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제1538호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 朝鮮古地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538호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 朝鮮古地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538호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 朝鮮古地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538호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 朝鮮古地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538호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 朝鮮古地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538호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 朝鮮古地圖)/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538호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 朝鮮古地圖)'는 한 축의 조선전도를 표시한 지도로 조선 전체는 물론 독도와 만주의 일부까지도 자세히 표현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세로 272.7cm에 가로 137.9cm의 크기를 자랑하는 대형 축적의 지도이며, 세견(細絹, 비단의 일종)을 재료로 세 폭을 이어 만든 바탕에 백두산으로부터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이어지는 산맥과 물줄기가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고, 330여 개의 고을과 병영(兵營), 수영(水營), 산성(山城), 역원(驛院)을 비롯해 도로와 교통정보, 행정, 군사 등의 정보가 상세하게 표시 되어 있다. 특히 돋보이는 부분 중에 하나는 바로 현대의 지도처럼 역권, 진보(鎭堡, 조선 전기 지방의 군대 소집 체계인 진관鎭管의 최하단위), 봉수, 고개 등을 기호화 하여 지도의 가독성을 높인 점이라 할 수 있다.
전체적인 특징과 표시된 내용 등을 종합해 보았을 때 정상기(鄭尙驥 1678~1752)가 제작한 '동국지도(東國地圖)'의 원본을 기초로 도화서의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또, 지도의 제작 시기는 18세기 중반인 1755년에서 1757년 사이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는 1767년에 산청(山淸)과 안의(安義)로 바뀌는 산음(山陰)과 안음(安陰)의 지명이 변경 이전의 지명으로 표시되어 있는 점 등이 그 근거이다.
'동국대지도'의 원본이라 할 수 있는 정상기의 '동국지도'는 당시 과학적인 축적법인 '백리척(百里尺, 1척을 100리로, 1촌을 10리로 기준하여 계산한 축적법)을 적용하여 제작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최초로 축적법이 밝혀진 지도일 뿐만 아니라 축적법을 통해 도별도를 이으면 전국도가 되도록 고안되었으며, 산맥의 명확한 표현, 도별 채색 등을 통해 지도의 가독성을 높이는 등 당시 지도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