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275호 '기마 인물형 각배'/국립중앙박물관]



국보 275호 '기마 인물형 각배'는 5세기 삼국시대 가야 유물로 높이 23.2cm, 길이 13.1cm, 바닥지름 9.2cm 크기이며,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덕산리에서 출토되었다.

국은 이양선 선생의 기증품으로 전체 형태는 말을 타고 있는 무사와 말의 등 부분에 두 개의 뿔잔이 좌우대층으로 솟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말의 몸통에는 판갑이 둘러져 있으며, 말 등에 앉아 있는 무사는 투구와 갑옷을 착용하고, 왼손에는 방패를 들고 오른손에는 창을 들고 있는데, 비교적 세세하게 표현되어 있어 삼국시대 당시 무사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637호 '바퀴모양 토기'/국립중앙박물관]


보물 637호 '바퀴모양 토기'는 5~6세기 삼국시대 가야의 것으로 높이 22.5cm, 길이 24cm 크기의 토기 유물이다.

'바퀴모양 토기'는 특이하게도 수레바퀴가 달려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데, 이 토기와 함께 묻힌 주인공의 영혼을 저승세계로 운반하는 기원적 의미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토기의 굽다리는 삼국시대 토기 형태 중 가장 많이 보이는 청이 뚫린 굽다리접시의 굽다리 위에 원통관을 올려놓았고, 원통관의 양쪽에 각각 수레바퀴 모양을 붙였다.

원통관 위에는 고사리 모양의 장식이 3개가 붙어있던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는 하나만 남아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92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92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는 길이 120cm, 너비 3.6cm 크기의 4~5세기 신라시대 유물로 경북 경주시 황남동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되었다.

신라 왕족의 무덤에서는 금으로 화려하게 제작된 허리띠가 거의 예외없이 출토가 되는데, 이러한 허리띠의 모양과 재질을 통해 무덤속 주인공의 사회적 신분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같이 신라의 화려한 장례문화는 6세기 이후의 사회변화와 함께 점차 사라지게 된다.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는 넝쿨무늬를 투조(판금, 목재, 석재 등과 같은 기본 재료의 뒷면까지 완전히 도려내 일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조각 세공 기법의 하나)하여 만든 방형판에 심엽형 수하식이 매달려 있으며, 심엽형 수하식에는 둥근 달개가 매달려 있다. 드리개는 방형과 타원형 금판을 연결하고 끝에는 약통, 물고기, 숫돌, 곱은옥 등 다양한 상징물들을 매달아 장식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70호 '백자 청화 매화 대나무 새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70호 '백자 청화 매화 대나무 새 무늬 항아리'는 높이 16.5cm, 입지름 6.2cm, 바닥지름 9cm의 크기로 15세기 조선시대 작품이다.

조선시대 관요(관청에서 필요로 하는 사기 제작을 위한 정부 직영의 가마 또는 사기 제조장)에서는 청화백자에 들어가는 그림을 그리는 작업을 궁중 화원이 담당하였는데, 그 결과 조선 백자는 '백자 청화 매화 대나무 새 무늬 항아리'와 같이 회화적인 성격이 강하면서 화격을 갖춘 매우 걸출한 작품들이 생산되었다.

'백자 청화 매화 대나무 새 무늬 항아리'의 매화, 대나무, 새 등은 청화 안료를 사용해 그렸으며(초기 청화백자에서 보이던 중국적인 화려한 문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선의 정취를 자아내는 문양으로 바뀌게 된다), 한국적인 정서가 돋보이는 원숙한 필치가 느껴진다.

문양의 위치에 따라 색의 짙기를 달리해 그림의 입체감과 사실적인 효과를 높인 것 또한 이 백자의 특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91호, 기마인물토기(하인상)/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1호 기마인물형토기(하인상)은 기마인물형토기(주인상)과 함께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 금령총에서 출토된 높이 23.4cm 크기의 토기이다.

말과 사람의 모습이 매우 비슷하며, 말을 탄 인물은 넓은 밑받침에 서 있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마치 조각품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지만, 속이 비어 있고, 잔모양의 수구(受口)가 있는 동물형 토기이다.


[관련글: 기마인물형토기(주인상) 보기]


말의 궁둥이 쪽에는 안으로 구멍이 뚫린 수구와 그 가장자리에 뾰족하게 나온 장식이 있고, 가슴에 긴 귀때(주전자의 부리와 같이 생긴)가 있어 수구로 물을 부으면 귀때로 물이 나오도록 고안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형태의 토기에 보이는 인물은 그 차림새와 크기에 따라 각각 신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하인상은 기본적인 형태는 주인상과 유사하지만, 세부적인 차이를 보이는데, 상투머리에 수건을 매고 있고, 웃옷은 입지 않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오른손에 방울 같은 것을 들고 있고, 말갖춤 장식도 주인상에 비해 간략하고 발걸이와 다래는 아예 표현되어 있지 않다.

주인상과 마찬가지로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토기라고 보기 보다는 제사와 같은 의식용으로 특별히 제작된 토기일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글: 기마인물형토기(주인상) 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91호, 기마인물형토기(주인상)/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1호 기마인물형토기(주인상)은 기마인물형토기(하인상)과 함께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 금령총에서 출토된 높이 26.8cm 크기이 토기이다.

말과 사람의 모습이 매우 비슷하며, 말을 탄 인물은 넓은 밑받침에 서 있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마치 조각품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지만, 속이 비어 있고, 잔모양의 수구(受口)가 있는 동물형 토기이다.


[관련글: 기마인물형토기(하인상) 보기]


말의 궁둥이 쪽에는 안으로 구멍이 뚫린 수구와 그 가장자리에 뾰족하게 나온 장식이 있고, 가슴에 긴 귀때(주전자의 부리와 같이 생긴)가 있어 수구로 물을 부으면 귀때로 물이 나오도록 고안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형태의 토기에 보이는 인물은 그 차림새와 크기에 따라 각각 신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주인상은 호화로운 관모를 쏙, 갑옷을 입고 있다.

인물의 생김새는 다소 이국적인 느낌이 드는데, 날카로운 콧날과 깊게 패인 눈매가 우리의 전형적인 모습 보다는 이국인의 모습과 가깝다.

또한 주인상 토기에 나타나는 투박하지만 사실적인 의복 묘사를 통해 당시의 옷차림과 말 장비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도 평가받고 있다.

말에는 말띠드리개, 말띠꾸미개, 말다래, 안장, 혁구 등의 말갖춤을 완전하게 표현해 놓고 있는데, 말의 이마에 마치 코뿔소의 뿔처럼 영수(纓穗, 옷이나 기물 따위에 장식으로 다는 술)가 붙어 있는 것 등으로 보아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토기라고 보기 보다는 제사와 같은 의식용으로 특별히 제작된 토기일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글: 기마인물형토기(하인상) 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58호 '7절 목걸이'/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58호 '7절 목걸이'는 6세기 백제시대 유물로 고구려는 물론 신라, 가야 지역에서 볼 수 없는 백제만의 특징적인 유물이며, 최대 지름은 14cm이다.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송산리고분군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금목걸이로써, 금막대의 양쪽 끝에 둥근 연결고리가 있고, 그 고리로 7개의 금막대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 7절 목걸이라고 부른다.

전체 형태는 복잡하고 화려한 장식이 없으면서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멋이 느껴진다. 무령왕릉에서는 이와 같은 형태의 9절 목걸이도 출토되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2001호(기존 보물 455호로 잘못 알려졌던 유물,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국립중앙박물관]

보물 2001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는 경북 경주시 황오동에서 발견된 금제 귀걸이로써, 커다란 굵은 고리는 장식과 문양이 전혀 없는 형태이며, 타원형의 중간 고리를 달고 다시 작은 고리를 달아 아래 장식들을 달았다. 아래 장식들은 여러개의 고리를 연결하고 금줄을 이어 끝에 달개를 달았는데, 드리개는 하트 모양을 하고 있다. 달개와 함께 누금기법(鏤金技法, 금은 등의 가는 선을 비틀거나 굽혀 붙여서 무늬를 만드는 기법으로써, 작은 입자를 붙여 변화를 갖도록 하는 것도 있다)으로 작은 금 알갱이들을 장식해 화려함을 더하고 있다.

※한편, 보물 2001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는 기존 보물 제455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였으나 문화재청이 2018년 10월 30일 “보물 제2001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를 보물로 지정 예고하고, 보물 제455호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의 이름은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로 바꾸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1967년 보물 455호로 지정 당시 펴낸 각종 자료에 경주 노서동에서 발굴한 금귀걸이가 아닌 황오동 52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를 실수로 올려 바뀌면서 시작되었는데, 다행히 2000년 어느 날 일본학자인 '가즈오(藤井和夫)'가 신라 황금전 특별전을 준비하고 있었던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사에게 유물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준 덕이라고 하며, 그동안 실수로 인해 잘못 알려졌던 것을 보물 지정 당시로부터 51년만에 각자 제이름을 찾은 것입니다.


[보물 제455호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 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456호 '금목걸이'/국립중앙박물관]


보물 456호 '금목걸이'는 경북 경주시 노서동 215번지 무덤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유물이다.

경주시 노동동과 노서동에 모여있는 큰 무덤들은 대부분 5세기~6세기 전반에 걸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대형 무덤은 보통 왕이나 왕족 등 신라 최상류층의 무덤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노서동 215번지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 또한 신라 최상류층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6세기 전반이 되면 목걸이뿐만 아니라 금관이나 귀걸이 모두 매우 장식적으로 변하는데, 이 '금목걸이'는 굵은 고리귀걸이의 샛장식에 사용하는 작은 고리를 여러 개 연결하여 또 하나의 둥근 구슬모양으로 엮어 만든 것이 특징이다. 작은 고리에는 새김눈(‘目’자처럼 가로 또는 세로로 조각한 눈금선 문양) 장식이 있고, 하트(heart) 모양의 달개를 여러개 매달아 보다 풍성하고 화려하게 장식을 했다. 목걸이의 하단 가운데에는 한 개의 곡옥(曲玉)을 넣어 장식효과를 높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국립중앙박물관]



보물 338호 금령총 금관은 높이 27cm, 지름 17cm의 크기로 신라시대 금관이다. 경주시 금령총에서 출토된 이 금관은 다른 신라 금관과 달리 정면 출(出)자 형 입식이 3단이 아닌, 4단으로 이루어진 점이 독특하다.

그리고, 각 입식에는 금으로 된 영락(구슬을 꿰어 몸에 달아 장엄하는 기구)만이 장식되어 있고, 곡옥은 사용하지 않아 장식 처리가 다른 금관에 비해 다른 특이점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출(出)자형 입식을 세 개를 달았고, 녹각형 입식을 두 개를 달았는데, 녹각형 입식의 분지를 따로 만들어 못으로 연결한 것 또한 금령총 금관이 보여주는 특징 중 하나이다.

테두리의 위아래 가장자리에는 각 입식의 가장자리와 같이 점렬문(點列文, 점을 일렬로 늘어놓은 무늬)을 타출(打出, 철판 밑에 모형을 대고 두드려 그 모형과 같은 모양이 겉으로 나오게 하는 기법)했다.

테두리 좌우의 수식은 출토 당시 원래 금관에 붙어 있었던 것이 아나리 주변에 떨어져 있던 것을 같이 수습한 것이다.

형태가 작고 곱은 옥이 생략되어 있어 다른 금관보다 단순한 느낌을 준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