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세상을 보는 시각이 멍청할 정도로 젊망적인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이 사람들에게 일종의 지적 신뢰성이 있다며 추종하는 희한한 습성이 우리 주변 어딘가에 존재한다. 러셀은 이 기묘한 습성에 따끔한 일침을 가한다. 그리고 해피엔딩을 보장할 수 없는 곳에서도 여전히 희망을 가질 이유는 있다고 말한다.

러셀은 '바이런식 불행'이라는 표현을 쓴다. 모든 인생은 고통과 불행을 특징으로 삼고 있으며 앞으로도 늘 그 같은 특징을 지닐 것이므로 이에 대한 우리의 유일한 대처 방안은 그저 불행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뜻으로 바이런식 불행을 표현다. 그런데 러셀은 이런 이유 없는 불행을 '우주의 속성' 탓으로 돌릴 수는 없다고 본다.

바리런 경(George Gordon Byron 1788~1824, 영국 낭만파 시인)/ⓒ Thomas Phillips/wikipedia Public Domain

평소에 러셀이 바리런 경(George Gordon Byron 1788~1824, 영국 낭만파 시인)의 열정과 활기에 존경을 표했던 사실을 생각한다면, 바이런 경의 이름을 불행과 짝지어 이렇게 표현하는 게 다소 심한 건 사실이다.

전쟁, 가난, 자연재해, 가족과 친구들을 해코지하는 범죄불공평 등의 개별 사건들이 보여주는 소스라칠 잔인함에 대해 우리가 불행이라는 반응을 보이는 건 당연하다. 끔찍한 사건에 관해 들었을 때 어깨 으쓱하며 겨우 "그게 인생이지, 뭐"라는 말을 던진다면 당신은 세상일에 초탈한 행복한 사람이라기보다는 세상일과 아예 인연을 끊은 무감각한 사람이다. 특히 불행이 당신 자신에게 닥쳤을 때조차 심드렇안 반응을 보인다면 어딘가 중요한 나사 하나가 빠진 게 분명하다.

그러므로 살면서 때때로 불행하다고 느끼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러셀이 말하듯 불행함 속에 '우월한 순리성'이라는 건 없다. 불행하다고 느끼는 게 뭔가 고차원적이고 근사한 건 아니라는 말이다.

러셀의 말대로라면 우리는 고군분투에 적합한 존재다. 따라서 우리는 그저 주어진 일보다는 힘써서 쟁취하는 일을 통해 더 큰 기쁨을 얻는다. 이건 생물학적 명령이나 다름없다. 러셀은 이렇게 말한다. "스스로 이 정도면 적당한 욕망이라고 느끼면서 그 욕망의 대상을 손쉽게 획득하는 사람은, 바라는 바를 이룬다고 반드시 행복해지는 건 아니라는 결론을 내린다." 따라서 실망, 불행, 좌절 등도 엄연히 행복한 삶의 요소라고 봐야 한다. 이런 감정들로 인해 우리는 보다 더 애쓰게 되지 않겠는가. 낙담하고 절망감을 느낀다는 게 우리의 고군분투가 부질없다는 뜻으로 해석될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고군분투가 마냥 만족감을 가져다 주는 건 아니다. 러셀의 지적대로 삶은 대본에 다라 진행되는 멜로드라마가 아니다. '엄청난 불행이라 할지라도 종국에는 해피엔딩으로 보상받게 될 것이므로 그 불행을 거뜬히 겪어내는 남녀 주인공이 나오는' 드라마가 아니다. 마지막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를 미리 정해두고 희망하는 건 행복으로 가는 길이 아니다.

그럼 우린 뭘 어떻게 해야 할까? '행복의 정복'이 출판된 1930년에 이미 58세였던 러셀은 독자들에게 미래의 가능성을 생각하며 한껏 들떠보라고 권고한다. 그는 눈앞에 펼쳐진 세상을 온몸으로 받아들였다. 즉 초고층 빌딩, 첨단 방송, 비행기 등이 선사하는 변화는 충분히 세상을 좋은 쪽으로 이끌 것이며 우리를 보다 행복하게 해줄 거라고 여겼다. 러셀이 보았던 세상의 변혁에 현재의 우리는 항생제, 텔레비전, 로큰톨, 축구 등을 더 보탤 수 있다. 새로운 사건은 우리에게 행복한 삶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우리를 변화시킨다. 휴가를 즐기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고 해서 그 휴가 기간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건 아니다.

우리가 바이런식 불행에 처할 운명으로 세상을 살아간다는 생각은 어쩌면 그럴듯해 보이는 주장이다. 하지만 한쪽 면만 보는 이 시각에 기대는 건 깊이나 진중함이 없는 태도다. 그 어떤 보장도 없지만 이 세상을 있는 그대로 품으면서 인생의 기쁨을 만끽하는 편이 훨씬 낫지 않겠는가.

('러셀의 행복 철학' 中)

 

[함께 보기: 바이런적 불행의식이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금, 외롭다고 느끼고 있나요?

그렇다면 내가 먼저 마음의 문을 열고 진심으로 누군가에게 먼저 다가가 보세요.

처음에는 어색하고 불편하다고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나에 대한 상대의 생각이나 관계에 대한 복잡한 것들을 고민하기 보단

주변 누군가에게 내가 먼저 관심을 주고 애정을 쏟을 수 있다면

관심과 애정을 받는 것 이상으로 행복함을 느낄 수 있을 테니까요.

또, 결국 그런 관심과 애정은 나에게로 되돌아올 것입니다.


너무나 강한 자아는 이를테면 하나의 감옥이다.

인생을 마냥 즐기려면 모름지기 이 감옥에서 탈출하여야 한다.

이런 자아의 감옥에서 탈출한 사람만이 참된 애정을 지닐 수 가 있는 것이다.

애정은 받기만 하여서는 충분치 않다.

사랑은 주는 것만큼 받고, 또한 받는 것만큼 줄 때 최고에 도달한다.

-러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흔히 세상에서 말하는 어머니의 희생은 자식에 대한 이기적 동기에 나오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불만이 많은 부모들은 감정적으로 탐욕을 부리기 쉽다.

필요한 것은 어머니나 자식을 위해, 모성애로 말미암아 인생의 모든 관심과 목적이 흐려져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만일 자식들을 기르는 데 소질이 있고, 또한 자식을 충분히 키울 만한 지식이 있다면 그 기능을 좀 더 널리 활용해야 한다. 그리하여 자기 자식도 포함시켜 어린아이들의 그룹을 돌봐 주어야 한다.


-러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행복한 인간은 자기와 사회의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아 괴로워하는 일이 없다.

그의 인격은 자기 자신에 대하여도 분열하지 않으며, 세계에 대하여도 대립되지 않는다.

이런 사람은 자기 자신을 '우주의 시민'이라고 생각하고, 우주의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마음껏 향락하며, 자기들 뒤에 오는 생명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함으로써 죽음에 대하여도 마음이 동요되지 않는다.

이처럼 생명의 물줄기와 본능적으로 깊이 결합될 경우에, 우리는 가장 큰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먼저 우리에게 필요한 활동과 모순이 되지 않는 올바른 세계관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러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어떤 결정을 하기 위해 고민하고, 망설여 본 경험은 대부분 있을 것입니다.

보통 망설인다고 하는 것은 여러가지 변수를 가늠해 보고, 가능한 좀 더 나은 그리고, 좀 더 합리적인 판단을 하기 위해서인데요,

큰 일이든 작은 일이든 꼭 필요한 것을 위해서는 최대한 짧은 기간 동안 깊게 고민하고 좀 더 빠른 결단을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한 순간에 망설이게 된다면 그리고 그 망설임이 길어지게 된다면 자칫 큰 손실과 낭비를 초래하는 결과가 생길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지혜로운 자는 걱정을 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그렇게 한다. 수양을 쌓은 마음은 어떤 특정한 문제를 밤낮으로 골똘히 생각하는 법이 없다. 생각해야 할 때만 생각하는 것이다. 걱정이 되는 어려운 문제를 결정해야 할 경우에는 깊이 생각하여 곧 결단을 내린다. 그리하여 일단 결단을 내린 후에는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한 결코 그 결단을 변경하여서는 안 된다. 망설이는 것처럼 정신을 낭비시키는 일이 없으며, 또한 무익한 일이 없는 것이다.

-러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체념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절대적인 체념이요, 또 하나는 억제할 수 없는 희망에서 오는 체념이다.

자기 자신의 진실을 들여다보려는 태도에는 어떤 체념이 깃들어 있다.

이러한 체념은 처음에는 괴로울지 모르지만 결국에 가서는 하나의 진실로 유일한 방패가 된다.

즉 그것은 자기 자신을 기만하는 인간이 사로잡히기 쉬운 실망과 환멸에 대항하는 방패가 되는 것이다. 결코 믿을 수 없는 일을 언제까지나 믿으려고 애쓰는 것처럼 피로하고 화가 치미는 것은 없다.

이러한 노력은 버리는 것이 확고한 행복을 얻는 필수 조건이 된다.

[러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땀흘려 일하는 것이 전제가 되겠지만, 건전한 취미와 여가활동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너무 많은 시간은 일에 빠져있거나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도 제대로 활용 못하고 잠을 잔다거나 별일 없이 시간만 보내게 된다면 삶 자체가 권태로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스스로 여러 분야에 흥미를 가지려는 노력이 중요한데요,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것에 흥미가 있는지 나 자신을 제대로 아는 것 부터 시작해야합니다.

그렇게 흥미를 가질만한 것을 찾았다면 과감하게 계획하고, 나의 취미로 만들어 보세요.

이전과 다른 또다른 만족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흥미의 분야가 넓어질수록 행복을 누릴 기회가 많아지며, 운명의 지배를 적게 받게 마련이다. 하나를 잃어버리면 다른 것으로 대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생은 모든 일에 대하여 한결같이 흥미를 느끼기에는 너무나 짧다. 그러나 하루하루를 충당하는 데 필요한 여러가지 일에 되도록 흥미를 느끼는 것은 좋은 일이다.

-러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옛말에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모든 일에 적용되는 말이지만,

우리가 겪게되는 일상적인 감정에도 적용이 되는 말인데요,

별다른 진전이나 변화가 없는 거의 매일 똑같은 일상을 살다 보면 어느 순간 권태를 경험하게 됩니다. 권태롭다는 것은 새로운 자극이 없다는 것으로도 풀이될 수 있는데요,

하지만, 권태를 느끼지 않기 위해 새로운 자극과 그로 인한 지나친 쾌락만을 쫓다 보면

생각하지 못한 피로와 부작용을 경험하게 됩니다.

권태로움이 지나치면 무기력해지지만, 자극이 지나치면 피로한 삶이 되풀이 되는 것이죠.

따라서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권태로움을 지나치게 경계해서도 안되며,

지나친 자극을 쫓아가서도 안됩니다.

그것은 언제나 정도의 문제이며, 중용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언제나 어떤 일에서든 지나치지 않게 하는 자제력을 발휘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권태와 지나친 자극의 회피는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 자극이 지나치면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모든 쾌락에 대한 감각을 둔하게 한다. 깊은 생명의 만족을 쾌감으로, 지혜를 재기로, 미(美)를 값싼 경이(驚異)로 대치해 버린다. 나는 자극을 강력히 반대하려고 하지 않는다. 어느 정도의 자극은 건강에도 이롭다. 모든 일이 그렇지만 문제는 적당한 양(量)에 있는 것이다. 분량이 너무 적으면 병적인 갈망을 일으키고 너무 많으면 피로를 느낀다.


[러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그 마음이 세계를 비칠 수 있는 자는, 그것이 어느 의미에서 세계만큼 크다는 것도 인식하게 될 것이다. 인간은 자기를 환경의 노예로 만드는 공포에서 벗어날 때 커다란 기쁨을 느끼게 마련이다. 그리하여 외면적인 생활은 모든 우여곡절과 성쇠가 거듭되지만, 깊은 정신 속에서 언제나 행복을 누리고 있을 것이다.


[러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인간에 대한 정다운 관심은 일종의 애정이다. 행복을 증진시키는 애정은 각자의 특징과 장점을 기뻐하며 자기와 접촉하는 사람의 이득과 즐거움을 증진시키려고 할망정 상대방을 지배하여 엄청난 칭찬을 받으려는 욕심은 부리지 않는다. 대인관계에서 이러한 태도를 갖는 사람은 행복의 원천이 되며, 그 보상으로 따뜻한 대접을 받게 된다.


그러나 모든 것은 진실해야 한다.. 행복의 꽃은 의무감에서 비롯되는 자기 희생으로 피어나지 않는다. "세계는 넓고 인간의 힘에는 한계가 있다. 인간의 모든 행복이 개인적인 환경에 국한된다면, 인생이 줄 수 있는 것 이상의 것을 인생에게 요구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요구가 너무 크면 그 만족은 적은 법이다."

행복의 비결은 이렇다. 즉 당신이 흥미를 느끼는 세계를 될 수 있는 대로 넓혀라. 당신이 대하는 인간과 사물에 가급적 적대감을 품지 말고 애정을 가져라.


[러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