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태실/사진 백과사전]

 

 퇴계 이황(李滉)은 조선 초기의 혼란기였던 연산군 시대에 좌찬성 식(埴)의 7남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태어난지 7개월 만에 아버지를 여의고 편모슬하에서 자랐으며, 12세때 작은 아버지에게서 '논어'를 배웠고 20세경에는 건강을 해칠정도로 성리학을 익히는데 몰두했다고 한다. 1527년(중종22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이듬해 사마시에 급재했으며, 1534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로 등용된 후에 여러 관직을 거친 후 1549년 낙향해 다시는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그는 연산군때 태어나 중종, 인종, 명종, 선조의 5대에 걸친 정치적 격동기를 살았던 인물이다. 그가 태어나기 3년 전에 무오사화가 일어났고, 네 살이 되던 해에는 갑자사화가 일어났다. 특히 열아홉 살이 되던 해에는 정암 조광조가 희생당한 중종 때의 기묘사화를 직접 목격했을 뿐만 아니라 마흔다섯 살 때 일어난 을사사화에는 자신의 형이 연루되어 죽임을 당하고 자신도 삭탈관직을 당했기 때문에 사화의 직접적인 피해자이기도 했다. 그는 조광조의 지치주의(至治主義)가 권신들에 의해 좌절되는 현실을 목도하고 은둔을 결심하여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평생 동안 도산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강학하였는데, 그의 치열한 학문적 열정은 동시대 많은 학자들의 귀감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신 스스로 높은 학문적 성취를 이루는 원동력이 되었다.

[퇴계이황 동상/사진 백과사전]

 

 그의 학문적 축적은 저술뿐만 아니라 당시 학자들과 교환한 편지글 속에 남아 있다. 그중 정자중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주자의 글을 읽으면서 "마치 바늘이 몸을 찌르는 것처럼, 잠자다가 갑자기 확 깨는 것처럼" 절실하게 느꼈다고 말하고 있는데 여기서 그의 주자학에 대한 치열한 탐구심을 엿볼 수 있다.

 이황의 저술 중 대표적인 것들로는 '성학십도', '계몽전의', '주자서절요'와 다량의 서간문을 들 수 있으며, 대부분 '퇴계집'에 실려있다.

 

 이런 퇴계 이황의 철학 사상 중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기대승과의 논쟁을 통해 형성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사단칠정' 논쟁이다. 이 사단칠정 논쟁은 한국철학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 중의 하나이며, 그 발단을 보면 학자 정지운이 작성한 '천명도(天命圖)'를 이황이 수정하면서 정지운이 "사단은 이(理)에서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에서 발한 것이다(四端發於理 七情氣之發)"로 고치자 이에 대해 기대승이 이의를 제기하면서 비롯되었다. 이에 따라 이황과 기대승은 서로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서로의 입장을 설명하기에 이르렀는데, 이것이 바로 유명한 사단칠정 논쟁이다.

 이 논쟁은 두 학자 간의 개인적 논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큰틀에서 보면 당시 학계에 주자학의 이기론과 심성론에 대한 두가지 다른 해석방식이 공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었던 논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이 논쟁을 통해 조선의 주자학은 주자학의 기본이론인 이기론과 심성론을 결합시킴으로써 중국 주자학과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독자성을 획득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