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중동지역 이슬람문화권의 전통적인 결혼문화는 우리 문화속의 전통적인 결혼문화와 유사한 점이 많다.

바로, 개인의 감정과 의사와는 무관하게 집안 즉, 가족과 가족의 만남으로 간주되며, 배우자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부터 결혼식을 하는 모든 과정 등에 부모나 친지의 개입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다.

자유연애시대, 자유결혼의 시대에도 우리는 결혼이라는 큰일을 치를때면 자연스럽게 가족과 가족의 만남으로 그 단계가 구성되고, 결혼 후에도 계속 이어진다.

중동지역에서도 마찬가지로 현재까지 전통적인 관념의 결혼문화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남성중심적 문화가 강하게 남아 있어, 결혼에 대한 모든 결정권은 집안을 대표하는 남성에게 있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공식적인 의사표명은 없는 것이 관례이다.

결혼식 과정을 대강 살펴보면 부모가 자녀의 배우자감을 지목하면 여성들은 '살롱' 이라고 하는 미용실이나 공중목욕탕, 여성전용 스포츠클럽 등에서 결혼 상대자 집안의 정보들을 수집하고 최종 결정을 위해 노력을 한다.

그러나 만약 배우자감을 찾지 못했을 경우에는 동네 구석구석 집안 형편을 속속들이 알고 있는 마당발로 불리는 '카뜨바(khatba)'라고 하는 중매자에게 결혼중매를 의뢰하게 된다. 이역시 우리의 중매결혼의 문화풍습과 유사하다고 하겠다.

이렇게 결혼 상대자가 정해지면 신랑과 신부는 첫 만남을 갖게 되는데 이때에도 결혼 당사자인 남녀가 개인적인 만남을 가질 수는 없다.

바로 '마흐람(mahram)'이라고 하는 보호자가 동석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렇듯 복잡(?)한 과정을 무사히 지나면 본격적인 결혼식이 진행 되는데 이슬람문화에서 결혼식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문서상 실제 계약으로 성립이 된다는 것이다.

일정한 형식에 따라 만들어진 계약서로 규정되며, 그 계약서에는 이슬람 가족법에서 규정한 아내와 남편의 의무와 권리가 명시되어 있다.

또, 결혼계약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신랑측이 결혼을 조건으로 신부측에 전달하는 마흐르(mahr)라고 하는 결혼선납금에 대한 남녀 각 집안의 합의된 계약이다.

선납금은 말그대로 계약과 동시에 지불하게 되고, 후납금의 경우에는 이혼(이혼은 남성이 요구할 수 있고, 여성에게는 권리가 없다.)이나 남편이 사망했을 경우 등 결혼생활을 지속할 수 없을 경우에 여성에게 주어지게 된다.

이렇듯 이슬람문화권에서의 결혼은 가족이라고 하는 증인 보호자와 마흐르라고 하는 결혼선납금, 그리고 문서상에 명시된 계약으로 최종 성립이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슬람지역에서 이 결혼선납금 마흐르가 워낙에 고액이다 보니 그로 인해 합법적인 결혼을 꺼리고 비합법적인 결혼 즉, 동거 형태의 결혼생활을 하는 청춘 남녀가 많이 생겨나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하니, 요즘은 많이 바뀌었다고는 하지만 혼수 예단 등으로 인해 결혼당사자들이 결혼을 파하게 되고, 사회문제로 까지 대두되기도 하는 우리의 결혼문화와 많은 유사한 점을 볼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클래식(Classic)'의 사전적 의미는 시대와 지역을 초월하는 절대적인 가치를 지닌 대상 이라는 뜻이다. 18~19세기 서유럽의 예술음악을 '클래식'이라고 부르는데 이 말의 사전적 의미대로 오늘날 클래식음악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만국공통어'일까? 1970년대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였던 앙드레 프레빈이 미국의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카드 광고에 등장한 적이 있다. 이 광고가 의도한 것은 프레빈이 연주하는 클래식음악이 세계 어디에서나 통용되는 '공통어(universal language)'인 것처럼 아멕스 카드 역시 세계 어디에서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미국과 일본, 이스라엘과 터키, 브라질과 가나의 언어와 풍습, 문화가 다른 것처럼 국가와 민족마다 음악에 대한 생각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어떤 문화에서는 악보 없는 즉흥연주가 보현화되어 잇거나, 전문음악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우리가 듣기에는 분명히 선율과 리듬이 있는데 중동사람들은 음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종교음악도 있다. 우리를 들여다 보아도 아이돌 그룹의 스타일 아니면 랩이나 힙합 같은 대중문화만 좋아하는 젊은이들이 있는가 하면 베토벤도 이효리도 모르지만 <밀양아리랑>과 트로트는 맛깔나게 부르는 농촌의 어른들도 있다. 어쩌면 이들 모두에게 '클래식음악'은 그냥 스쳐지나가는 소리일 수도 있을 것이다. '클래식'에 담긴 시공간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가치가 이들에게는 전달되지 않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서양예술음악을 '클래식' 이라고 부른다.

 

[음악의 이해와 감상(김종수,권도희,김성혜,이지선,유영민 공저) 내용中 발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 노래를 일컬어, '장판에 붙은 껌딱지처럼 하루 종일 누워 있다가, 해질 무렵이 되서야 짜가 아디다스 슬리퍼 같은 걸 질질 끌고 나와 길거리에서 담배를 피며 보기 싫게 쪼개고 있는 대학가 휴학생 백수들의 주제가'(..길구만)라 해도 이상하지 않을 것이다. 인디계의 엄친아, 장기하라는 가수가 그려내는 백수의 방 풍경은 너무나 실감나서 그 유머러스함에 웃음을 흘리면서도 눈살이 찌푸려지고, 나중엔 가슴 한쪽이 한없이 답답해진다. 아 너희들의 그 답 없는 하루하루의 끝은 대체 어디일까.. 슬프게도 영원할 것만 같다, 무기력도, 실업도, 가난도..

곡의 클라이맥스는 한가운데를 쩍 가르고 있는 랩아닌 랩이다. 굳이 일반인들의 대화 리듬에 맞출 것도 없이 제 생각이 멈추는 대로 쉬었다가 생각이 나면 아무때나 불쑥 입을 떼는 이 대충사는 부류들의 말투와 어쩜 그리 똑같으면서도 리드미컬한지. 제멋대로 중얼거리는 소리는 콜라 캔 속의 담배꽁초를 마시는 대목에서 한심함을 꼭대기까지 치고 올라갔다가 또 한잔의 싸구려 커피로 해소된다. 근래 만난 중 가장 멋진 곡이 아닐 수 없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