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906년~1907년 광화문 앞 풍경(국립민속박물관)
1907년 창덕궁 존덕정에서 영친왕과 일행(국립고궁박물관 www.gogung.go.kr)
1909년 이토 히로부미가 순종황제를 모시고 조선 서북순행 길에 올랐을 때 찍은 사진(국립고궁박물관)
1909년 순종 서북순행 사진(국립고궁박물관)
1909년 순종 서북순행 사진(국립고궁박물관)
1909년 순종 서북순행 사진(국립고궁박물관)
1909년 순종 서북순행 사진(국립고궁박물관)
1909년 순종 서북순행 사진(국립고궁박물관)
1913~1915년쯤 찍은 것으로 추정. 왼쪽부터 의친왕 이강, 순종, 덕혜옹주, 영친왕 이은, 고종, 순종의 왕비 순종효황후 윤씨, 의친왕의 왕비 덕인당 김씨, 의친왕의 큰아들 이건. 대한제국 황실은 경술국치 뒤 일본으로부터 이왕가로 책봉받아 식민지 기간 동안 경제적 지원을 받았다(서울역사박물관)
1918년 영친왕의 조선 방문 당시 황실 가족과 총독부 관료들이 연회 뒤 덕수궁 석조전에서 찍은 기념사진. 왼쪽부터 당시 조선총독 하세가와 요시미치, 영친왕, 고종, 순종(서울신문 DB)

 

고종(왼쪽)과 영친왕이 덕수궁 함녕전에서 함께 찍은 사진(국립고궁박물관)
영친왕의 어머니, 고종황제의 후궁 순헌황귀비(국립고궁박물관)
덕혜옹주의 어머니, 고종의 후궁 귀인양씨(국립고궁박물관)
고종황제(국립고궁박물관)

 

고종황제 어진(국립고궁박물관)
고종황제와 신하들(시사오늘)
1918년 군복차림의 영친왕(광복회미서북부지회)
남여를타고 석조전으로 향하는 고종황제(광복회미서북부지회)
대한문 앞에 모인사람들(서울대박물관)
대한제국 황실 양악대(장애인뉴스)
덕수궁 석조전 중앙홀에서 기념 촬영하는 영친왕(앞줄왼쪽에서네번째)(문화재청)
영친왕이 기념 촬영을 했던 덕수궁 석조전 중앙홀이 복원된 모습(문화재청)
덕혜옹주(국립고궁박물관)
덕혜옹주(뉴시스)

 

덕혜옹주와 의친왕(경북신문)
도자기에 휘호하는 영친왕(광복회미서북부지회)
사진기로 창경원 하마를 촬영하는 영친왕(광복회미서북부지회)
상중의 이건(뉴시스)
순종황제어차와 순종효황후어차. 순종황제와 순종효황후(국립고궁박물관)
순종황제어차(국립고궁박물관)
순종황제어차(국립고궁박물관)
순종황제어차(국립고궁박물관)
순종황제 장례식(광복회미서북부지회)
순종황제 장례식(광복회미서북부지회)
순종황제 장례식(광복회미서북부지회)
순종황제 장례식(광복회미서북부지회)

 

영친왕과 사무관 고희경(국립고궁박물관)
영친왕비와 아들 이구(국립중앙박물관)
영친왕의 아들 이구와 일행(국립고궁박물관)
영친왕의 아들 이구와 줄리아 리(국립고궁박물관)
영친왕의 아들 이구와 줄리아리(국립고궁박물관)
영친왕 이은과 이방자 여사(국립고궁박물관)
왼쪽부터 덕혜옹주, 이방자 여사, 윤황후, 순종, 영친왕 ,영친왕의 아들 이진, 이진을 안고 있는 사무관(광복회미서북부지회)
운현궁 양관(뉴시스)
의친왕(고종의 다섯 째 아들)의 자손들(서울시)
의친왕의 둘 째 딸 이해원 옹주 결혼식 때 모습(대한제국황족회)
의친왕의 차남 흥영군 이우(국립고궁박물관)
의친왕 이강(세종대왕신문)
의친왕 이강(국립고궁박물관)
의친왕 이강의 장남 이건(국립고궁박물관)
의친왕 이강의 장남 이건(국립고궁박물관)
의친왕 이강의 장남 이건과 일본인 부인(국립고궁박물관)
의친왕 이강의 장남 이건과 일본인 부인(국립고궁박물관)
이구와 줄리아 리 일행(국립고궁박물관)
이승만 대통령이 명성황후로 지명한 사진(광복회미서북부지회)
흥영군 이우왕자와 박찬주 공비
일본 오사카에서 육군 사단장으로 복무하던 시절의 영친왕과 오른쪽으로 아들 이구와 영친왕비(국립고궁박물관)
일본으로 떠나는 덕혜옹주(제주일보)
좌측부터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1955년), 순종(純宗, 1874~1926년), 덕혜옹주(德惠翁主, 1912~1989년), 영친왕(英親王 李垠, 1897~1970년), 고종(高宗, 1852~1919년), 순종의 계비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1894~1966년), 의친왕 비 덕인당 김씨(德仁堂 金氏, 1880~1964년), 의친왕의 큰아들 이건(李鍵, 1909~1990년)(국립고궁박물관)
창덕궁 상궁들과 기모노 복장의 일본 여인(광복회미서북부지회)
창덕궁 인정전 앞 순종과 관료들(국립고궁박물관)
창덕궁 인정전 앞 순종과 관료들(국립고궁박물관)
홍릉 입구의 홍살문. 홍릉에 배치된 3조의 홍살문 중 하나로 현재 전하지 않는 문이다(광복회미서북부지회)
훈련원에 마련된 고종황제 장례식장(서울대박물관)
훈련 중인 대한제국 군대(매일신문)
흥선대원군 노년 모습(국립현대미술관)
흥영군 이우 왕자와 박찬주 공비 그리고 두아들(국립고궁박물관)
황실가족(뉴시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우주체험관]


"세계 13번째 우주센터 보유국!"

전라남도 고흥에 건설 중인 나로 우주 센터(Naro Space Center)는 우리나라 스스로 우주시대를 열어갈 수도록 환경을 마련하는것 뿐만 아니라 경제규모에 맞는 국가적 위상을 높임과 동시에 '우주 주권국'의 반열에 올라서게 하는 아주 뜻깊은 의미를 지니는 곳이다.

우리 땅에서 우리기술을 이용해 로켓을 쏘아올리는 꿈같은 일을 우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날이 멀지 않았다는 말이다.

곧, 우주센터가 완공되고, 그 해 10월쯤 과학기술위성 2호가 성공적으로 발사가 된다면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9번째로 위성발사 능력을 갖춘 그래도 여전히 부족하지만 어쨋든 '우주 주권 국가'가 된다.

'우주 주권국'의 반열에 올라선다 하더라도 물론, 우리기술로 만든 우주선을 타고 저 먼 우주로 향할 날은 아직도 먼 이야기일 수도 있다. 그때가 되기까진 더 많은 국민적 관심과 투자, 그리고 기술발전이 있어야지만 가능한 이야기일 것이다.

우리 모두가 더늙지 않은 모습으로 그날을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멸종위기의 신물, 구렁이..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영친왕의 모습

덕혜옹주의 모습

고종황제의 일본식 장례

운현궁 양관

총독관저로 들어가는 영친왕

덕혜옹주의 작품
덕혜옹주와 동급생들
대궁의 봉안을 마치고 내려오는 나인들

홍릉에서 사진촬영(인산습 광경)

연미복 입은 고종황제

상중의 이건
명성황후 추정사진
이우왕자 내외
덕혜옹주
유학 떠나기전 덕혜옹주
황실가족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최전방지역인 강원 양구군 파로호 최상류에 국내 최대 규모(4만2천㎡)의 한반도 모양 인공습지가 조성돼 눈길을 끌고 있다. 양구=연합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08 대한민국 해군 국제 관함식'이 열리고 있는 부산 앞바다에서 7일 대한민국 이지스급 세종대왕함 등이 해상사열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