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名與身孰親.

身與貨孰多.

得與亡孰病.

是故甚愛必大費, 多藏必厚亡.

故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명예와 자신은 어는 것이 더 자기와 친한 것인가?

자신과 재물은 어느 것이 더 소중한 것인가?

얻는 것과 잃는 것은 어느 편이 더 괴로운 것인가?

그러니 심히 아끼면 반드시 크게 손상을 받게 되고,

많이 지고 있으면 반드시 크게 잃게 된다.

그러므로 만족할 줄 알면 욕을 당하지 않고,

멈출 줄 알면 위태롭지 않게 되며,

오래도록 자신을 보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노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是以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弗居, 夫唯弗居, 是以不去.


세상 사람들은 모두 아름답게 보이는 것을

아름다운 것이라 여기고 있지만

그것은 추한 것일 수도 있다.

모두가 선하게 보이는 것을

선한 것이라고 여기고 있지만

그것은 선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본시 유(有)와 무(無)는 상대적인 뜻에서 생겨났고,

어려운 것과 쉬운 것도 상대적 입장에서 이루어지며,

긴 것과 짧은 것도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데서 있게 되고,

높은 것과 낮은 것도 상대적인 관념에서 있게 되며,

음악과 소리도 상대적인 소리와 조화의 구별이며,

앞과 뒤도 상대적인 개념의 구별에 불과하다.

그래서 성인은 무위(無爲)하게 일에 처신하며,

불언(不言)의 가르침을 행하는 것이다.

-노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아리스토텔레스/네이버 철학사전]


행위는 품성을 만드는 지배적 두구이다. 그러므로 올바른 이성에 따라 행위해야 ㅎ나다. 성격은 습관적 행위의 모자람이나 지나침으로 말미암아 파괴된다. 탁월성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무슨 일이든 회피하고 두려워하는 자는 비겁자가 되고, 무슨 일이든 두려워하지 않으면서 모든 일에 뛰어들면 무모한 사람이 된다. 마찬가지로 모든 즐거움을 탐닉하면 무절제한 사람이, 즐거움을 전부 회피하면 목석같은 사람이 된다. 그러므로 절제와 용기는 지나침과 모자람에 의해 파괴되고 중용에 의해 보존된다.

[아리스토텔레트/니코마스 윤리학 제2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노자/도덕경/한국학중앙연구원(유남해)]


노자가 말하는 교용(巧用)이란, 교(巧)는 뛰어난 재능을, 용(用)은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즉, 뛰어난 재능을 사용한다 라는 의미이다.


길을 잘 가는 사람은 수레바퀴 자국과 발자국을 남기지 않는다. 말을 잘하는 사람은 트집 잡을 흠이 없다. 셈을 잘하는 사람은 산가지를 쓰지 않는다. 문(門)을 잘 닫는 사람은 빗장과 자물쇠 없이도 열 수 없게 한다. 잘 묶는 사람은 새끼줄로 묶지 않더라도 풀 수가 없게 한다. 그런 방법으로 성인은 언제나 사람들을 잘 구제하기 때문에 돌보지 않고 버려지는 사람이 없게 된다. 언제나 물건을 잘 구원하기 때문에 돌보지 않고 버려지는 물건이 없게 된다. 이것을 거듭 밝히는 것, 곧 습명(襲明:인간은 자연의 법칙에 따라 행해야 한다.)이라 부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훌롱한 사람은 훌륭하지 않은 사람의 스승이며, 훌륭하지 않은 사람이란 훌륭한 사람의 자원이 되는 것이다. 그러한 스승을 귀중히 여기지 않고 그러한 자원을 아낄 줄 모른다면, 비록 지혜 있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크게 미혹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노자,도덕경 제27장 교용(巧用)]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노자(老子)


五色令人目盲(오색령인목맹), 五音令人耳聾(오음령인이롱),五味令人口爽(오미령인구상). 馳騁田獵(치빙전엽), 令人心發狂(영인심발광), 難得之貨(난득지화), 令人行妨(영인행방), 是以聖人爲腹不爲目(시이성인위복불위목), 故去彼取此(고거피취차).


다섯가지 색깔은 사람들의 눈을 멀게 하는 것이고, 다섯 가지 소리는 사람들의 귀를 먹게 하는 것이며, 다섯 가지 맛은 사람들의 입맛을 버리게하는 것이다.. 말 달리며 사냥하는 것은 사람들의 마음을 발광케 하는 것이며, 얻기 어려운 재물이란 사람들의 바른 행동을 글치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성인은 본능적인 배를 채우기 위한 일은 하지만 욕망인 눈을 즐겁게 하는 일은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러한 욕망은 버리고 본성을 다라야 하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장자'에 나오는 이상 세계 '덕이 가득한 나라'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가장 상식적인 도가적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시남(市南)에 사는 의료(宜僚)라고 하는 선생이 노(魯)나라의 주군을 만났는데, 노나라의 주군이 근심스러운 얼굴빛을 하고 있었다. 시남의 선생이 물었다. "주군께서는 근심스런 얼굴을 하고 계시니 무슨 가닭입니까?"

 노나라의 주군이 말하였다. "나는 고대의 성왕들께서 전한 도(道)를 배우고, 노나라의 옛 군주들의 유업을 닦아 왔습니다. 나는 죽은 이들의 혼령을 존중하였고 어진 사람들을 귀중하게 생각해 왔습니다. 이러한 모든 것을 친히 실행하면서 잠시도 이로부터 벗어나거나 방치하는 법이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환란을 면치 못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내가 근심하는 까닭입니다."

  시남 선생이 말하였다. "주군께서 환란을 없애는 방법이 너무 얕은 것입니다! 저 복슬복슬한 털을 가진 여우나 우아한 무늬를 가진 표범은 산 깊은 숲 속에 살며 바위 동굴에 웅크리고 쉬니 '고요하다'고 합니다. 밤에만 다니고 낮에는 가만히 있으니 '조심한다'라고 합니다. 비록 굶주리고 갈증이 나도 인가에서 멀리 떨어져 강과 산을 따라 먼 곳에서 먹이를 구하니 '일정하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 그물이나 덫에 걸리는 환란을 면하지 못합니다. 이것이 어찌 저들에게 죄가 있어서이겠습니까? 저들이 지닌 가죽이 그들에게 재앙을 불러오기 때문이지요. 이제 노나라야말로 오로지 주군의 가죽이 아니겠습니까? 제가 원컨대 주군께서는 일신의 욕망을 벗어 던지고 가죽을 없애 버리십시오. 마음을 깨끗이 닦고 욕심을 버리심시오. 그리고 사람 없는 들에서 노니시기를 바랍니다. 저 남쪽 월나라에는 어떤 마을이 있는데 그 이름을 '덕이 가득한 나라(健德之國)'라고 합니다. 그 마을의 백성들은 어리숙하면서도 소박하고 사사로움이 적고 욕심이 없습니다. 지을 줄은 알면서 숨길 줄을 모르고, 줄 줄을 알면서 그에 대한 보답을 받으려 하지 않습니다. 사람으로서의 도리에 마땅한 것을 알지 못하고 의식을 차릴 곳을 모릅니다. 마치 미친 사람들처럼 일정한 격식 없이 옮겨 다니지만, 그들의 발걸음은 저 대도(大道)를 따라 거닙니다. 살아서는 삶을 즐기고, 죽어서는 편안히 묻힙니다. 원컨데 군주께서는 나라를 버리고 세속의 번잡한 일을 내던지고, 도(道)가 인도하는 대로 길을 떠나시기 바랍니다."

 노나라 제후가 말하였다. "나에겐 그 길이 멀고도 험하겠습니다. 또한 가는 길에는 강도 있고 산도 있는데, 나에겐 배도 수레도 없으니 어쩌겠습니까?"

 시남의 선생이 말하였다. "주군께서는 '거만하지 말라. 집착하지 말라.' 이런 말씀을 주군의 수레로 삼으시면 될 것입니다."

 노나라 주군이 말하였다. "나에겐 그 길이 아득히 멀고 게다가 다른 사람이 아무도 없으니 내가 누구와 더불어 동행하겠습니까? 나에게는 비축해 놓은 곡식이 없어 가다가 허기져도 먹을 것이 없을 터인데 어찌 거기까지 도달할 수 있겠습니까?"

 시남 선생이 말하였다. "주군께서는 비용을 줄이고 욕심을 적게 가지신다면 비록 비축해 둔 양식이 없다 해도 충분할 것입니다. 주군께서 강기슭을 지나 바다 한가운데에 떠 있으면 멀리까지 바라다보아도 그 끝이 보이지 않습니다. 아무리 가도가도 그것이 끝나는 곳을 알 수 없습니다. 주군을 전송하던 사람들이 모두 강기슭에서 돌아가면 주군께서는 이제야 비로소 멀리 벗어난 것입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을 다스리는 사람은 늘 이런 일 저런 일에 매이게 되고, 다른 사람을 위해 힘써 일하는 사람은 이런저런 근심을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요 임금은 다른 사람을 다스리지도 않았고, 다른 사람을 위해 애써 일하지도 않으신 것입니다. 제가 원컨데 이런 저런 일로 주군을 매이게 하는 것을 내던져 버리고 주군을 근심하게 하는 것을 버리십시오. 그리고 홀로 도와 더불어 '대막의 나라'에서 노니시기 바랍니다. 막 배를 타고서 강을 건너 가는데, 어떤 빈 배가 와서 제배에 부딪힌다면 아무리 속이 좁은 사람이라 해도 화를 내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 배 위에 한 사람이라도 타고 있으면 소리를 쳐서 멀리 떨어져 돌아가라고 할 것입니다. 한 번 소리쳐서 듣지 않고 두 번 소리쳐도 듣지 않고 세 번째로 소리를 치게 되면 반드시 욕을 해 가며 소리지를 것입니다. 앞의 경우에는 화를 내지 않았는데 지금의 경우에는 화를 내는 것은 앞의 경우에는 빈 배였지만 지금의 경우에는 사람이 타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사람이 이와 같이 자기 스스로를 비우고 세상에 노닌다면 누가 그에게 해를 끼칠 수 있겠습니다!"

[동양철학산책/김교빈,최종덕,김문용,전호근,김제란,김시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바이런적 불행의식(러셀)

 러셀은 행복을 방해하고 불행을 야기하는 심리상태 중 첫번째로 바이런적인 불행의식을 제기하고 있다. 바이런은 영국의 염세적인 시인이다. 러셀이 바이런적인 불행의식을 일차적인 불행의 원인으로 꼽는 까닭은 무엇보다도 염세적 세계관 그 자체가 우선 병이기 때문이다. 바이런적인 불행이라는 것은 다름 아니라 그 불행감이 자기의 심리적인 내면의 불행의식에 불과한 것임에도, 마치 그것이 우주적 성질에 근원하는 것인 양 크게 확대시켜 형이상학적으로 관조하면서 그것을 즐기듯 자기 자신을 미혹에 빠뜨림으로써 생기는 불행이다. 러셀은 그러한 염세주의적 세계관은 터무니없을 뿐 아니라, 정서적인 면에서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비판한다. 허무주의자들은 마치 행복을 달관한 양 생각하면서 오히려 외부 세계와 능동적인 소통보다는 내면으로 파고들어 가서 실존적인 자기 해탈 속에서 행복을 찾아 나서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러셀은 그러한 생각은 증명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세계가 허무하다는 주장 또한 일부 사람들의 개인적인 관점과 체험을 반영한 것에 불과하다. 물론 자신도 인생의 비밀을 모두 아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모두 우리를 불행으로 이끄는 허무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요컨대 그러한 세계관 자체가 무의미한 것이다. 만약 인간에게 어떤 피할 수 없는  결핍이 있다면, 그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러한 바탕 위헤서 인생을 아주 신선하고도 새로운 기쁨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나름대로 진취적인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자신이 스스로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비관적인 생각에 빠져 있으면 끊임없이 스스로를 꾸짖어야 하며, 자신의 정열과 흥미를 외부로 향하게 하여 진취적인 자세로 구체적인 행복을 쟁취해야 한다. 러셀의 행복론에 '정복'이라는 말이 붙은 것도 그러한 까닭에서이다. 다시 말해 소극적으로 자기 자신 안으로 퇴행적으로 물러서면서 행복을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불행의 원인을 규명하고 그것을 객관화하여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이성적으로 분별해서 적극적으로 불행을 제거해 나가는 방식으로 행복을 찾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행복에 이르는 지혜, 이정호/러셀의 행복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무위와 행복

 사람이 하는 일이 많으면 도리어 혼란을 초래하고, 공(功)을 서두르면 도리어 파멸에 빠지는 일이 흔한 법이다. 그래서 노자는 오히려 무위(無爲)가 뜻을 크게 이루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무위(無爲)의 술(術)이란 구체적으로는 유약과 겸손을 가르치는 것이고, 무지와 무욕을 궈장하는 것이 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노자는 무위의 상징으로서 물(水)과 어린이 그리고 여성 등 이른바 비공격적인 약자들을 예찬한다. 유가가 말하는 인의예지나 번잡한 법제금령은 말세의 것으로 배척하고, 태고의 소박한 세상을 이상으로 삼는다. 노자 제19장에는 "성스러움을 끊어 버리고 지혜를 내버리면 백성들의 이익은 백 배로 늘어날 것이다. 인을 끊어 버리고 의를 내버리면 백성들은 효도와 자애로움으로 돌아갈 것이다. 기교를 끊어 버리고 이익을 내버리면 도둑들이 존재하지 않게 될 것이다. 이 세 가지 것들에 대해서는 글로써 표현해도 부족하기 때문에 설명을 덧붙여야만 한다. 본시의 바탕을 드러내고 소박함을 지니며, 사사로움을 줄이고 욕망을 적게 가져야만 한다."라고 적혀 있다. 성지(聖智)를 끊고, 인의(仁義)를 버려 교리(巧利)를 낮추는 것에 의해서 민리(民利)도 백 배가 되고, 백성도 효자(孝子)에 복귀하는 것이며, 그리하여 도적 없는 안녕의 세상이 실현되는 것이다. 요컨대 소박함과 적은 욕심이 사람의 본래 자연의 모습이며, 이것으로 돌아감으로써 사람은 모두 그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도가 사상은 인간의 무지와 탐욕을 통찰력 있게 되돌아보며 발상의 전환을 통해 현실의 역경을 뚫고 삶의 의미를 새롭게 모색하는 사상이다. 무엇보다도 이들은 피폐한 정치현실 속에서 도덕규범 체계가 이미 사회적 약자가 되어 버린 자신들에게 압제로서 작용한다는 사실을 간파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그러한 생각을 인간 근원에 관한 존재론적인 문제로까지 밀고 들어가 과연 인간이 만물의 영장으로서 지배적 지위를 누릴 만한 자격과 지위가 있는가를 근본적으로 되돌아 본다. 이런 까닭에 노자와 장자의 많은 부분은 인간이 얼마나 하잘것없는 존재인가를 설명하는 데 할애되어 있다. 그리하여 노장은 인생론에 있어서도 인의예지 등 사회 규범과 질서를 중시하기 보다는 그것이 갖는 기득권적 성격을 비판함으로써 집단이나 권력 중심적 태도를 거부하고 개체 중심적 탈권력적인 태도를 지향한다. 도가 사상이 오늘날 개인의 자유로운 욕망의 관점에 서서 이성과 권력의 해체를 주장하는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계되는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이다.


[사진 노자/네이버지식백과]


 결국 노장 사상에 의하면 인간의 행복은 세간의 이른바 "남부럽지 않은 권세와 부를 누리면서 떵떵거리며 잘 먹고 잘 사는 것"에 있지 않고 오히려 그러한 세속의 이익을 버리는 데서 생긴다. 이러한 가르침들은 '서경'이 제시하는 오복과 육극을 권하거나 피하게 하는 상고시대의 정치철학과 크게 다른 것임을  알 수가 있다. 더욱이 '노자'에는 '소국과민(小國寡民)'의 사상이 있다. 제80장은 다음과 같다. "나라는 작고 백성은 적어야 한다. 유용한 도구들이 수백 종류 있지만 결코 쓰려 하지 않으며, 백성들로 하여금 죽음을 소흘히 생각지 않게 하고 멀리 떠돌지 않게 한다. 배와 수레가 있지만 타고 다닐 필요가 없고, 투구와 갑옷이 있지만 쓸 일이 없으며, 백성들도 문자를 버리고 다시 옛날처럼 새끼줄을 묶어 일을 기록하도록 한다. 그들로 하여금 거친 음식이 달고 거친 옷이 아름다우며 초라한 습속이 즐겁고 사는 집이 편안하다고 생각하도록 한다. 이웃나라가 서로 보이고 닭이 울고 개짖는 소리가 서로 들려도 백성들은 늙어 죽도록 서로 왕래하지 않는다." 이것이 이상국가의 모습이다. 혼자됨을 즐기고, 사람과 싸우지 않고, 부작위와 소심, 이런 것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에 몸을 맡기고 소박한 삶으로 돌아가, 거기서 유유자적함을 얻는 것이 노자의 삶의 방법이며, 유가의 삶의 방법과 다른 행복관의 발상이다.[행복에 이르는 지혜,이정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진 공자/네이버 지식백과]

 

공자와 맹자-고대 유가 사상

1)자연과 인간의 선성

 

유가 이전의 상고시대에는 복록수(福祿壽)로 표징되는 행복한 삶과 수덕(修德)으로 표징되는 도덕적 삶이 따로 분리된 것이 아니었고 명목에서나 실질에서나 그 두 가지 모두가 위정자가 추구해야 할 바의 것이었다. 그러나 도덕과 행복을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는 삶의 태도는 공자를 중심으로 한 유가적 경향이 자리를 잡으면서 점차 약해지기 시작하였고 종국에는 오로지 도덕적 삶에 충실한 삶만이 인간 본연의 자세이자 바람직한 삶으로 여겨지기에 이르렀다. '논어'나 '맹자'를 시작으로 하는 유가 계통의 문헌에서 도덕적 삶에 대한 언급은 넘쳐흘러도 행복한 삶에 대한 언급이 거의 눈에 띄지 않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공자 내지 유가 사상이 행복한 삶을 무시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공자는 전쟁과 하극상이 끊이없이 벌어졌던 혼란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세상 사람들이 겪는 삶의 고통과 불행을 안타까운 마음으로 수없이 목도하였다. 그런데 그는 그 모든 원인이 위정자들의 도덕적 타락과 부패에 있다고 보았다. 그랬기 때문에 공자는 그러한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도덕을 바로 세우는 것이 필요했고, 왜 그것이 마땅하고 사람으로서 해야 할 본연의 것인지를 밝히는 것이 절실히 필요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공자는 우주와 사람이 갖는 본연의 모습을 밝혀 그것을 기초로 사람들 특히 위정자들을 교화하고자 힘썼고 그러한 교화에 앞장 설 지식인들을 키우는 데에 평생을 바쳤다.

 

[사진 맹자/네이버 지식백과]

 

 그러면 이러한 공자의 사상의 근간에 자리 잡은 우주 자연의 본연의 모습은 무엇일까? 공자의 가르침을 표상하는 유가적 전통은 우선 우리를 둘러싼 우주 자연을 평화롭고 생명력이 가득한 유기체로 파악한다. 사실 이것은 유가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동양 사상의 공통된 전제이다. 그런데 유가 사상에서 좀 독특한 것은 그러한 생명력이야말로 선한 것 중의 선한 것이라는 점이 강조된다는 사실이다. 예컨데 유가는 우주 자연의 생명력을 어질다거나(仁) 성실하다고(誠) 표현한다. 곧 유가에게 우주 자연은 지극히 선한것, 최고선이다. 유가의 입장에서 볼 때 인간은 우주 자연의 품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 모습을 닮는다. 인간도 우주 자연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그 속성을 보존하고 태어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주 자연에 깃든 생명력의 본질은 인간의 본질이 된다. 그것이 선천적으로 인간에게 주어진 도덕성이고,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본질은 선하다.

 물론 인간만이 그런 것은 아니다. 무릇 우주 자연의 품에서 태어나 생명 있는 것들은 모두 마찬가지다.(이 주장에 대해서는 유가 내부에서도 이견이 있다.) 하지만 모든 생명 있는 것들에는 본질만 있는 것이 아니라 육체 같은 기적 질료(氣質)가 있고, 그것에 기인하는 욕망과 감정이 있으며, 생각하고 판단하는 의식 주관, 곧 마음이 있다. 모든 존재에 동일한 것은 본질이지 기질이나 마음이 아니다. 인간과 다른 존재의 차이는 실상 이 기질과 마음에서 발생한다. 유가는 인간의 기질과 마음이 다른 어떤 존재보다도 뛰어나다고 생각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어느 것보다도 자신에게 주어진 선천적 도덕성을 잘 발휘할 수 있는 존재, 도덕적 존재가 된다. 곧 인간은 동물과 같이 욕망과 감정을 가지고 있지만 기질이 가장 깨끗하기 때문에 동물보다 순화된 욕망 및 감정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동물은 의식 주관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의 도덕적 본성을 반성하지 못하지만 인간은 의식 주관이 발달했기 때문에 자신의 도덕적 본성을 반성하여 그에 걸맞은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마음은 이쪽으로도 움직일 수 있고, 저쪽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말하자면 의식 주관은 행위를 이런 방향으로도 저런 방향으로도 이끌어 갈 수 있다. 하지만 마음이 인간의 본질을 향해 움직이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마음이 인간의 본질을 자각하여 그 본질을 반영하는 행위를 선택한다는 것은 곧 우주 자연의 도덕성, 생명력을 살려 내는 길이고, 그를 통해서 모든 만물을 길러 내는 천지의 사업에 동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간은 천지와 함께 우주를 떠받치는 세 기둥(三才)이 될 수 있으며, 그 생명력이 사회적으로 전파되어 태평한 세상을 만들 수 있고, 개인적으로도 영원함과 합치되어 참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행복에 이르는 지혜, 이정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진 장자/네이버지식백과]

 

 제물론(齊物論)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장자는 이 넓은 우주에 비교할 때 인간이란 존재는 소꼬리의 털에 붙은 벌레의 알보다도 미미한 존재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인간은 우주 자연의 중심도 아니며 인간이나 들풀이나 벌레나 만물은 모두 우주를 구성하는 각기 평등한 일원일 뿐이다. 그러므로 인간을 만물의 영장으로 받아들이고 인간의 편협한 이익과 생각만을 내세워 자연세계를 파괴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모두 잘못된 것이다. 이것이 그의 제물(齊物) 사상이다. 그리고 인간끼리 전쟁을 벌이는 것 또한 마치 달팽이 뿔 위에 둥지를 틀고 잇는 두 나라의 싸움에 불과한 부질없고도 어처구니 없는 짓일 뿐이다. 실로 우주 자연은 얼마나 광대하고, 그 안에는 얼마나 많은 존재들이 살아 가고 있는가. 인간이 세상에서 가장 우월하다고 뽐내면서 그 어리석음에 빠져 남보다 멋있고 훌륭한 인간이 되기 위해 발버둥 칠 때조차 자연은 그에 아랑곳하지 않고 유유히 그 본래 모습 그대로 자기의 길을 가고 있다. 우리가 집착하는 가치 또한 편협하기 짝이 없는 인간 사회에만 통용되는 가치일 뿐 우주의 가치를 중심으로 놓고 보면 우스꽝스럽기 그지없는 하찮은 것에 불과하다. 아무리 아름다운 미인일지라도 다가가면 도망치지 않는 새가 없고, 사람이 아무리 더럽다고 기피하는 것일지라도 그것을 좋아하는 짐승들은 얼마든지 있다. 아름답고 더러운 것만이 아니다. 옳고 그름이나 귀하고 천함, 심지어는 살고 죽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가령 사람들은 내가 옳으니 네가 옳으니 하고 논쟁을 즐겨 하지만 그 논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제3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객관적인 제3자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사람은 주관, 곧 나름대로의 입장과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에 이르면 모든 가치 체계가 사라진다. 이쪽에서 옳은 것이 저쪽에서는 틀린 것이 될 수 있고, 이쪽에 귀한 것이 저쪽에서는 천한 것이 될 수 있다. 이것은 겉으로만 상대주의라고 말할 수 있으나 상대주의라는 것도 노자의 사상을 적절하게 표현한 것은 아니다. 이것은 존재론적으로 말하여 사람들이 선악미추의 구분을 하는 것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세상에 이미 그런 것은 없기 때문이다. 관점에 따라 다른 것이 아니라 애초부터 그런 구분이 없다는 것이며, 기본적으로 없는 것을 있는 것인 양 집착하는 것이다. 삶의 불행은 집착하지 않아야 할 것에 사람들이 집착하는 데서 나온다. 집착하지 않아야 할 것에 집착하기 때문에 그 욕망이 충족되지 않고, 욕망에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이 뒤따르는 것이다. 집착하지 말아야 할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노자가 예시하고 있는 것이 다름 아닌 도덕과 지식이다. 그렇다면 이런 인위적 가치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면 무엇이 남는가. 마음속의 자유가 남는다. 집착이란 나의 욕망 체계를 일정한 목표에 얽어매는 일이다. 나의 욕망은 자유롭고자 하지만 어떤 것에 집착함으로써 그것을 얻기 위해 전욕망 체계를 재편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마음은 자유롭지 못하고, 욕망도 자유롭게 실현되지 못한다. 노자나 장자는 모두 욕심을 없앨 것을 말하지만 그것은 사실 욕망을 완전히 제거해 버리라는 이야기가 아니라, 어떤 틀에 얽매인 욕망 체계를 파괴하라는 이야기이다. 그러한 욕망 체계를 파괴할 때 인간은 상상력이 시키는 바에 따라 자유롭게 욕구할 수 있으며, 자유로운 욕망을 통해 개인의 자유로운 발전을 맛볼 수 있다.[행복에 이르는 지혜, 이정호]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