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금제 태환 이식)/ⓒ국립중앙박물관
보물 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금제 태환 이식)/ⓒ국립중앙박물관
보물 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금제 태환 이식)/ⓒ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慶州 路西洞 金製耳飾, 金製太環耳飾)'는 신라 5~6세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유물로 귀에 거는 중심고리(主環)인 태환(太環)에 크고 작은 2개의 노는 고리(遊還)로 연결하고, 아래에 긴 이파리 모양을 한 여러개의 달개가 달린 샛장식(中間飾, 귀걸이의 중심고리 아래 달리는 꾸미개장식)을 달았는데, 샛장식은 작은 고리를 연접시켜 만든 구체에 새김눈(‘目’자처럼 가로 또는 세로로 조각한 눈금선문양)이 장식된 달개로 이를 여러개 붙여 방사형으로 펼쳐져 있어 매우 화려해 보이며, 그 아래 테두리와 중심선에 모두 새김눈을 2줄로 겹쳐 붙여 입체감과 화려함이 돋보이는 심엽형(하트 모양 또는 그와 비슷한 나뭇잎 모양)의 드림(垂下飾, 귀걸이의 가장 아래 매달리는 드리개 장식)을 달아 장식하였다.

 

전형적인 경주식 태환이식(太環耳飾, 금으로 만든 굵은 고리의 귀걸이)이라는 점과 제작기법과 조형성이 우수하고 보존상태도 양호하다는 점, 이후 금조총 및 보문동 부부총 금귀걸이로의 양식사적 발전과정을 보여준다는 점 등에서 가치가 높은 유물이다.

최초 발견 당시 경주 노서동 215호 고분에서 출토되었으나 귀걸이 1쌍 중 하나가 일본에 반출되었다가 1965년 체결한 한일협정으로 1966년 국내로 반환되어 국립중앙박물에 소장되었으며, 유사한 유물로 창녕 계성고분군 등지에서 출토된 예가 있다.

 

※한편, 보물 제455호는 그동안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었으나, 2018년10월30일 문화재청에서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는 보물 제2001호로 재지정하고, 기존 보물 제455호의 이름을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로 바꾸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1967년 보물 455호로 지정 당시 펴낸 각종 자료에 경주 노서동에서 발굴한 금귀걸이가 아닌 황오동 52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를 실수로 올려 바뀌면서 시작되었는데, 다행히 2000년 어느 날 일본학자인 '가즈오(藤井和夫)'가 신라 황금전 특별전을 준비하고 있었던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사에게 유물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준 덕이라고 하며, 그동안 실수로 인해 잘못 알려졌던 것을 보물 지정 당시로부터 51년만에 각자 제이름을 찾은 것입니다. 

 

[보물 제2001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가민속문화재 65호 '흥선대원군기린문수흉배(興宣大院君麒麟紋繡胸背)'는 광무제(光武帝) 고종(高宗, 1852~1919)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의 옷에 부착한 흉배(胸背)이다. 크기는 가로 23.1cm, 세로 25.5cm이다.

이러한 흉배는 조선시대 품계와 등위를 가리기 위하여 문무백관의 상복의 가슴과 등에 붙이던, 수 장식의 사각형 헝겊으로 왕과 왕세자 곤룡포의 가슴과 등, 양 어깨 4곳에 문양을 수놓은 둥근 흉배는 특별히 보(補)라고 불렀다.

왕의 아버지로 지위가 높았던 만큼 검정색 바탕에 금실로 화려하게 수놓아져 있는데, 도약하는 모습의 기린과 기린의 아래에는 물결무늬가, 그 주변에는 구름 무늬가 빽빽하고 화려하게 수놓아져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금관)'은 경북 경주시 노서동 금관총에서 출토된 높이 44.4cm, 머리띠 지름 19cm의 신라시대 유물로 금관의 내관으로 추정되는 금제관모와 새날개 모양의 금관식과함께 한 벌로 이루어져 있다.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금관식)]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금제관모)]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문화재청


금관은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금관은 바깥에 쓰는 관으로 신라금관의 전형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관테 위에 세 개의 나뭇가지모양 장식과 두 개의 사슴뿔모양 장식을 붙여 세웠는데, 관테의 상하 가장자리에는 송곳같은 도구로 찍은 두 줄의 줄무늬와 한 줄의 물결무늬가 장식되어 있고, 가운데는 한 줄의 둥근 볼록 장식이 되어 있다. 또한 관 전체에는 곱은옥과 달개를 달아 화려하게 장식했는데, 나뭇가지모양 장식의 줄기는 럽고 크지만 곁가지는 작은 형태로, 천마총 출토 금관보다 오래된 방식으로 추정된다. 테두리의 앞면 좌우측에는 두 줄의 긴 드리개를 달았는데, 드리개는 가운데가 비어있는 금구슬 열개를 쇠사슬 형태로 연결하여 끝에는 금모곱은옥을 달아 장식했다.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금관)/ⓒ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금관식)'은 경북 경주시 노서동 금관총에서 출토된 높이 40.8cm 크기의 신라시대 유물이다.

전체 형태는 새가 큰 날개 짓을 하는 모습으로 관모에 끼워 사용하는 금제 관식이다. 맞새김(투조 방식) 기법의 당초 줄기 무늬가 장식된 금판 3장을 접합하여 만들었으며, 안쪽과 바깥쪽에 둥근 달개가 여러개 달려 있다. 가운데 장식의 윗부분에는 당초줄기처럼 간략화된 용무늬를 맞새김(투조 방식) 기법으로 표현하였는데 좌우가 비대칭이다.

국보 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금관식)/ⓒ국립중앙박물관

 


이러한 신라시대 관꾸미개는 새의 날개 모양이 주를 이루지만 나비처럼 생긴 것도 있으며, 새 날개 모양은 옆으로 날개를 활짝 펼친 형태가 오래된 것이며, 차츰 새 날개 모양의 끝이 안으로 오므라들어 위로 솟구치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국보 87호 금관총 금제 관식은 비교적 새로운 형식의 관꾸미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금제 관식은 신라 왕실과 지배자를 상징하는 위세품이며, 신라의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 수장의 무덤에서도 출토되는데 출토될 당시 무덤의 주인공이 직접 착용한 상태에서 발굴되는 금관과 달리 부장품궤에서 껴묻거리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 특징이 있다.

[국보 87호 금관총 금제관모]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 금제드리개'는 경북 경주시 노동동 금령총에서 출토된 높이 27cm, 지름 15cm 크기의 금관 드리개이다.

이 드리개는 금령총에서 출토될 당시 원래 금관에 붙어 있었던 것이 아닌 주변에 떨어져 있던 것을 같이 발견해 수습한 유물이다.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 금제드리개'/ⓒ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56호 '무령왕 금귀걸이'는 충남 공주시 금성동 송산리고분군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길이 8.3cm 크기의 금제 귀걸이다.

무령왕 귀걸이는 하나의 중심되는 고리를 기준으로 작은 고리 2개를 연결고리로 하여 두 줄의 귀걸이를 매달아 만들었는데, 큰 귀걸이의 중간 장식은 2개의 원통체를 대칭되게 연결하였고, 원통체의 끝에는 금실과 금 알갱이로 장식한 심엽형(心葉型 하트모양 또는 그와 비슷한 형태의 나뭇잎모양) 장식이 달려있다.

귀걸이의 끝 장식은 큰 심엽형 장식을 중심으로 작은 심엽형 장식 2개를 대칭되게 매달았다. 작은 귀걸이의 중간 장식은 금 알갱이를 붙여 만든 투작구체(透作球體) 5개를 '0-0 모양의 고리로 연결하였다.

끝 장식은 담녹색 곡옥에 누금수법 장식이 가미된 금 모자를 씌운 것으로 금모자에 좌우대칭으로 2개의 심엽형 장식이 달려 있다.

무령왕 귀걸이와 비슷한 류의 귀걸이가 경주의 금령총과 일본 구마모토 현의 에다후나야마 고분(일본 구마모토현 다마나 시에 있는 고분으로 1873년 1월 4일 발굴된 원형의 분구(墳丘)에 방형 혹은 삼각형의 단상부(壇狀部)가 합쳐진 모양의 큰 무덤인 전방 후원분이다)에서 출토된 바 있다.

무령왕릉은 백제 25대 무령왕(武寧王, 재위 501~523)과 그 왕비의 무덤으로 1971년에 처음 발굴되었으며, 벽돌로 만든 무덤에서는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국보 156호 '무령왕 금귀걸이'/ⓒ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30호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은 경북 경주시 황남동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5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너비 59cm 크기의 관꾸미개이다.

전체 형태가 마치 새가 날개를 활짝 펼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러한 관꾸미개는 가운데를 세로로 접어 고깔형태의 관에 끼우는 형식으로 사용되었는데, 관모의 앞 부분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앞쪽 아랫부분은 뾰족하고 매끈하게 되어 있다.

관꾸미개의 위쪽에는 세 개의 돌기가 표현되어 있는데, 자세히 보면 양판과 양 날개가 각각 따로 제작되어 결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신라시대 관꾸미개는 새의 날개 모양이 주를 이루지만 나비처럼 생긴 것도 있으며, 새 날개 모양은 옆으로 날개를 활짝 펼친 형태가 오래된 것이며, 차츰 새 날개 모양의 끝이 안으로 오므라들어 위로 솟구치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보물 630호 황남대총 금제 관식은 비교적 오래된 형식의 관꾸미개임을 알 수 있다.  

[새날개 모양 관장식] [나비 모양 관장식]

보물 630호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454호 '경주 노서동 금팔찌'는 경북 경주시 노서리에 있는 무덤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유물로 지름 8cm 크기이다.

팔찌를 장식하는 용문양 등을 표현하는 데 쓰인 상감기법 등은 당시 뛰어난 금 세공기술을 엿볼 수 있는 걸작품으로 팔찌의 납작한 단면 바깥으로 각기 59개의 돌기를 내어 하나하나 옥을 상감하여 장식했다.

돌기의 좌우에는 비늘이 세밀하게 표현된 용들이 입을 벌리고 서로 다른 용의 꼬리를 무는 듯한 모습이 생동감 있게 표현되어 있다.

보물 454호 '경주 노서동 금팔찌'/ⓒ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17호 '천마총 금제 관식(나비 모양 관장식)'은 경북 경주시 황남동 천마총에서 출퇴된 5~6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높이 23cm, 너비 23cm 크기이다.

새날개 모양 관장식과 마찬가지로 관모의 앞에 꽂아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로, 새날개 모양 관장식과 비교했을 때 크기가 절반가량 작고 한 장의 금판으로만 제작되었으며, 뚫림 무늬나 달개의 배치 등에서 화려함이 다소 떨어지는 관장식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화려함이나 재질에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나비 모양 관장식도 새날개 모양 관장식과 마찬가지로 신라의 지방 수장 무덤에서 출토되는 위세품 중 하나이므로 향후 새날개 모양 관장식과의 연관 및 관계는 밝혀내야할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보물 617호 '천마총 금제 관식(나비 모양 관장식)'/ⓒ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18호 '천마총 금제 관식(새날개 모양 관장식)'은 경북 경주시 황남동 천마총에서 출퇴된 5~6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높이 45cm 크기이다. 

유물의 이름 그대로 관모의 앞에 꽂아 화려하게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로, 중앙부의 꼬다리와 양쪽의 날개 모양 금판 등 모두 3장을 연결하여 만들었다. 

꼬다리는 새의 머리와 같이 아래가 좁고 위가 넓으며, 단면은 "∧" 형태로 접혀있는데, 꼬다리의 양쪽에 붙는 날개모양 금판은 간략화된 용무늬 또는 넝쿨무늬가 촘촘하게 뚫리고, 400여개 이상의 달개를 매달았으며,  관식과 뚫음무늬 가장자리를 따라 두드려 돌출시킨 점을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등 매우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이러한 금제 관식은 신라 왕실과 지배자를 상징하는 위세품이며, 신라의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 수장의 무덤에서도 출토되는데 출토될 당시 무덤의 주인공이 직접 착용한 상태에서 발굴되는 금관과 달리 부장품궤에서 껴묻거리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 특징이 있다.

보물 618호 '천마총 금제 관식(새날개 모양 관장식)'/ⓒ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