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339호 서봉총 금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39호 '서봉총 금관'은 경주시 노서동 서봉총에서 발견된 높이 35cm, 지름 10.5cm 크기의 금관이다. 전체적으로 관테로부터 솟아 오른 세 개의 나뭇가지 형태의 장식과 두 개의 사슴뿔 형태의 장식을 하고 있는데, 이는 경주 황남대총 북분이나 금관총에서 발견된 금관과 기본적인 형태는 동일하지만 안쪽에 길쭉한 금판을 십자형으로 교차하여 관 모양을 만든 다음 꼭대기에 세 가닥의 나뭇가지 모양을 얹고 그 끝에 세 마리의 봉황을 장식했다. 관테에는 굵은고리에 길쭉한 사슬모양의 샛장식과 펜촉 모양의 드림이 붙어있는 드리개가 달려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함통육세을유 咸通陸歲乙酉'가 새겨진 시공사 쇠북/국립중앙박물관


'함통육세을유 咸通陸歲乙酉'가 새겨진 시공사 쇠북/국립중앙박물관


'함통육세을유 咸通陸歲乙酉'가 새겨진 시공사 쇠북/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907호 '함통육세을유 咸通陸歲乙酉'가 새겨진 시공사 쇠북은 통일신라시대(865년) 제작된 쇠북으로 지금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작품이다.

쇠북의 옆면 한쪽에 '함통육세을유 咸通陸歲乙酉'라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아 제작연대가 865년(신라 경문왕 5)임을 알 수 있다.

쇠북은 금고(金鼓)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절에서 쇠북을 두드려 소리를 냄으로써 사람들을 불러 모을 때 사용했던 용도이다.

쇠북의 크기는 지름 32.8cm로 크지는 않지만 비례가 적당하고 동심원무늬로 장중함과 격조가 느껴지는 작품이다.

쇠북의 전체 모양은 사물놀이의 '징'처럼 한쪽면은 두드리는 부분이고, 다른 한쪽은 소리가 울리도록 하기 위해  터져있고 비어있는 형태이며, 옆면에는 줄을 걸 수 있는 고리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25-4호 칠곡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25-4호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은제도금수형장식구)'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송림사 오층전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유물로 높이 22.3cm 크기이다.

1959년 송림사 오층전탑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는데 금빛이 살아있는 화려한 장식구이지만 탑과 관련된 뚜렷한 목적과 용도는 현재까지 알 수 없다.

송림사 오층전탑을 수리하는 과정에 2층 탑신에서 출토된 석함 안쪽 벽에 놓여져 있었으며, 나무줄기와 가지가 대칭적으로 뻗어있고, 긑은 보주형(寶珠形, 둥근 공 모양 구슬) 으로 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약 2배겨여개의 작은 원형 영락을 달아 장식했으며, 밑부분의 밋밋한 부분은 다른 물체에 꽂기 위한 용도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40호 금동 당간 용두/국립중앙박물관]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성내 2동 236번지에서 우연히 발견된 보물 1410호 '금동 당간 용두'는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길이 80cm 크기의 유물이다.

'금동 당간 용두'는 말 그대로 당간 머리를 장식하는 용머리 장식이다. 전체 형태는 입안에 여의주를 물고 날카로운 송곳니를 드러내고 있는 위풍 당당한 형태로 입안 가득 물고 있는 여의주 뒤로 줄을 거는 도르래가 감추어져 있다. 도르래에 걸린 줄이 용의 턱 아래 뚫린 구멍으로 내려져 깃발을 올리고 내릴 수 있게 고안된 구조로 통일신라 당간 용두로 매우 희귀한 예라고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26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국립중앙박물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황남대총 북분에서 발견된 보물 626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는 5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높이 9.1cm, 입지름 10.4cm, 바닥 6.5cm 크기이다.

전체 형태는 일반적으로 껴묻는 굽다리접시(접시에 높은 굽을 붙인 형태로 고대 식기의 하나)와 모양이 같은데, 굽다리 중간 부분을 돌출시키고 2줄의 돌대를 만들었으며, 끝 부분에 금판을 덧대어 두툼하게 처리하는 등 흙으로 만든 고배와 그 형태를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려고 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금제 유물은 신라 지배층의 화려한 장례문화를 잘 보여주는 유물로써, 비슷한 시기 고구려나 백제의 장례 부장품과 비교했을 때 발견되는 유물이 무척 화려하다고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22호 천마총 자루솥/국립중앙박물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천마총에서 발견된 보물 622호 '천마총 자루솥'은 5~6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높이 20.5cm, 몸통 지름 18cm, 손잡이 길이 13cm 크기이다.

이러한 유물은 대부분 왕릉과 같은 지배층의 큰 무덤에서 출토되는데, 양머리 모양의 주구가 달린 청동으로 만든 솥으로 측면에 손잡이가 달려있고, 짐승다리 형태의 다리 3개가 있다. 이러한 자루솥(鐎斗 초두)은 술이나 음식 약 등을 끓이거나 데우는데 사용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황남대총 북분에서 발견된 보물 623호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는 4~5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너비 2.1cm, 지름 7.2cm 크기이다.

이러한 금제 및 은제 장신구는 신라 지배층 무덤에서 예외없이 발견되는데, 그만큼 팔찌와 귀걸이, 과대 등은 신라 지배층의 장례풍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도 볼 수 있다.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는 2개의 금판을 이용해 만들어졌는데, 바깥쪽 금판에는 금실과 금알갱이로 문양을 만들고, 문양에는 보석류를 박아넣어 장식하고, 안쪽에 또다른 금판을 덧대어 안쪽에서 밖으로 둥굴게 말아 마무리를 한 형태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207호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07호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는 가로 53cm, 세로 73cm 크기로 1973년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천마총에서 발견되었다.

말의 안장 장니(말다래)에 그려진 그림으로 중앙에 꼬리를 세우고 구름 위를 달리는 모습의 흰색 천마가 그려져 있고, 테두리에는 흰색, 붉은색, 검은색 덩굴무늬가 표현되어 있다. 천마도가 그려진 바탕은 자작나무 껍질을 두 겹 겹치고 가장자리 쪽에 비단을 대어 만들었는데, 천마도는 신라의 그림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는 예가 매우드물어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411호, 임신서기석/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411호 '임신서기석'은 최대 높이 32cm, 최대 너비 12.3cm의 크기로 1934년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금장리 석장사터 부근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비석의 제작연대는 비석의 비문에 새겨진 임신년(壬申年)이 정확히 언제인지는 명확하지 않아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으나 아마도 화랑도가 번창하던 552년 또는 612년 경으로 추정된다.

비문은 첫머리에 임신년(壬申年)이라는 간지(干支,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한 연대표)가 있고, 별도의 구획선 없이 5행 74자를 새겼는데, 화랑도의 기본정신에 따른 충도의 실천으로 신라에 충성을 서약하는 내용이 새겨져 있으므로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이라고 명명했다.


비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壬申年六月十六日 二人幷誓記 天前誓 今自三年以後 忠道執持 過失无誓 若此事失 天大罪得誓 若國不安大亂世 可容行誓之 又別先辛未年 七月卄二日 大誓 詩尙書禮傳倫得誓三年.

임신년 6월 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해 기록하며, 하늘 앞에 맹세한다. 지금으로부터 3년 이후에 충도를 집지하고 허물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약 이 이서약을 어기면 하늘에 큰 죄를 짓는 것이라고 맹세한다. 만약 나라가 편안하지 않고 크게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모름지기 충도를 행할 것을 맹세한다. 또한 따로 앞서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하였다. 즉 시, 상서, 예기, 전을 차례로 습득하기를 맹세하되 3년으로써 하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91호, 기마인물토기(하인상)/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1호 기마인물형토기(하인상)은 기마인물형토기(주인상)과 함께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 금령총에서 출토된 높이 23.4cm 크기의 토기이다.

말과 사람의 모습이 매우 비슷하며, 말을 탄 인물은 넓은 밑받침에 서 있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마치 조각품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지만, 속이 비어 있고, 잔모양의 수구(受口)가 있는 동물형 토기이다.


[관련글: 기마인물형토기(주인상) 보기]


말의 궁둥이 쪽에는 안으로 구멍이 뚫린 수구와 그 가장자리에 뾰족하게 나온 장식이 있고, 가슴에 긴 귀때(주전자의 부리와 같이 생긴)가 있어 수구로 물을 부으면 귀때로 물이 나오도록 고안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형태의 토기에 보이는 인물은 그 차림새와 크기에 따라 각각 신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하인상은 기본적인 형태는 주인상과 유사하지만, 세부적인 차이를 보이는데, 상투머리에 수건을 매고 있고, 웃옷은 입지 않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오른손에 방울 같은 것을 들고 있고, 말갖춤 장식도 주인상에 비해 간략하고 발걸이와 다래는 아예 표현되어 있지 않다.

주인상과 마찬가지로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토기라고 보기 보다는 제사와 같은 의식용으로 특별히 제작된 토기일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글: 기마인물형토기(주인상) 보기]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