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벨칸토와 아리아 : 나폴리 오페라




이탈리아 남단에 위치한 나폴리는 바로크 중기 이후 이탈리아 오페라의 중심지로 부상한다.

특히 A. 스카를라티(Alessandro Scarlatti, 1660~1725) 같은 작곡가가 중심이 된 나폴리 오페라는 오늘날 우리가 오페라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 서정적인 아리아를 오페라의 주요 요소로 정착시켰다.

특히 이 시기 '아름다운 노래'라는 뜻의 '벨칸토(Bel canto)' 창법이 개발되면서 성악가들은 호흡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길게 소리를 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정된 고음처리와 미세하고 가는 트릴, 음계, 아르페지오 등을 무리 없이 연주하는 기교적이고 장식적인 콜로라투라(coloratura)와 단순하면서 귀에 쏙 들어오는 서정적 선율의 아리아가 이탈리아 오페라의 중심이 된다.

또한 음악에 방해받지 않고 사건의 전개과정이나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말처럼 빠른 '레치타티보'와 노래가사에 많은 내용을 담지는 않지만 음악적인 성격을 극대화하는 '아리아'로 분리되면서 레치타티보와 아리아는 오페라 안에서 각기 다른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가수가 극중인물의 역할을 잘 소화해내는가보다는 어려운 고음과 다양한 장식음을 얼마나 잘 소화하는지 같은 성악기교와 발성에 관심이 쏠리면서 여주인공의 역할은 카스트라토(castrato)라고 부르는 남자 가수들이 맡는 경우가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남성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목소리를 내는 카스트라토는 당시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오페라의 대중화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또한 바로크 말기에 실존했던 브로쉬(Carlo Broschi, 1705~1782)라는 카스트라토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 <파리넬리(Farinelli, 1994>의 첫 장면에서 파리넬리(브로쉬의 무대명)와 트럼펫 주자가 경쟁하는 것처럼 나폴리 오페라에서는 화려한 기교와 풍부한 고음을 연주하는 트럼펫을 중요한 악기로 인식, 극의 흐름과 상관없이 기교를 과시하는 트럼펫 독주부분을 삽입하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교향시(交響詩, symphonic poem)
표제음악의 일종으로 시,전설과 같은 문학적 내용이나 풍경 따위의 회화적인 내용을 관현악으로 표현한 자유로운 형식의 악곡.


교향시는 '관현악으로 연주하는 시'라는 의미의 교향시는 소나타 형식을 따르는 기존 교향곡이 4악장으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단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향시가 단악장인 이유는 형식과 관습에 의한 인위적인 악장구분이 곡의 흐름을 단절시키고 작곡가가 추구하는 표제의 내용을 시적으로 표현하는 데 방해가 되기 대문이다.


시가 구체적인 대상이나 제한적인 의미보다 주관적 해석을 하는 것처럼, 교향시 역시 제목이 내포하는 언어의 한계를 넘어서는 주관적 감정을 그려내고자 한다.

따라서 교향시는 독창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주제를 반복, 발전, 변형시켜 문학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자극하고 표제에 내포된 아양한 의미들을 떠올리게 하는 음악이라 할 수 있다.


리스트에 의해 확립된 교향시의 개념은 고전시대 베토벤의 '전원 교향곡'과 악장 구분이 없는 '에그몬트 서곡' 같은 곡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진다.


특히 1830년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1803~1869)'환상 교향곡(Symphonie Fantastique)'에서 사용된 '고정악상(idee fixe:기억에 남는 주제가 반복적으로 등장)' 기법과 표제와 관련된 무한한 표현의 가능성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다.


 리스트'전주곡', 그리고 민족주의 계열의 체코 작곡가 스메타나(Bedrich Smetana, 1824~1884)의 6개의 연작 교향시 '나의 조국', '무소르크스키(Modest Musorgskii, 1839~1881)'민둥산의 하루', R.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5~1949)'차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 시벨리우스(Johan Sibelius, 1865~1957)'핀란디아',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7)'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바다' 등이 대표적인 교향시 작품이다.


19세기 작곡가들 중에서 교향시보다 고전교향곡을 계승, 새로운 시도를 보인 작곡가들 또한 상당수에 이르는데 가장 대표적인 작곡가가 멘델스존, 브람스와 말러(Gustav Mahler, 1860~1911)이다. 멘델스존은 낭만적 고전주의자로 불리는데 '스코틀랜드', '이탈리아' 같은 표제가 암시하듯이 교향곡을 통해 풍경화 같은 색채감을 표현하는 데 주력하였다. 또한 제1번 교향곡에서 베토벤'합창'을 연상시키는 주제를 사용하여 흔히 베토벤과 비견되는 브람스는 시대의 조류를 벗어나서 조성적 틀을 유지하는 고전형식과 바로크 대위법을 자신의 음악에 수용, 4개의 교향곡을 완성하였다.


9개의 교향곡을 작곡한 말러바그너와 고전주의 작곡가들의 음악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대지의 노래''천인 교향곡' 같은 작품을 통해 교향시, 교향곡, 가곡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새로운 시도와 조성의 규칙을 파괴하는 파격적인 시도를 선보임으로 쇤베르크(Arnold Schonberg, 1874~1951), 쇼스타코비치(Dmitrii Shostakovich, 1906~1975) 같은 20세기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대지의 노래'는 가곡적인 성격이 강한 교향곡으로 이태백, 왕유의 시에 곡을 붙여서 동양적인 사색, 자연에 대한 예찬과 삶의 무상함을 노래한 작품이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교향악단의 규모가 확대되고 특별하게 악기개량이 이루어지지 않아 오늘날의 교향악단과 거의 동일한 음향을 갖게 된다. 또한 관현악단에 다양한 악기가 사용되면서 악기이 수, 악기편성, 다양한 음역을 나누는 방식(division)에 대한 내용을 다룬 관현악법이 발달된다.


베를리오즈는 금관악기이 힘과 표현범위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하였고, 특히 19세기 후반의 말러는 '천인 교향곡' 같은 작품에서 관현악이 추구할 수 있는 극한의 음향과 음량을 시도하고 그 외에 '대지의 노래'에서는 동양의 악기들과 서양관현악단의 조화를 이루는 시도들을 하였다. 이 시기 장식적인 기능, 청중의 관심을 끌 만한 자극적인 요소로 사용되던 관악기들과 타악기가 오케스트라의 음색과 음역의 변화를 이끄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후기 민족주의

1989년 탈냉전 이후 나타난 민족우월주의, 인종주의, 종교적 근본주의 등의 의사민족주의.



시기적으로 1989년 사회주의 붕괴 이후 동구권에서 주로 나타난 민족주의는 그 양상에서는 1870년에서 1918년 사이의 이른바 '민족주의의 시대'의 민족주의와 유사하다. 그러나 과거의 민족주의와 달리 최근의 민족주의는 소련 체제의 붕괴로 인해 발생한 것이며, 스스로 어떤 동력을 갖고 있지는 않다. 1989년 이후의 민족주의는 분리주의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데, 그것은 어떤 적극적인 프로그램이나 전망을 결여하고 있으며 해체를 겪고 있는 사회에서 사회통합의 어떤 대체물의 성격을 갖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원격지 민족주의

logn-distance nationalism



 근대 자본주의는 범세계적인 노동력 이동을 가져왔다. 자연스럽게 선진자본주의 국가들로 노동력을 지닌 이민자들이 유입이되고, 이러한 이민노동자의 1세대는 어느정도의 부를 축적하면 언젠가는 고향으로 돌아갈 꿈을 꾸었지만, 차츰 세월이 지나면서 이들은 건너온 땅에서 정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제 이들은 돌아갈 수 없는 고향의 추억을 되씹으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 나가야 할 수밖에 없는 존재가 된것이다. 이들 1세대가 고통과 차별을 이길 수 있는 힘은 바로 고향에 대한 기억이다. 따라서 그 기억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 간의 단결이 필요해지고, 그것은 자신의 민족 혹은 문화에 대한 집착으로 나타난다. 이것이 앤더스(B. Anderson)이 말한 이른바 '원격지 민족주의'이다. 이 원격지 민족주의는 선진자본주의 국가 내에서의 민족차별주의에 의해 더욱 구체화되는데, 고통을 감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들은 폭력에 호소하게 된다. 현대의 테러리즘은 바로 백인의 우월주의와 문명을 가장한 야만적 행동에 대한 저항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시민으로서 동등한 대울을 받고 싶어하는 차별민족의 '인정을 위한 투쟁'의 일환이다. 이들의 민족주의는 겉으로는 문화적 정체성에 바탕을 둔 것 처럼 보이지만, 그 현실을 들여다 보면 세계 자본주의의 범세계적 확장으로 인한 차별화가 바탕에 깔려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효과적인 공연기획 방향 설정 6W3H 원칙




하나의 공연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방향을 잡는 것을 전략 또는 운영계획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운영계획 수립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6W3H 원칙에 따르는 것이 효과적이다.


6W3H 중 6W는,

Who: 누가 주최, 후원하는가?

Why: 공연의 목적은 무엇인가?

Whom: 공연의 타겟(청중 Target audience)은 누구인가?

What: 공연의 컨셉(concept),테마(theme),프로그램(program)은 무엇인가?

When: 공연은 언제 할것인가?

Where: 공연을 할 곳은 어디인가?


3H는,

How: 공연은 어떻게 구성하고, 운영하며, 진행되는가?

How much: 공연을 위해 필요한 비용과 수입은 어느 정도인가? 

How long: 공연 일정은 언제 까지인가?


하나의 공연을 성공적으로 추진해내기 위해서는 내실있는 운영계획이 반드시 필요며, 그러기 위해서는 이렇게 6W3H를 기본으로 하면 체계적이고 내실있는 계획을 수립하기가 용이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전시공간 유형, 대안공간

한 목소리를 내기 위한 장이 아니라 비판과 자성의 목소리, 그리고 해체의 가능성을 직면하여 그것들을 지속의 동력으로 삼는 공간이 될 것입니다.(대안공간 풀 디렉터 이성희)



[대안 공간 풀/altpool.org]


[대안 공간 풀/altpool.org]


대안공간이란 기존 전시공간인 미술관이 현대미술의 흐름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에 대한 반성적 대안의 개념으로 1970년대에 나타난 새로운 시도와 운영을 지향하는 전시공간이다. 이는 전시를 기획하고 구성하는 큐레이터가 운영의 주체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예술가나 비평가가 운영의 주체가 되기도 하는 자유로운 전시공간이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쌈지스페이스를 시작으로 대안공간 루프, 사루비아 다방, 스톤앤워터, 스페이스 빔, 대안공간 풀 등이 생겨나면서 현대미술의 새로운 흐름과 경향에 일조하였다. 하지만, '예술경영'의 저자 용호성은 예술경영(2010)에서 "하지만 이러한 대안공간들은 고질적인 운영재원의 문제와 기존 미술관의 전시방향 변화로 인해 점차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다. 2009년 초 쌈지스페이스가 10년간의 성공적인 운영에도 불구하고 폐관하게 된 것은 이 같은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한 것에서 볼 수 있 듯 점차 수요와 입지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문화 산업과 관련된 개념들

문화산업과 관련된 개념은 의식산업, 지식산업, 정보산업, 창조산업, 예술산업 등이 있다.



 문화산업이라는 용어는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아도르노(Theodor Adorno)와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가 '계몽주의 변증법(Dialektik der Aufklarung)'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들이 사용한 문화산업의 개념은 현재 사용하는 것과 같은 개념은 아니었으며, 대중문화를 비판하면서 '대중문화'라는 용어의 부적절함을 지적하고 이를 문화산업이라는 용어로 대체할 것을 주장했다. 이후 문화산업에 대한 논의가 발전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여러 개념들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문화산업과 관련된 개념들은 아래와 같다.

 엔첸스 베르러(Hans Magnus Enzensberger)는 독점자본주의 사회에서 문화산업은 현존하는 의식을 생산하고 관리하고 조직화, 통제화 하는 이른바 인간의 의식을 제조하는 산업이라고 하여 이를 '의식산업'으로 규졍하고, 대표적인 의식산업으로 라디오, 영화, 텔레비전, 레코드, 광고 등이 있다고 하였다.

 매칠럽(Fritz Machilup)은 지식이나 정보도 일종의 소비재라고 주장하면서 지식과 정보의 생산과 재생산, 유통과 관련된 신문, 잡지, 출판, 방송, 교육, 광고, 행정 서비스의 7개 산업군을 '지식산업'이라고 칭하였다.

 '정보산업'은 정보의 생산과 유통에 관련된 산업을 의미하며 '북미산업분류체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출판, 영화 및 음반, 방송 및 통신, 정보처리 서비스 등을 정보산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창조산업'은 영국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서 '개인의 창의성, 기술, 재능을 이용해 지적 재산권을 만들고, 이를 상업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경제적 부가가치와 고용창출을 가져오는 모든 산업활동'을 말한다.

 '예술산업'은 캐나다의 산업분류기준에 사용되었는데, 문화예술의 전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프랑스의 '문화의 집'

[프랑스 문화예술단체들의 창조적 활동을 촉진시키는 복합 문화공간]




1959년 프랑스는 문화부를 신설하면서 앙드레 말로(Andre Malraux)가 초대 장관으로 취임한다. 말로는 공연과 전시 및 새로운 창작을 촉진시키기 위해 인구 10만명 이상의 모든 도시에 '문화의 집'이라고 명명한 복합 문화공간의 설립을 계획하였다. 이 '문화의 집(Maiso ns de la Culture)'은 연극을 중심으로 음악, 무용, 전시,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창작활동과 확산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문화의 집'은 활용률이나 주민 참여의 면에서 애초에 계획했던 효과를 달성하는 데 실패하고 말았다. 결국 1973년 이후에는 더 이상 신축하지 않고, 그 대신 기존 건물을 개축한 소규모의 다목적 문화센터로 방향을 바꾸었다. 이 센터들은 문화단체나 교육단체들과의 협력에 집중하여 문화예술단체들의 창조적 활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에 중점을 두었다.

 우리나라의 '문화의 집'은 프랑스의 '문화의 집'에서 명칭을 가져왔지만, 성격은 완전히 다르다. 우리나라의 '문화의 집'은 생활권역을 중심으로 설립된 지역 주민의 소규모 문화생활공간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시조창(詩調唱)


[사진 전통 장구/네이버지식백과]


 시조창은 영조(재위1724~1776) 무렵부터 노래로 불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처음에는 평시조 형식만 있었는데, 초장을 높은 소리로 질러대는 지름시조, 장형시조를 촘촘히 얹어 부르는 사설시조, 가볍게 흥청거리는 창법으로 부르는 엇시조 등의 변주곡이 생겨났다.

 시조창은 3장 형식의 일정한 선율에 여러 시조를 얹어서 부르는 것이다. 가곡이 관현반주를 수반하는 것과는 달리 장구 하나만으로 반주를 한다. 가곡은 고도로 세련되어 음악적으로 많은 훈련이 필요하여 주로 전문가에 의해 불리지만, 시조창은 간단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메트로놈은 40부터 시작되는데, 시조의 1박은 메트로놈 40보다 더 느리고, 선율도 극히 단순하다. 그렇다면 시조의 아름다움은 어디에 있는가? 바람이 머리 위 소나무 숲으로 '쏴~악' 하고 스쳐 몰아오다가, 바람이 지나 멀어지면서 소나무 잎이 흔들리며 내는 여운의 소리가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듯, 시조의 아름다움은 선율이나 리듬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한 음이 흘러가면서 수묵화의 농담(濃淡)처럼 또는 바람에 흔들리는 소나무 잎처럼 만들어지는 소리의 역동성에 있다.

 엄밀히 말하면 서양음악에 익숙한 귀로 들었을 때 시조가 느리게 느껴지는 것이지 우리 전통음악에 익숙한 귀로 들으면 알맞은 속도이다. 서양인은 맥박을 기준으로 템포를 정하고 우리는 호흡을 기준으로 템포를 정했다. 보통 맥박은 1분간에 70회를 뛰고, 맥박이 6회 뛸 동안 호흡은 1회 한다. 서양은 맥박 1회를 1박으로 잡았고, 우리는 1/2 호흡, 즉 맥박 3회를 1박으로 잡았으므로, 속도감이 서로 다른 것 뿐이다.


<평시조>

십 년을 경영하여 초려(草廬) 한 칸 지어 내니

반 칸은 청품이요 반 칸은 명월이라

강산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 두고 보리라.


<지름시조> 

삭풍(朔風)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明月)은 눈 속에 찬데

만리변성(萬里邊城)에 일장검(一長劍) 짚고 서서

긴파람 큰 한 소리에 거칠 것이 없어라.


<사설지름시조>

물 넘는 강상(江上)에 올라 나무도 꺾어 다리도 높고 돌도 발로 툭 차 데굴데굴 궁굴려 수렁도 뫼고

만첩청산 내리고 내리는 물결을 위여다가 어르렁 콸콸 더지 둥덩실 님 찾아 간다.

우리도 사랑 실은 배 타고 더지 둥덩실.


[음악의 이해와 감상/김종수 김성혜 이지선 유영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프랑스 오페라

서정적 비극(Tragedie Lyrique): 륄리에 의해 성격이 분명해진 프랑스 고유의 오페라는 이탈리아 오페라와 구분하기 위해 '서정적 비극'이라 불리게 된다.

[관련글:부퐁논쟁]



 오페라는 이탈리아 뿐만 아니라 바로크시대 프랑스음악의 성격을 확립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서유럽의 다른 나라들처럼 바로크 초기에는 프랑스 역시 이탈리아 오페라를 그대로 수입하여 공연하였다. 그러나 165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프랑스에서는 이탈리아 오페라가 프랑스인들의 정서에 맞지 않다는 비판이 거세진다. 특히 이탈리아어가 프랑스어에 비해 악센트가 강해서 듣기에 거북하다는 점, 이탈리아에서 오페라단을 초청하는 데 드는 경비에 대한 부담감, 그리고 카스트라토에 대한 거부감이 이탈리아 오페라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후 강력한 왕권을 내세웠던 루이 14세가 등장한 1670년대 프랑스는 정치, 외교에서의 주체성을 주장하면서 동시에 프랑스 고유의 문화와 예술적 가치를 반영하는 프랑스 고유의 오페라 개발에 주력하게 된다. 특히 륄리(Jean Baptiste Lully, 1632~1687)가 왕실음악을 관장하면서 프랑스 오페라는 왕실의 권위를 반영하고 동시에 이탈리아 오페라와 구분되는 프랑스 고유의 특성을 띄면서 발전하게 된다. 소설적인 상상이 가미되었지만 영화 <왕의 춤(Le Roi Danse,2000)>을 보면 예술(춤과 음악)을 통해 왕의 권위를 과시하고자 한 루이 14세의 의도가 잘 드러난다.

 륄리에 의해 성격이 분명해진 프랑스 고유의 오페라는 이탈리아 오페라와 구분하기 위해 '서정적 비극(Tragedie Lyrique)'이라 불리게 된다. 서정적 비극은 오페라 공연이 시작된기 전에 관현악으로 이루어진 프랑스 서곡(French overture)을 연주하였는데 언제나 느린 부점리듬으로 시작되는 프랑스 서곡은 오페라 공연을 보기 위해 입장하는 루이 14세와 왕족, 귀족들의 느린 행진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막으로 이루어진 서정적 비극은 왕에 대한 찬양, 프랑스와 관련된 영웅들의 낭만적이고 신기한 모험을 주제로 삼았다. 그리고 춤을 아꼈던 루이 14세의 취향을 고려하여 프랑스 오페라는 극의 내용이나 전개와 상관없이 극 중간에 발레를 삽입하였는데 루이 14세와 륄리 사후에도 한동안 발레는 프랑스 오페라의 관습으로 남게 된다. 륄리를 비롯한 많은 왕실작곡가들은 이탈리아어와 달리 비음과 연음이 많은 프랑스어를 정확하면서도 예술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레치타티보를 만들어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륄리 사후 서정적 비극은 '화성론(Traite de I'harmonie,1722)'의 저자 라모(Jean Philippe Rameau,1683~1764)에 의해 그 전통을 이어가지만, 이탈리아 오페라 부파를 찬미하는 백과전서학파와 4차례의 논쟁을 치루면서 고전, 낭만시대에 새로운 형태로 변화, 계승, 발전된다.

[음악의 이해와 감상/김종수 권도희 김성혜 이지선 유영민]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