과 바깥쪽에 둥근 달개가 여러개 달려 있다. 가운데 장식의 윗부분에는 당초줄기처럼 간략화된 용무늬를 맞새김(투조 방식) 기법으로 표현하였는데 좌우가 비대칭이다.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금관식)/ⓒ국립중앙박물관

 


이러한 신라시대 관꾸미개는 새의 날개 모양이 주를 이루지만 나비처럼 생긴 것도 있으며, 새 날개 모양은 옆으로 날개를 활짝 펼친 형태가 오래된 것이며, 차츰 새 날개 모양의 끝이 안으로 오므라들어 위로 솟구치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국보 87호 금관총 금제 관식은 비교적 새로운 형식의 관꾸미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금제 관식은 신라 왕실과 지배자를 상징하는 위세품이며, 신라의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 수장의 무덤에서도 출토되는데 출토될 당시 무덤의 주인공이 직접 착용한 상태에서 발굴되는 금관과 달리 부장품궤에서 껴묻거리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 특징이 있다.

[국보 87호 금관총 금제관모]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28호 '금동약사불입상(金銅藥師佛立像)'은 8세기 후반 통일신라 시대 작품으로 높이 37cm 크기이다.

약사불은 보통 한쪽 손에 둥근 약단지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약사불이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통일신라시대로 여러방향에 머무르는 부처를 표현한 사방불에서 동방에 머무르는 부처로 표현된다.

둥근 약단지를 들고 있는 약사불은 갖은 질병을 고쳐주고 재난에서 벗어나도록 하며 음식과 옷을 제공하는 등 여러 고난과 질병으로 고통받는 현실세계와 가장 가까운 부처라고 할 수 있다. 부처가 되기 전 보살이었을 때는 중생을 구원하겠다는 것을 포함한 12가지 큰 소원을 지녔고, 부처가 되고 난 후에는 동방에 위치한 유리광세계를 다스리게 되었다고 한다.

보물 328호 '금동약사불입상(金銅藥師佛立像)'/ⓒ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 금제드리개'는 경북 경주시 노동동 금령총에서 출토된 높이 27cm, 지름 15cm 크기의 금관 드리개이다.

이 드리개는 금령총에서 출토될 당시 원래 금관에 붙어 있었던 것이 아닌 주변에 떨어져 있던 것을 같이 발견해 수습한 유물이다.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 금제드리개'/ⓒ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30호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은 경북 경주시 황남동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5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너비 59cm 크기의 관꾸미개이다.

전체 형태가 마치 새가 날개를 활짝 펼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러한 관꾸미개는 가운데를 세로로 접어 고깔형태의 관에 끼우는 형식으로 사용되었는데, 관모의 앞 부분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앞쪽 아랫부분은 뾰족하고 매끈하게 되어 있다.

관꾸미개의 위쪽에는 세 개의 돌기가 표현되어 있는데, 자세히 보면 양판과 양 날개가 각각 따로 제작되어 결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신라시대 관꾸미개는 새의 날개 모양이 주를 이루지만 나비처럼 생긴 것도 있으며, 새 날개 모양은 옆으로 날개를 활짝 펼친 형태가 오래된 것이며, 차츰 새 날개 모양의 끝이 안으로 오므라들어 위로 솟구치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보물 630호 황남대총 금제 관식은 비교적 오래된 형식의 관꾸미개임을 알 수 있다.  

[새날개 모양 관장식] [나비 모양 관장식]

보물 630호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454호 '경주 노서동 금팔찌'는 경북 경주시 노서리에 있는 무덤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유물로 지름 8cm 크기이다.

팔찌를 장식하는 용문양 등을 표현하는 데 쓰인 상감기법 등은 당시 뛰어난 금 세공기술을 엿볼 수 있는 걸작품으로 팔찌의 납작한 단면 바깥으로 각기 59개의 돌기를 내어 하나하나 옥을 상감하여 장식했다.

돌기의 좌우에는 비늘이 세밀하게 표현된 용들이 입을 벌리고 서로 다른 용의 꼬리를 무는 듯한 모습이 생동감 있게 표현되어 있다.

보물 454호 '경주 노서동 금팔찌'/ⓒ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17호 '천마총 금제 관식(나비 모양 관장식)'은 경북 경주시 황남동 천마총에서 출퇴된 5~6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높이 23cm, 너비 23cm 크기이다.

새날개 모양 관장식과 마찬가지로 관모의 앞에 꽂아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로, 새날개 모양 관장식과 비교했을 때 크기가 절반가량 작고 한 장의 금판으로만 제작되었으며, 뚫림 무늬나 달개의 배치 등에서 화려함이 다소 떨어지는 관장식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화려함이나 재질에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나비 모양 관장식도 새날개 모양 관장식과 마찬가지로 신라의 지방 수장 무덤에서 출토되는 위세품 중 하나이므로 향후 새날개 모양 관장식과의 연관 및 관계는 밝혀내야할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보물 617호 '천마총 금제 관식(나비 모양 관장식)'/ⓒ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18호 '천마총 금제 관식(새날개 모양 관장식)'은 경북 경주시 황남동 천마총에서 출퇴된 5~6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높이 45cm 크기이다. 

유물의 이름 그대로 관모의 앞에 꽂아 화려하게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로, 중앙부의 꼬다리와 양쪽의 날개 모양 금판 등 모두 3장을 연결하여 만들었다. 

꼬다리는 새의 머리와 같이 아래가 좁고 위가 넓으며, 단면은 "∧" 형태로 접혀있는데, 꼬다리의 양쪽에 붙는 날개모양 금판은 간략화된 용무늬 또는 넝쿨무늬가 촘촘하게 뚫리고, 400여개 이상의 달개를 매달았으며,  관식과 뚫음무늬 가장자리를 따라 두드려 돌출시킨 점을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등 매우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이러한 금제 관식은 신라 왕실과 지배자를 상징하는 위세품이며, 신라의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 수장의 무덤에서도 출토되는데 출토될 당시 무덤의 주인공이 직접 착용한 상태에서 발굴되는 금관과 달리 부장품궤에서 껴묻거리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 특징이 있다.

보물 618호 '천마총 금제 관식(새날개 모양 관장식)'/ⓒ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23호 '황남대총 북분 금반지'는 신라 4~5세기 유물로 너비 0.6cm, 지름 1.9cm 크기이다. 경주시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이 반지는 얇은 금판을 둥글게 말아 제작했는데 바깥쪽에 돌아가면서 규칙적인 격자무늬가 새겨져 있다. 이러한 금반지는 무덤 주인공의 손에 끼워진채로 혹은 껴묻거리 상자에서 주로 출토되는 유물이다.

보물 623호 '황남대총 북분 금반지'/ⓒ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