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623호 '황남대총 북분 금반지'는 신라 4~5세기 유물로 너비 0.6cm, 지름 1.9cm 크기이다. 경주시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이 반지는 얇은 금판을 둥글게 말아 제작했는데 바깥쪽에 돌아가면서 규칙적인 격자무늬가 새겨져 있다. 이러한 금반지는 무덤 주인공의 손에 끼워진채로 혹은 껴묻거리 상자에서 주로 출토되는 유물이다.

보물 623호 '황남대총 북분 금반지'/ⓒ국립중앙박물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39호 서봉총 금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39호 '서봉총 금관'은 경주시 노서동 서봉총에서 발견된 높이 35cm, 지름 10.5cm 크기의 금관이다. 전체적으로 관테로부터 솟아 오른 세 개의 나뭇가지 형태의 장식과 두 개의 사슴뿔 형태의 장식을 하고 있는데, 이는 경주 황남대총 북분이나 금관총에서 발견된 금관과 기본적인 형태는 동일하지만 안쪽에 길쭉한 금판을 십자형으로 교차하여 관 모양을 만든 다음 꼭대기에 세 가닥의 나뭇가지 모양을 얹고 그 끝에 세 마리의 봉황을 장식했다. 관테에는 굵은고리에 길쭉한 사슬모양의 샛장식과 펜촉 모양의 드림이 붙어있는 드리개가 달려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25-4호 칠곡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25-4호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은제도금수형장식구)'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송림사 오층전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유물로 높이 22.3cm 크기이다.

1959년 송림사 오층전탑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는데 금빛이 살아있는 화려한 장식구이지만 탑과 관련된 뚜렷한 목적과 용도는 현재까지 알 수 없다.

송림사 오층전탑을 수리하는 과정에 2층 탑신에서 출토된 석함 안쪽 벽에 놓여져 있었으며, 나무줄기와 가지가 대칭적으로 뻗어있고, 긑은 보주형(寶珠形, 둥근 공 모양 구슬) 으로 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약 2배겨여개의 작은 원형 영락을 달아 장식했으며, 밑부분의 밋밋한 부분은 다른 물체에 꽂기 위한 용도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황남대총 북분에서 발견된 보물 623호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는 4~5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너비 2.1cm, 지름 7.2cm 크기이다.

이러한 금제 및 은제 장신구는 신라 지배층 무덤에서 예외없이 발견되는데, 그만큼 팔찌와 귀걸이, 과대 등은 신라 지배층의 장례풍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도 볼 수 있다.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는 2개의 금판을 이용해 만들어졌는데, 바깥쪽 금판에는 금실과 금알갱이로 문양을 만들고, 문양에는 보석류를 박아넣어 장식하고, 안쪽에 또다른 금판을 덧대어 안쪽에서 밖으로 둥굴게 말아 마무리를 한 형태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92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92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는 길이 120cm, 너비 3.6cm 크기의 4~5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경북 경주시 황남동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되었다.

신라 왕족의 무덤에서는 금으로 화려하게 제작된 허리띠가 거의 예외없이 출토가 되는데, 이러한 허리띠의 모양과 재질을 통해 무덤속 주인공의 사회적 신분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같이 신라의 화려한 장례문화는 6세기 이후의 사회변화와 함께 점차 사라지게 된다.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는 넝쿨무늬를 투조(판금, 목재, 석재 등과 같은 기본 재료의 뒷면까지 완전히 도려내 일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조각 세공 기법의 하나)하여 만든 방형판에 심엽형 수하식이 매달려 있으며, 심엽형 수하식에는 둥근 달개가 매달려 있다. 드리개는 방형과 타원형 금판을 연결하고 끝에는 약통, 물고기, 숫돌, 곱은옥 등 다양한 상징물들을 매달아 장식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58호 '7절 목걸이'/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58호 '7절 목걸이'는 6세기 백제시대 유물로 고구려는 물론 신라, 가야 지역에서 볼 수 없는 백제만의 특징적인 유물이며, 최대 지름은 14cm이다.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송산리고분군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금목걸이로써, 금막대의 양쪽 끝에 둥근 연결고리가 있고, 그 고리로 7개의 금막대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 7절 목걸이라고 부른다.

전체 형태는 복잡하고 화려한 장식이 없으면서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멋이 느껴진다. 무령왕릉에서는 이와 같은 형태의 9절 목걸이도 출토되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2001호(기존 보물 455호로 잘못 알려졌던 유물,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국립중앙박물관]

보물 2001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는 경북 경주시 황오동에서 발견된 금제 귀걸이로써, 커다란 굵은 고리는 장식과 문양이 전혀 없는 형태이며, 타원형의 중간 고리를 달고 다시 작은 고리를 달아 아래 장식들을 달았다. 아래 장식들은 여러개의 고리를 연결하고 금줄을 이어 끝에 달개를 달았는데, 드리개는 하트 모양을 하고 있다. 달개와 함께 누금기법(鏤金技法, 금은 등의 가는 선을 비틀거나 굽혀 붙여서 무늬를 만드는 기법으로써, 작은 입자를 붙여 변화를 갖도록 하는 것도 있다)으로 작은 금 알갱이들을 장식해 화려함을 더하고 있다.

※한편, 보물 2001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는 기존 보물 제455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였으나 문화재청이 2018년 10월 30일 “보물 제2001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를 보물로 지정 예고하고, 보물 제455호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의 이름은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로 바꾸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1967년 보물 455호로 지정 당시 펴낸 각종 자료에 경주 노서동에서 발굴한 금귀걸이가 아닌 황오동 52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를 실수로 올려 바뀌면서 시작되었는데, 다행히 2000년 어느 날 일본학자인 '가즈오(藤井和夫)'가 신라 황금전 특별전을 준비하고 있었던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사에게 유물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준 덕이라고 하며, 그동안 실수로 인해 잘못 알려졌던 것을 보물 지정 당시로부터 51년만에 각자 제이름을 찾은 것입니다.


[보물 제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 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456호 '금목걸이'/국립중앙박물관]


보물 456호 '금목걸이'는 경북 경주시 노서동 215번지 무덤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유물이다.

경주시 노동동과 노서동에 모여있는 큰 무덤들은 대부분 5세기~6세기 전반에 걸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대형 무덤은 보통 왕이나 왕족 등 신라 최상류층의 무덤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노서동 215번지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 또한 신라 최상류층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6세기 전반이 되면 목걸이뿐만 아니라 금관이나 귀걸이 모두 매우 장식적으로 변하는데, 이 '금목걸이'는 굵은 고리귀걸이의 샛장식에 사용하는 작은 고리를 여러 개 연결하여 또 하나의 둥근 구슬모양으로 엮어 만든 것이 특징이다. 작은 고리에는 새김눈(‘目’자처럼 가로 또는 세로로 조각한 눈금선 문양) 장식이 있고, 하트(heart) 모양의 달개를 여러개 매달아 보다 풍성하고 화려하게 장식을 했다. 목걸이의 하단 가운데에는 한 개의 곡옥(曲玉)을 넣어 장식효과를 높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은 높이 27cm, 지름 17cm의 크기로 신라시대 금관이다. 경주시 금령총에서 출토된 이 금관은 다른 신라 금관과 달리 정면 출(出)자 형 입식이 3단이 아닌, 4단으로 이루어진 점이 독특하다.

그리고, 각 입식에는 금으로 된 영락(구슬을 꿰어 몸에 달아 장엄하는 기구)만이 장식되어 있고, 곡옥은 사용하지 않아 장식 처리가 다른 금관에 비해 다른 특이점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출(出)자형 입식을 세 개를 달았고, 녹각형 입식을 두 개를 달았는데, 녹각형 입식의 분지를 따로 만들어 못으로 연결한 것 또한 금령총 금관이 보여주는 특징 중 하나이다.

테두리의 위아래 가장자리에는 각 입식의 가장자리와 같이 점렬문(點列文, 점을 일렬로 늘어놓은 무늬)을 타출(打出, 철판 밑에 모형을 대고 두드려 그 모형과 같은 모양이 겉으로 나오게 하는 기법)했다.

테두리 좌우의 수식은 출토 당시 원래 금관에 붙어 있었던 것이 아나리 주변에 떨어져 있던 것을 같이 수습한 것이다.

형태가 작고 곱은 옥이 생략되어 있어 다른 금관보다 단순한 느낌을 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31호 황남대총 남분 은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631호 황남대총 남분 은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631호 황남대총 남분 은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631호 황남대총 남분 은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631호 '황남대총 남분 은관'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은제 관으로 높이 17.2cm, 머리띠 너비 3.2cm, 지름 16,6cm의 크기로 되어 있다.

머리띠 위의 장식은 세 갈래로 가지가 뻗어있는 형태로 전통적인 신라 관모에서는 보지 못하던 독특한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은관의 전체 모양을 보면 가운데 가지의 위에는 돌기가 있고, 활처럼 휘어지며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마름모 형태의 은판이 붙어 있고, 좌우에는 반달형 은판을 붙이고, 바깥쪽을 일정한 폭으로 오려낸 다음 하나 하나 꼬아 마치 새의 깃털을 꽂아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