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원전(B.C.)
약70만년전 구석기문화 
6000  신석기문화 
2333  단군, 아사달에 도읍,  
        고조선 건국 (삼국유사) 
1122  8조금법(八條禁法) 제정
1000  청동기문화의 전개, 고조선의 발전 
800년 고조선의 수도 : 왕검성 
300  철기문화의 보급 
194  위만, 고조선의 왕 
108  고조선 멸망, 한(漢)사군 설치 
 59  해모수 북부여 건국 
 57  신라 혁거세 거서간 즉위 
 37  주몽 고구려 건국 (~A.D. 608) 
 28  고구려 부위염, 북옥저 병합 
 18  온조 하남위례성 백제 건국(~A.D. 660) 
  5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기원후(A.D.)
   3 고구려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 
   8 백제 마한 병합  
 42 김수로왕 금관가야 건국 
194 고구려 진대법 실시 
209 고구려 환도성(丸都城)으로 천도 
260 백제 고이왕 16관등과 공복 제정
313 고구려 낙랑군 멸망시킴 
372 고구려 불교전래, 태학설치 
      백제, 동진에 사절 파견 
384 백제 불교 전래
427 고구려 평양 천도 
494 부여 고구려에 복속
502 신라 우경 실시 
503 신라 국호와 왕호 정함 
512 신라 이사부 우산국 정벌 
520 신라 율령 반포, 백관의 공복 제정 
527 신라 불교를 공인, 이차돈 순교 
532 금관가야, 신라에 항복하여 멸망 
536 신라 연호 사용 
538 백제 사비 천도 
562 신라 대가야 멸함 
576 신라 원화(源花)제도 시작 
598 고구려 수문제 30만 대군 침공
612 고구려 을지문덕 살수대첩 (수나라) 
645 고구려 안시성 싸움 승리 (당나라) 
646 고구려 천리장성(千里長城) 완성 
660 백제 멸망 황산벌전투 
668 고구려 멸망 (나당연합군) 
676 신라 삼국통일 
685 9주 5소경 설치 
698 대조영 발해의 건국
722 신라 정전 지급 
723 혜초 왕오천축국전 
788 독서 삼품과 설치
828 장보고 청해진 설치
900 견훤 후백제 건국 
901 궁예 후고구려 건국 
918 왕건 고려 건국(~1392) 
926 발해 멸망 
935 신라 멸망 
936 고려 후삼국 통일 
956 노비 안검법 실시 
958 고려 과거제도 실시 
976 전시과 실시
1009 강조의 정변 
1019 귀주대첩 
1033 고려, 천리장성 축조(~1044) 
1076 전시과 개정, 관제개혁 
1097 주전도감 설치
1107 윤관 여진정벌 
1126 이자겸의 난 
1135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1170 무신정변 
1196 최충헌의 집권 
1198 만적의 난
1219 몽고와 통교 
1231 몽고의 제1차 침입 
1232 강화 천도 
1270 개경으로 환도, 삼별초의 대몽항쟁 
1274 여, 원 제1차 일본원정
1359 홍건적의 침입(~1361) 
1376 최영 왜구정벌 
1377 최무선 화통도감 설치 
1388 위화도 회군 
1389 박위 쓰시마 섬 정벌 
1392 고려 멸망, 조선 건국 
1394 한양 천도
1402 호패법 실시, 무과 설치 
1403 주자소 설치 
1411 한양에 5부 학당 설치 
1418 세종대왕 즉위 
1433 4군 설치 
1437 6진 설치 
1443 훈민정음 창제 
1466 훈민정음 반포, 직전법 실시
1510 3포 왜란 
1512 임신약조 
1519 향약 실시 
1554 비변사 설치 
1555 을묘왜변 
1592 임진왜란, 한산도대첩 
1593 행주 대첩 
1597 명량해전 승리
1608 경기도에 대동법 실시 
1609 일본과 기유약조 체결 
1623 인조 반정 
1624 이괄의 난 
1627 정묘호란 
1628 벨테브레, 제주도 표착 
1636 병자호란 
1653 하멜, 제주도 표착 
1678 상평통보의 주조 
1696 안용복, 독도에서 일인 쫓아냄
1708 대동법 전국 실시 
1712 백두산 정계비 건립 
1725 탕평책 실시 
1784 이승훈의 천주교 전도 
1785 대전통편 완성 
1786 서학을 금함
1801 신유박해 
1811 홍경래의 난(~1812) 
1839 기해박해
1860 최제우, 동학 창시 
1862 임술민란 
1863 고종즉위, 흥선대원군 집권 
1866 병인박해, 병인양요 
1871 신미양요 
1875 운요 호 사건 
1876 강화도 조약 체결 
1881 신사유람단 및 영선사 파견, 
     별기군 창설 
1882 임오군란, 
     미.영.독 등과 통상조약 체결 
1883 전환국설치, 태극기 사용 
1884 우정국 설치, 갑신정변 
1885 거문도 사건, 배재학당 설립, 
     서울-인천 간 전신개통, 광혜원 설립 
1886 이화학당 설립 
1889 함경도에 방곡령 실시 
1894 동학 농민운동, 갑오개혁 실시 
1895 을미사변, 유길준 서유견문 지음 
1896 독립협회 설립, 아관파천 
1897 대한제국의 성립 
1898 만민공동회 성립 
1899 경인선 개통
1903 YMCA 발족 
1904 한.일 의정서 맺음, 경부선 준공 
1905 을사조약, 천도교 성립 
1906 통감부 설치 
1907 국채 보상운동, 헤이그 특사 파견, 
     고종황제 퇴위, 군대해산, 신민회 설립 
1909 안중근 이토 사살, 나철 대종교 창시 
1910 국권 피탈 
1912 토지 조사사업 시작(~1918) 
1914 대한 광복군 정부 수립 
1919 3.1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대한 애국 부인회 조직
1920 김좌진 청산리대첩 
1922 어린이날 제정 
1926 6.10 만세운동 
1927 신간회 조직 
1929 광주학생 항일 운동
1932 이봉창, 윤봉길 의거 
1934 진단학회 조직 
1938 일제, 한글교육 금지
1940 한국 광복군 결성 
1942 조선어 학회 사건 
1945 8.15광복 
1946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 개최 
1948 5.10 총선거 실시 
    대한민국 정부수립 
    여수.순천 10.19 사건
1950 6.25 전쟁 
1952 평화선 선언 
1953 휴전협정 조인, 제1차 통화개혁 실시
1960 4.19혁명 
1961 5.16군사정변 
1962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66) 
1963 박정희 정부수립 
1965 한.일 협정 조인 
1966 한.미 행정협정 조인 
1967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71)
1970 새마을운동 시작, 경부고속도로 개통 
1972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76) 
       7.4 남북 공동성명, 남북 적십자 회담, 
       10월 유신 
1973 6.23 평화 통일 선언 
1977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81) 
1979 10.26 사태
1980 5.18 광주 민주화 운동 
1983 KAL기 피격참사, 아웅산 사건, 
       이산 가족찾기 TV 생방송 
1986 제10회 아시안게임 서울개최 
1987 6.29선언, 대통령 직선제 실시 
1988 한글 맞춤법 고시, 
     제24회 서울올림픽 개최 
1989 헝가리.폴랜드 등 동국권국가와 수교
1990 한,소 수교 
1991 남.북한 동시 유엔가입, 
     지방자치제 부활 
1992 한.중 수교 
1993 대전 EXPO 개최, 
       소말리아 UN 활동 참여, 
       금융실명제 실시 
1995 김일성 사망
2004 참여정부 노무현 대통령 정부 출범
2008 실용정부 이명박 대통령 정부 출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조선전기에 건설된 동서 회랑 추정"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경복궁 광화문권역에서 임진왜란 이전에 건설된 것으로 보이는 대형 건물터가 발견됐다.

이 건물터는 조선왕조실록에서 전하는 조선 전기 동.서 회랑(지붕이 있는 긴 복도)으로 추정됨에 따라 조선 전기 경복궁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4월부터 최근까지 '경복궁 광화문 및 기타권역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광화문과 흥례문(광화문과 근정전의 정문인 근정문 사이에 있는 문) 사이 일부 구간에 대한 발굴조사를 벌여 이를 확인했다.

가로 11.2m 세로 50m의 이 건물터는 정면 12칸, 측면 3칸의 동서 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초석과 기단 등 건물의 기초가 거의 완벽하게 남아있는 상태로 확인됐다.

또한 정면 주칸(기둥 사이)거리가 4m로 동일하며 흥례문 동.서 회랑에서 경복궁 남편 궁장(궁궐을 둘러싼 성벽)과 맞닿는 형태로 길게 연결됐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건물터의 토층에서는 조선 전기에 사용된 분청사기나 대나무마디굽의 백자편이 출토된 점에 비춰 임진왜란 이전에 만들어졌다가 임진왜란 전후에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소 측은 설명했다.

또 조선왕조실록에 "홍례문(흥례문의 옛 이름) 동.서랑을 의정부.육조와 명사(名司)가 분합(分合)하여 팔직방(八直方)과 대조(待朝)하는 처소로 정한다"는 건물터의 용도를 규명하는 내용이 기록된 점도 이 같은 사실을 방증한다고 연구소 측은 덧붙였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고종 때 만들어진 용성문과 협생문이 있던 자리에 동.서 회랑으로 추정되는 건물터가 있었다는 점은 경복궁이 좀 더 화려하고 방대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한편 광화문 동쪽 궁장, 흥례문 동.서 회랑에서 경복궁 남편 궁장으로 이어지는 내부 담장(남북방향) 시설과 담장에 나 있는 용성문과 협생문의 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

용성문은 내부 담장의 서쪽에 있는 문으로 고종대 이후 정면 2칸, 측면 2칸의 구조에서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변화했다고 연구소 측은 밝혔다.

또 내부 담장 동쪽에 있는 협생문은 정면 1칸, 측면 2칸의 구조이며, 이 문 앞으로 박석이 정연하게 깔려있는 사다리꼴 형태의 기단부(가로 14.5m, 세로 16m)도 확인했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광화문 일대의 용성문, 협생문, 광화문 동편 궁장의 정확한 위치와 규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특히 임진왜란 이전의 선대 건물지가 확인돼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조선 전기 경복궁의 모습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c)연합뉴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진-해군본부>

 

 

 

KDX3 한국형이지스함의 3개함 중 1번함인 '세종대왕함'에 이은 2번함인 '율곡이이함'.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함, 대공, 대잠 능력 보유.
-SPY-1D(V) 레이더 등으로 구성된 이지스 전투체계를 탑재해 1000여개의 표적을 동시에 탐지 추적, 그 중 20여개의 표적을 동시에 공격이 가능.
-함대공 SM-2 미사일과 국내 개발된 '해성' 함대함 미사일 등 120여기의 미사일,장거리 대잠어뢰, 경어뢰, 근접방어무기체계인 '골키퍼' 탑재.
-적의 전파를 탐지/추적해 무력화하는 전자전 장비인 '소나타'를 비롯한 SM-2 미사일 발사용 수직발사대 보유. 
-재원: 길이 166m, 폭 21m, 최대속력 30노트(55.5㎞), 헬기 2대 탑재, 승조원300여명.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우주 엘리베이터 상상도 출처:NASA

엘리베이터에 몸을 실은 그녀는 순식간에 100㎞ 상공으로 솟아올랐다. 까만 하늘을 수놓은 별은 숨막히도록 아름다웠고, 지구에 숨은 태양은 지표를 따라 금빛 빛줄기를 흘렸다. 별다른 진동은 느낄 수 없었지만 그녀의 몸은 마치 줄을 타고 올라가는 거미처럼 유연하게 비상하고 있었다.'
-아서 C 클라크와 스테판 벡스터의 '퍼스트본(Firstborn·2007년 발행)'에서 발췌

엘리베이터를 타고 우주를 간다는 이야기는 SF소설의 단골 소재였다. 1895년 러시아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가 프랑스 파리에서 에펠탑을 보고 크게 감동해 '우주 엘리베이터'를 고안한 이래 우주 엘리베이터는 과학이 아닌 소설로 넘어와 둥지를 틀었다. 그러나 약 한 세기 만에 우주 엘리베이터가 과학의 품으로 회귀하고 있다. 각국 과학자들이 앞다퉈 우주 엘리베이터를 세우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내걸기 시작한 것이다.

◆핵심은 탄소 나노튜브=우주 엘리베이터가 망상이 아닌 과학으로 넘어올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탄소 나노튜브 덕이다. 1991년 일본 전기회사(NEC)의 이지마 스미오(飯島澄男) 박사는 탄소 덩어리를 분석하다 육각형 그물 모양 탄소 구조물을 발견한다.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수만 분의 1밖에 안 되는 이 미세 물질은 지구에서 가장 튼튼한 물질이다. 강철보다 80% 가벼우면서 힘은 100배나 세다.

우주 엘리베이터는 건물에 있는 엘리베이터처럼 승강기를 오르내리게 하는 튼튼한 줄(지지대)과 동력이 필요하다. 특히 줄은 결정적인 요소다. 오랫동안 과학자들이 우주 엘리베이터에 관심을 두지 않았던 이유도 3만∼10만 여㎞ 높이까지 버틸 수 있는 줄이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탄소 나노튜브가 개발되고 발전을 거듭하면서 비로소 현실화의 문이 열리기 시작했다.

일본 과학자 100여 명은 9월 일본우주엘리베이터협회(JSEA)를 만들어 지난 14∼16일 도쿄에서 콘퍼런스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아시아, 유럽, 미국 등 각지에서 수백 명의 과학자들이 참석했다. 일본은 내년 2월에도 '나노 테크 2009'를 개최할 예정이다.

미국과 유럽도 적극적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비영리재단 스페이스워드와 손잡고 내년 봄 우주 엘리베이터 대회를 열어 가장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에게 상금 400만 달러를 준다. 리프트포트 그룹은 뉴저지주에 우주 엘리베이터용 탄소 나노튜브 제작 공장을 짓고 있다.

다음달 4일에는 룩셈부르크에서, 내년 8월에는 미국에서 국제 학술대회가 예정돼 있다.
◆"로켓보다 싸고 안전"=전문가들은 빨라야 10년, 길면 50년 이후에야 우주 엘리베이터가 완성될 것으로 본다. 그나마 '탄소 나노튜브가 지금보다 4배 강해질 수 있다면'이라는 전제가 붙는다. 과학자들은 왜 영원히 불가능할지도 모를 우주 엘리베이터에 관심을 갖게 된 걸까.

우주 엘리베이터의 가장 큰 매력은 싸고 안전하다는 것이다. 로켓으로 우주정거장에 화물을 실어나를 경우 1㎏당 1만1000달러가 들지만 우주 엘리베이터로는 220달러밖에 안 든다고 한다. 1회 수송 한도도 로켓은 20t이지만 우주 엘리베이터는 1000t까지 가능하다. 로켓이 발사될 때처럼 무시무시한 진동도, 폭발 위험도 없다.

이 밖에 핵 폐기물 같은 위험 물질을 지구 밖으로 배출하거나 케이블카처럼 관광용으로 쓸 수도 있다.

눈앞에 닥친 가장 큰 과제는 재원 마련이다. 현재 기술로 탄소 나노튜브를 1g 만드는 비용은 25달러. 우주 엘리베이터를 만들려면 최소 4억5000만 달러어치의 탄소 나노튜브가 필요하다. 이 비용을 줄이려면 기술 개발과 대량 생산이 절실한 데 아직 이 분야에 투자를 하겠다고 나서는 기업이 없다.

매사추세츠공대(MIT)의 제프 호프만 교수(항공우주학)는 미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우주 엘리베이터는 '만약에'의 문제가 아니라 '언제쯤'의 문제"라며 "현실화하는 순간 인류의 우주개발 역사는 한 차원 높은 단계로 진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일보&세계닷컴-윤지로 기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진-연합뉴스>
ADD가 개념형성 연구에서 제시한 1단계 모듈통합형 병사체계(왼쪽)와
2단계 일체통합형 병사체계(오른쪽)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관풍루]

[아직까지 원형이 잘 남아있는 1.3km의 토성 둘레] 

[달성공원 입구]


평지의 낮은 구릉을 이용하여 쌓은 삼국시대의 성곽이다. 높이는 일정치 않으나 4m정도이며, 둘레는 약 1,300m이다.

성벽의 아랫부분에서 초기철기시대의 조개더미와 각종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이 지방의 중심세력이 성장하여 초기적 국가 형태를 이루면서 쌓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경주의 월성처럼 평지에 낮은 구릉을 이용하여 쌓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달성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초기 성곽의 전형으로 평가되고 있다.

성벽은 주로 흙으로 쌓았고, 성벽 윗부분에는 큰 돌덩어리들이 군데군데 드러나 있어 후대에 수리한 것으로 보인다. 성안에는 조선시대 전기까지 군대의 창고가 있었고, 우물과 연못이 있었다고 한다. 성의 서남쪽으로 연결된 구릉지대에는 돌방무덤(석실분)이 많이 흩어져 있고, 무덤에서 금동관을 비롯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대구 달성은 우리나라 성곽 발달사에 있어 가장 이른 시기의 형식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만월대 복원모형]

[만월대 복원모형]

[현재 남아있는 돌계단]

[궁성터 발굴]

[궁성터 발굴]

[출토유물]

[출토유물]

7-8월 남북한이 공동 발굴조사하는 개성 만월대는 송악산(松嶽山) 남쪽 기슭에 자리한 고려시대 궁궐터다.

고려 태조 왕건은 재위 2년째인 서기 919년 정월에 개성에다 도읍을 정하고 만월대 자리에 궁궐을 창건했다. 이후 만월대는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 침입으로 소실될 때까지 역대 고려왕이 상시 거주하면서 정무를 보던 정궁(正宮)이었다.

동서 445m, 남북 150m의 장방형 대지를 차지한 만월대에서 정전(正殿)은 회경전(會慶殿)이라 일컬었다. 조선 광해군 때 편찬된 조선 팔도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건덕전(乾德殿)을 정전이라고 했으나, 12세기초에 고려에 사신으로 파견된 중국 송나라 사신 서긍이 남긴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정전은 회경전이라 했다.

나아가 고려사 희종 2년 4월 조에 수록된 기사에서도 정전을 회경전이라고 했다.

경복궁의 근정전에 해당하는 회경전은 정면 9칸, 측면 4칸이며 전면에 4개 계단을 만들고 그 좌우에는 동행각(東行閣)과 서행각(西行閣)이라는 부속 건물을 배치했다.

회경전 북쪽에는 고려왕실 보물창고인 장화전(長和殿)과 비상시에 왕이 대신들과 정사를 논의하던 원덕전(元德殿)이란 건물이 있었다. 또 서북쪽에는 외국 사신을 접대하던 건덕전, 후궁들이 거처하던 침전인 만령전(萬齡殿)이 있었다.

회경전과 건덕전 사이에는 사신 등이 바치는 물품을 받는 장령전(長齡殿)이 있었고, 나중에 집현전(集賢殿)이라는 이름으로 바뀌는 연영전(延英殿)도 있었다. 회경전 서쪽 인접 지점에는 왕을 위한 침전이 자리잡았고, 동쪽에는 세자가 거처하던 좌춘궁(左春宮)이 있었다.

정궁에는 13개 성문과 15개 궁문이 있었다고 기록에 보인다. 성문 중 동문인 광화문(廣化門)이, 궁문으로는 왕궁의 정남문인 승평문(昇平門)과 신봉문(神鳳門), 창합문(嗽闔門), 의봉문(儀鳳門)이 유명하다.

승평문은 정전인 회경전으로 연결되는데 이 문을 들어서면 신봉문이 있었고 그 동쪽에 세자궁으로 들어가는 춘덕문(春德門)이, 서쪽에 왕의 침전으로 들어가는 태초문(太初門)이 있었다.

신봉문 안에는 왕이 중국 천자의 조서를 받들던 창합문이 있었고, 그 안에 다시 회경전으로 통하는 전문(殿門. 혹은 회경문<會慶門>)이 있었다.

건덕전 앞에는 건덕전문과 흥례문(興禮門), 의봉문이 있었으며, 의봉문 바깥에는 격구 경기를 하던 운동장인 구정(毬庭)이 있었다고 한다.

중앙 회경전 터를 기준으로 동벽까지는 135m, 서벽까지는 230m, 승평문까지는 250m 정도이다.

출처:http://blog.yonhapnews.co.kr/ts1406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그릇에서 현저히 차이가 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BcN 서비스 제공 기반 확보

LG파워콤의 광랜 속도가 업그레이드 된다.

LG파워콤(대표 이정식)은 초고속인터넷 100Mbps급 엑스피드 광랜의 최저보장속도를 기존 30Mbps에서 50Mbps, 10Mbps급 엑스피드 프라임은 1Mbps에서 5Mbps로 상향 조정, 오는 12월 방송통신위원회에 이용약관을 신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LG파워콤의 초고속인터넷 엑스피드는 IPTV, 인터넷전화(VoIP), 인터넷 등 TPS 서비스의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넘어 유무선 통합, 음성데이터 통합, 통신과 방송의 융합서비스를 비롯 홈네트워크, U-센서 네트워크 등 광대역통합망(BcN)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BcN은 통신ㆍ방송ㆍ인터넷이 융합된 품질보장형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 없이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로 50Mbps이상의 속도가 보장돼야 한다.

LG파워콤은 지난해 초 경쟁사보다 앞서 100Mbps급 광랜 상품의 최저보장속도를 30Mbps로 높인 데 이어 이번에 다시 업계 최고 수준으로 상향 조정키로 해 초고속인터넷 시장에서 속도 품질 우위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수 있게 됐다.

최저보장속도는 초고속인터넷 사업자가 제공하는 최소한의 속도품질을 지칭하는 것으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의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요소이다.
 

LG파워콤이 이번에 최저보장 속도를 50Mbps로 상향 조정한 것은 네트워크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기존 네트워크에서 BcN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30Mbps의 속도는 인터넷TV 2채널(18Mbps), VoIP 영상전화 2회선(4Mbps), HD급 인터넷 VOD(8Mbps)서비스 정도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LG파워콤의 최저보장속도인 50Mbps는 더 많은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하는 통합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LG파워콤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지속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관리시스템(NMS)을 통해 속도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속도 저하 지역에 대해 집중 관리하고 우선적으로 AS와 시설보강을 통해 속도 품질 만족도를 향상시켜 나갈 예정이다.

또한 올해 말까지 아파트 80만세대에 대해 100Mbps를 1Gbps로 아파트 동간 증속공사를 진행한다.

단계적으로 2010년까지 모든 아파트에 100% 증속을 완료해 광랜 가입자를 대상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국정보통신-박남수 기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화면캡쳐 프로그램.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