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금제 태환 이식)/ⓒ국립중앙박물관
보물 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금제 태환 이식)/ⓒ국립중앙박물관
보물 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금제 태환 이식)/ⓒ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慶州 路西洞 金製耳飾, 金製太環耳飾)'는 신라 5~6세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유물로 귀에 거는 중심고리(主環)인 태환(太環)에 크고 작은 2개의 노는 고리(遊還)로 연결하고, 아래에 긴 이파리 모양을 한 여러개의 달개가 달린 샛장식(中間飾, 귀걸이의 중심고리 아래 달리는 꾸미개장식)을 달았는데, 샛장식은 작은 고리를 연접시켜 만든 구체에 새김눈(‘目’자처럼 가로 또는 세로로 조각한 눈금선문양)이 장식된 달개로 이를 여러개 붙여 방사형으로 펼쳐져 있어 매우 화려해 보이며, 그 아래 테두리와 중심선에 모두 새김눈을 2줄로 겹쳐 붙여 입체감과 화려함이 돋보이는 심엽형(하트 모양 또는 그와 비슷한 나뭇잎 모양)의 드림(垂下飾, 귀걸이의 가장 아래 매달리는 드리개 장식)을 달아 장식하였다.

 

전형적인 경주식 태환이식(太環耳飾, 금으로 만든 굵은 고리의 귀걸이)이라는 점과 제작기법과 조형성이 우수하고 보존상태도 양호하다는 점, 이후 금조총 및 보문동 부부총 금귀걸이로의 양식사적 발전과정을 보여준다는 점 등에서 가치가 높은 유물이다.

최초 발견 당시 경주 노서동 215호 고분에서 출토되었으나 귀걸이 1쌍 중 하나가 일본에 반출되었다가 1965년 체결한 한일협정으로 1966년 국내로 반환되어 국립중앙박물에 소장되었으며, 유사한 유물로 창녕 계성고분군 등지에서 출토된 예가 있다.

 

※한편, 보물 제455호는 그동안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었으나, 2018년10월30일 문화재청에서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는 보물 제2001호로 재지정하고, 기존 보물 제455호의 이름을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로 바꾸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1967년 보물 455호로 지정 당시 펴낸 각종 자료에 경주 노서동에서 발굴한 금귀걸이가 아닌 황오동 52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를 실수로 올려 바뀌면서 시작되었는데, 다행히 2000년 어느 날 일본학자인 '가즈오(藤井和夫)'가 신라 황금전 특별전을 준비하고 있었던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사에게 유물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준 덕이라고 하며, 그동안 실수로 인해 잘못 알려졌던 것을 보물 지정 당시로부터 51년만에 각자 제이름을 찾은 것입니다. 

 

[보물 제2001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보기]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